[include(틀:KBS의 성우)] ||<-2>
'''{{{+1 이춘사}}}[br]李春史|Lee Choon-s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성우 이춘사.jpg|width=100%]]}}} || || '''출생''' ||[[1925년]] [[6월 27일]] (생존 중일 경우 '''[age(1925-06-27)]세''')[* '''[[생사불명]].''']|| || '''가족''' ||딸 [[이나미]][br]손녀 [[재패니즈 브렉퍼스트|미셸 정미 자우너]][* 자우너 본인이 해당 페이지를 캡처해 인스타 스토리에 올렸다.] || || '''소속''' ||[[KBS 성우극회]] 특기 ([[프리랜서]]) || || '''활동 시기''' ||연극배우: [[1944년]] ~ ?[br]전속: [[1948년]] ~ [[1950년]][br]프리랜서: [[1951년]] ~ [[1977년]] || || '''링크''' ||[[https://www.hancinema.net/korean_Lee_Choon-sa-news.html|한시네마]]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최초의 [[성우]] 중 한명이자 연극배우. 1944년, 광복 1년 전에 연극 배우로 첫 데뷔. 1948년 [[KBS 성우극회]] 특기로 입사했으며 [[구민]], [[이혜경]] 등과는 동기이다.[* 생존 중이라면 성우들 중 최고령이다. 다만 행방불명이므로 확실한 생존 여부를 가진 사람으로 한정하면 3살 연하인 [[양일민]](1928년 출생, 1943년 아역배우 데뷔, 1948년 성우 데뷔)이 최고령자가 된다.] 1977년 [[동아방송|DBS]] 프로그램 노래는 세월따라에 참여한 이후[*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7100100209205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7-10-01&officeId=00020&pageNo=5&printNo=17229&publishType=00020|출처]]] 행방이 묘연하여 동기 구민과 달리 생사를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무려 50년 가까이 소식이 없다. [[2014년]] 9월 17일에 사망했다는 말이 있지만, 지금도 정확한 근황은 불분명하다. 정황상 나이 때문에 요양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2019년 KBS 성우극회 홈페이지가 리뉴얼 되기 전에는 명단에 있었다. KBS 성우극회 홈페이지가 [[2003년]]에 만들어졌으니 적어도 2003년까지는 생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근황은 딸인 [[이나미]]가 알고 있을지도 모르나, 이나미도 2006년 이후로는 활동이 매우 뜸해서 역시나 알 수가 없다. 손녀인 [[재패니즈 브렉퍼스트]]도 최근 SNS 스토리에 이춘사에 관한 내용을 올린 것을 보아 이춘사의 근황에 대해 알고 있을 가능성도 있으나 아직 근황을 직접 밝힌 바는 없다. [[재패니즈 브렉퍼스트]]의 손녀 미셸의 자서전 'H마트에서 울다'에서 그의 삶이 간략히 요약되어 있다. 라디오 드라마에 출연할 때[* 대략 60년대.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를 보면 최전성기는 1962년으로 보이며, 기록을 종합해보면 코미디 연기로 유명했던 것으로 보인다.]는 매우 잘나가서 미셸의 어머니가 초등학생 때는 집이 동네에서 가장 부유한 집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TV가 인기있는 매체로 떠오른 이후에는 대사를 잘 외우지 못했기에 적응하지 못했다고 한다.[* 마침 이춘사는 가구당 TV 보급률이 대략적으로 2.5%(11.83만 대)로써 어느 정도 유의미한 수준이 된 1968년부터 활동 기록이 급격히 줄어들었고, 마지막으로 활동 기록을 남긴 1977년쯤에는 한국의 TV 대수가 352만 대가 되어 대략적으로 2가구당 1대 꼴일 정도로 TV 보급이 이전에 비해 대폭 증가했을 때였다. 그러면 이춘사가 이 무렵에 은퇴한 게 설명이 된다.] 이후 각종 사업에 투자하면서 재산을 대부분 탕진했고 아내와 이혼하게 된다. 미셸이 어렸을 때 중국집에서 이춘사와 그의 전처인 미셸의 할머니를 포함한 가족 모임을 하고는 했다고 하는데 딸에게 손을 벌리는 장면이 나오는 걸로 보아 생활고에 시달렸던 것 같다. 이후 그의 전 처와 두 딸의 죽음이 자서전에 등장하지만 이춘사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는 걸로 보아 교류가 없거나 이미 사망했을 수 있다. 이춘사 성우와 비슷한 나이의 성우로는 일본의 [[타카기 히토시]]와 미국의 [[조나단 윈터스]], [[폴 뉴먼]]이 있다. == 출연작 == === 애니메이션 영화 === * [[호피와 차돌바위]](1967) - 최진달 * [[홍길동(1967)|홍길동]](1967) - 홍 판서 === 영화 === * [[별들의 고향]]([[KBS]]) * 슬픔은 나에게만 == 관련 문서 == * [[성우/한국]] [각주][[분류:전직 성우]][[분류:전직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연극 배우]][[분류:연극배우 출신 성우]][[분류:1925년 출생]][[분류:1944년 데뷔]][[분류:1977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