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명 ||이진우(李鎭祐) || || 이명 ||이진우(李鎭佑)·이두칠(李斗七) || || 생몰 ||[[1887년]] [[12월 25일]] ~ [[1960년]] [[5월 25일]] || || [[출생지]] ||경상도 진보현 북면 다릿골[br](현 [[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 교리) || || 추서 ||대통령표창 || 이진우(李鎭祐)는 1887년 12월 25일 경상도 진보현 북면 다릿골(현 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 교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20년 음력 8월경, [[흠치교]] 간부로부터 1924년에 교주 [[차경석]]이 [[계룡산]]에 도읍을 정하고 황제국을 세울 것이며, 이때가 되면 일본의 통치로부터 벗어나 한반도가 통일되고 조선이 독립한다는 말을 듣고는, 치성비 5원을 내고 흠치교 8인조에 가입하였다. 그후 신도와 치성비 명목의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던 중 일본 경찰에 발각되어 체포되었다. 이 일로 인해 그는 1921년 5월 16일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청에서 소위 [[다이쇼]] 8년(1919) 제령 제7호 위반 혐의로 징역 1년형을 언도받았다.[[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493&evntId=0034993166&evntdowngbn=Y&indpnId=0000024119&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 그는 이에 불복하여 항소하였으며 10월 3일 대구지검 안동지청에서 공소가 수리되지 않았으나[[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6013&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3835&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 같은 해 11월 26일 대구복심법원 형사제2부에서 원심 판결이 취소되고 [[면소]] 처분을 받아 출옥하였다.[[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182&evntId=0034988381&evntdowngbn=Y&indpnId=0000019619&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 출옥 후에는 조용히 지내다가 [[8.15 광복]]을 맞았으며, 1960년 5월 25일 별세하였다. 2009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진우(독립운동가), version=3)]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영양군 출신 인물]][[분류:1887년 출생]][[분류:1960년 사망]][[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