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집트의 대외관계)] [include(틀:카타르의 대외관계)] ||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100%]]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100%]] || || [[이집트|{{{#ffffff '''이집트'''}}}]] || [[카타르|{{{#fff '''카타르'''}}}]]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집트]]와 [[카타르]]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양국은 [[이슬람 협력기구]], [[아랍 연맹]]의 회원국들이지만, [[무슬림 형제단]]과 관련해서 갈등이 존재한다. 게다가 양국간에 단교가 생긴 적이 있었다. 카타르가 경제적으로 부유하기 때문에 이집트인들중에는 카타르로 떠나길 희망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16&aid=0000780278|#]] 이집트 역시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네팔, 스리랑카, 필리핀과 마찬가지로 카타르로 이주노동자를 보내고 있다. == 역사적 관계 == === 21세기 === [[이슬람 근본주의]] 성향의 [[무슬림 형제단]]이 카타르의 지원을 받다보니 이집트는 카타르와 갈등이 존재한다. 정치적으로 이집트는 세속주의 정책을 실시하지만[* 이집트 군부는 세속주의 정책을 실시하고 있는 등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을 견제 및 차단하고 있다.], 카타르는 [[이슬람 근본주의]] 단체들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갈등이 존재한다. 2005년 10월 7일, 카타르의 한 왕자가 이집트에서 사고를 낸 뒤에 카타르로 떠나자 양국간에 갈등이 생겨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117571?sid=104|#]] 2014년 1월 4일, 이집트는 무르시 전 대통령 문제로 카타르와 갈등이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6683552?sid=102|#]] 3월 6일, 이집트 정부는 주 카타르 이집트 대사를 소환하는 등 카타르를 비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6795431?sid=100|#]] 3월 24일, 카타르 국왕이 이집트와 이라크를 비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5753544?sid=104|#]] 12월 9일, 카타르를 포함한 걸프협력이사회는 이집트 군사정부를 지지하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292016?sid=104|#]] 12월 21일, 양국은 외교관계의 정상화를 시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313659?sid=104|#]] 12월 22일, 이집트는 양국 갈등의 원인이 된 알자지라 이집트 지국을 폐국시키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6267193?sid=104|#]] 2015년 2월 19일, 카타르 정부는 이집트의 리비아 공습 논란에 주 이집트 카타르 대사를 소환했다.[[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400&key=20150219.99002203044|#]] 8월 29일, 이집트 법원이 알자지라 기자에게 실형을 선고하자 양국간에 갈등이 생겨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822354?sid=104|#]] 튀르키예와 카타르는 이집트의 피라미드가 비이슬람적인 것이라고 피라미드를 파괴하라고 지지했다. 2017년 5월 24일, 이집트 정부는 [[알자지라]] 등의 웹사이트를 차단시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2752185?sid=104|#]] 7월 3일, 이집트 정부는 카타르와의 단교 원인이 된 무슬림형제단 지도자 딸 부부를 체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381383?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8047929?sid=104|#2]] 6월 5일, 이집트와 사우디, 바레인, 아랍에미리트는 카타르와의 [[단교]]를 선언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316253?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0464626?sid=104|#2]] 게다가 카타르항공의 영공 진입도 불허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2826972?sid=104|#]] 6월 9일, 이집트와 사우디 등 4개국은 카타르의 개인, 단체에 대해 제재한다고 밝혔다.[[https://www.voakorea.com/a/3893725.html|#]] 7월 4일, 이집트는 카타르에 있는 무슬림형제단 대원의 인터폴 수배를 요청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2821168?sid=104|#]] 7월 11일, 이집트 정부는 카타르를 겨냥해 반 다에쉬 연합군에 테러지원 국가가 포함돼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8062663?sid=104|#]] 9월 17일, 무르시 전 대통령이 카타르 간첩 혐의 등으로 종신형을 선고받았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2948335?sid=104|#]] 11월 23일, 이집트 정부는 튀르키예, 카타르 자금지원 등 배후 간첩단 29명을 체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8303023?sid=104|#]] 2018년 3월 7일, 이집트와 사우디는 카타르가 여전히 테러단체들을 지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942297?sid=104|#]] 5월 27일, 카타르 정부는 사우디, 이집트 등 카타르 단교국 상품들을 진열대에서 빼라는 명령을 내렸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8618178?sid=104|#]] 2019년 5월 6일, 카타르는 단교한 이집트를 적국으로 규정해 이집트인의 비자 발급을 중단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807036?sid=104|#]] 5월 23일, 이집트 법원은 알자지라 방송 소속의 언론인을 석방하라는 판결을 내렸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844861?sid=104|#]] 9월 19일, 알자지라방송은 이집트가 불법구금중인 기자의 석방을 촉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091123?sid=104|#]] 2020년 3월 4일, 이집트와 카타르는 [[코로나19]]를 이유로 상대국 국민들의 입국을 불허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449293?sid=104|#]] 2021년 1월 2일, 이집트와 사우디 등 4개국이 카타르와의 외교관계를 복원하는 것에 대해 논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273284?sid=104|#]] 1월 21일, 양국은 외교관계 복원에 합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153169?sid=104|#]] 1월 13일, 이집트는 카타르에 영공을 개방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138743?sid=104|#]] 2월 24일, 양국은 쿠웨이트에서 첫 회담을 진행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5183471?sid=104|#]] 2022년 이후, 양국은 이란을 견제하기 위해 협력하기 시작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271090?sid=104|#]] == 경제 교류 == 양국간의 경제 교류가 활발하다. 이집트는 카타르의 경제 지원을 받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집트인들중에는 카타르로 건너가서 일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2012년 9월 7일, 카타르 정부가 5년간 이집트에 180억 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5803085?sid=101|#]] 2013년 1월 9일, 카타르 정부는 이집트에 25억 달러를 추가로 지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4918015?sid=104|#]] 7월 8일, 이집트가 재정난을 겪자 카타르는 10억 달러를 지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6360475?sid=104|#]] 8월 20일, 카타르가 이집트에 천연가스를 공급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0427874?sid=104|#]] 2014년 11월 29일, 이집트는 카타르에 25억 달러를 상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0098993?sid=104|#]] 2017년에 튀르키예, 아르헨티나, 파키스탄, 이집트, 카타르가 금리인상 취약국으로 나타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3901740?sid=104|#]] 201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양국은 탈석유 정책을 실시하기 시작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4466112?sid=101|#]] == 문화 교류 == 양국은 [[무슬림]] 비중이 높은 편이며 [[아랍어]] 사용국에 속해 있다. 양국에선 [[아랍어 방언]]이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인다. 이집트의 코미디언 바삼 유세프가 카타르를 풍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6/0000234683?sid=104|#]] === 스포츠 === 2013년 3월 8일, 카타르 축구팀이 이집트 축구팀과의 경기에서 승리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43&aid=0000025436|#]] == 교통 교류 == 양국을 이어주던 항공 노선이 존재한다. 이집트-카타르 항공노선이 2011년에 이집트에서 위기가 일어났을 때에도 카타르항공은 이집트 노선을 유지한다고 밝혔다.[[https://www.ajunews.com/common/redirect.jsp?newsId=20110209000224|#]] 하지만 카타르 단교 사태때에는 카타르 항공의 영공진입이 불허된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2826972?sid=104|#]] 2021년 1월 18일, 이집트-카타르-아랍에미리트를 연결하는 직항기가 3년만에 운항을 재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147993?sid=104|#]] == 관련 문서 == * [[이집트/외교]] * [[카타르/외교]]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카타르/외국인 노동자 문제]] * [[이집트/경제]] * [[카타르/경제]] * [[이집트인]] / [[걸프 아랍인|카타르인]] / [[아랍인]] * [[아랍어]] / [[아랍어 방언]] / [[이슬람교]] / [[순니파]]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북아프리카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 [[분류:이집트의 대국관계]][[분류:카타르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