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 {{{#fff {{{+1 '''이지움 전투'''}}}[br]'''Бої за Ізюм[* [[우크라이나어]]]'''[br]'''Бои за Изюм[* [[러시아어]]]'''[br]'''Battle of Izium[* [[영어]]]'''}}} || ||<-2> {{{#fff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fff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일부}}} || ||<-2> 러시아의 공격 및 점령 [br] [[2022년]] [[3월 3일]] ~ [[4월 1일]] [br] 우크라이나의 탈환전 [br] [[2022년]] [[9월 7일]] ~ [[2022년]] [[9월 10일]] || ||<-2> '''{{{#fff 장소}}}'''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0px" [include(틀:지도, 장소=우크라이나 이지움, 높이=200, 너비=100%)]}}} [[우크라이나]] [[이지움(우크라이나)|이지움]] 일대 및 도심부 || ||<-2> '''{{{#fff 교전국}}}''' || ||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크기=23)]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크기=23)] || ||<-2> '''{{{#fff 지휘관}}}'''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상장[* 우크라이나 육군 총사령관] [br]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할루쉬킨 유리 [[준장]][* [[우크라이나 국토방위군]] 사령관] [br]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리흐만 올렉산드르 [[대령]][* 제81공중기동여단 여단장] ||<^|1>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세르게이 키셀 [[중장]][* [[러시아 육군]] 제1근위전차군 사령관] [br]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니콜라이 옵차렌코 [[대령]] [[전사(죽음)|†]][* [[러시아 육군]] 제1근위전차군 예하 제45공병연대 연대장] || ||<-2> '''{{{#fff 병력}}}'''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우크라이나군''' [br] - 제81공중기동여단 [br] - [[우크라이나 국토방위군]] ---- '''총 인원 불명'''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러시아 연방군''' [br] - 제1근위전차군 ---- '''총 인원 불명''' || ||<-2> '''{{{#fff 피해규모}}}'''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우크라이나측 피해'''[br] 병력 및 장비 손실 불명[br] [[이지움 학살|민간인 1000명 이상 사망]][* 매장지 총 440여 곳이 확인되었다.[[https://news.sky.com/story/mass-burial-site-containing-440-graves-found-in-izyum-after-city-liberated-by-ukrainian-forces-12698332|#]]. 우크라이나 국방부 장관 보좌관은 이지움 시의 민간인 피해가 부차 학살의 2배에 달한다고 발표했다.[[https://www.dialog.ua/war/258716_1663252462|#]]]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러시아 측 피해'''[br] 19명 이상 사망[br] 다수의 전차를 포함한 기계화 장비 손실 || ||<-2> '''{{{#fff 결과}}}''' || ||<-2> '''1차: 러시아군의 승리[br] 2차: 우크라이나군의 승리''' || ||<-2> '''{{{#fff 영향}}}''' || ||<-2> '''1차: 러시아군의 이지움 점령 [br]2차: 이지움 탈환, 우크라이나군의 동부 전선 주도권 장악 및 [[제1근위전차군]] 궤멸'''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일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북동부 공세의 일부로,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주]] [[이지움(우크라이나)|이지움]]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러시아군이 1달여의 전투 끝에 이지움을 점령하는 데 성공하며 승리하였다. 러시아군은 이지움을 기반으로 동부와 북동부의 병력을 합치고 베레스토베, 리만, 슬로뱐스크로 진격할 기반을 마련했다. [youtube(rjX_twLy-iw)] 하지만 9월부터 우크라이나군이 이지움 방면으로 반격을 시행, [[우크라이나의 가을 공세|탈환전]]을 개시했고, 러시아는 이렇게 중요한 지역을 반격이 시작된 후 고작 사나흘 만에 내주고 말았다. 러시아군은 동부전선의 핵심 보급거점이던 쿠퍈스크에 이어 이지움을 상실함으로써 보급 부족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결국 오스킬 강 서쪽 지역에서 전면 철수했다. 반대로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군이 버리고 간 무기와 장비를 매우 많이 [[노획]]하였고, 이지움을 교두보로 삼아 돈바스 탈환 공세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되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2879261|#]] 러시아가 이지움에서 잃은 장비만 무려 442개 이상인데, 그중 반 이상은 파괴되지 않고 유기되어서 곧바로 쓸 수 있다고 한다. 러시아군이 후퇴하면서 이지움에서 러시아군이 저지른 [[이지움 학살]]이 드러났다. 항목 참조. == 배경 == 러시아의 침공이 시작된 [[2022년]] [[2월 24일]] 이후로, 러시아군은 개전 명분이었던 [[돈바스]] 지역의 자국민, 친러 주민 보호 명분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돈바스]]의 중심에 위치한 [[이지움(우크라이나)|이지움]]을 점령함이 필수적이었다. 또한, 동북부의 [[하르키우]]와 동부 [[돈바스]]를 잇는 전선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보급로 노릇을 할 수 있는 [[이지움(우크라이나)|이지움]]은 더욱 중요한 거점이었다.[[https://www.nytimes.com/live/2022/04/10/world/ukraine-russia-war-news|#]] 그렇기 때문에 러시아는 개전 초기인 [[3월 3일]]부터 이지움에 로켓 공습을 퍼부었고, 이로써 전투가 시작되었다. == 경과 == === 점령 이전 === ==== 3월 3일 ==== 현지 시간 3월 2일 23시 59분경(실질적으로 3월 3일), 러시아군의 이지움을 상대로 한 첫 로켓 공습이 있었고, 2명의 어린아이를 포함한 민간인 사망자 8명이 발생했다. 이 공격으로 인해 마을 대부분의 거주지에서 전기, 가스, 통신선 등이 완전히 끊어지고, 중앙 병원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게 되었다.[[https://www.amnesty.org/en/latest/news/2022/03/ukraine-beleaguered-town-of-izium-at-breaking-point-after-constant-attack-from-russian-forces-new-testimony/|#]][[https://t.me/Pravda_Gerashchenko/2615|#]] ==== 3월 6일 ==== 이지움을 상대로한 첫 공습에 참여했던 러시아군 폭격기연대 부사령관이 우크라이나 방공망에 격추되어 포로로 잡혔다.[[https://t.me/Pravda_Gerashchenko/3691|#]] 러시아군은 첫 로켓 포격 이후 계속해서 포격을 이어나간 것으로 알려졌다. ==== 3월 10일 ==== 러시아군이 "탈출하는 민간인들의 안전을 약속하겠다"라는 말과 다르게, 이지움에서 탈출하던 민간인 행렬을 러시아군이 방해하고, 포격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확한 사상자는 불명.[[https://news.sky.com/story/russias-invasion-of-ukraine-mapped-what-happened-on-day-15-12562324|#]][[https://t.me/Pravda_Gerashchenko/2973|#]] ==== 3월 13일 ==== 이지움 시장 발레리 마르첸코가 60대의 버스를 동원하여 시민들과 함께 탈출하였다. 그러나, 아직 이지움 시내에는 약 20,000명의 시민들이 탈출하지 못한 채로 갇혀있다고 한다.[[https://news.sky.com/story/ukraine-war-izyum-mayor-is-fearing-nothing-less-than-a-catastrophe-in-the-bombed-city-12577076|#]] 이지움 상공에서 러시아군 전투기가 격추되었음이 확인되었다.[[https://t.me/Pravda_Gerashchenko/4005|#]] ==== 3월 20일 ==== 하르키우 주지사 올레흐 시녜후보우가 이지움으로 진격하는 러시아군을 성공적으로 막아냈음을 발표하였다.[[https://apostrophe.ua/ua/news/society/2022-03-20/okkupantyi-uje-ne-dergayutsya-vsu-pod-dergachami-i-izyumom-razgromili-vraga/263254|(현재 접속안됨)]][[https://t.me/Pravda_Gerashchenko/6045|우크라이나군 총참모부 발표]] ==== 3월 26일 ==== 우크라이나 국립수사국에서 우크라이나 내 친러 정당 중 하나인 "우크라이나 지역당" 출신인 전직 시장과 의원 2명, 경찰 1명을 국가보안법 혐의로 기소하였다. 그들이 받는 혐의는 러시아군에게 우크라이나군의 위치와 지역 활동가, 기업가 및 국토방위군 참전자의 정보를 넘겼다는 것이다.[[https://t.me/Pravda_Gerashchenko/7732|#]] ==== 3월 27일 ==== 우크라이나군 방공 부대가 이지움 상공에서 러시아 최신 전투기인 [[Su-34]] 전투기를 격추했다.[[https://zaxid.net/zsu_znishhili_rosiyskiy_vinishhuvach_su_34_na_harkivshhini_n1539614|#]] 러시아군의 민간인 거주 구역 포격으로 인해 일가족 중 4명이 사망하고 4세 아이가 부상을 입었다.[[https://www.rbc.ua/ukr/news/ukrainskaya-armiya-harkovskoy-oblasti-pereshla-1648413690.html|#]] ==== 3월 28일 ==== 이지움 근처에서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군의 [[Su-35]]를 성공적으로 격추하였고, 조종사까지 생포하였다.[[https://t.me/Pravda_Gerashchenko/8509|#]] 러시아군이 이지움 동남부의 슬로뱐스크를 향한 공세를 촉진하기 위해서 다수의 병력을 재조직하여 물자를 보충하는 것이 포착되었다고 우크라이나군 총참모부가 발표하였다.[[https://t.me/Pravda_Gerashchenko/8575|#]] ==== 4월 1일 ==== 우크라이나군이 지뢰와 RPG를 사용해 러시아군 제237전차연대의 전차를 파괴하였다.[[https://news.obozrevatel.com/ukr/vojna-v-ukraine/vikoristovuvali-mini-ta-rpg-na-harkivschini-ukrainski-vijskovi-zupinili-vorozhi-tanki-foto.htm|#]][[https://t.me/Pravda_Gerashchenko/9584|#]] 결국 러시아군의 수적 우위와 내부의 친러주의자들에 의해 이지움이 함락되었다. 이로 인해 러시아군은 동부 돈바스의 전력과 벨라루스를 통해 내려오는 북부 러시아군 전력을 통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그 과정에서 이지움 소재의 방산복합체인 이지움 기기생산단지(Izium Instrument-Making Plant)가 러시아군에 넘어가게 되었다.[[https://defence-ua.com/news/rashisti_rozbombili_ta_rozgrabuvali_izjumskij_priladobudivnij_zavod-6861.html|#]] === 점령 이후 === ==== 4월 6일 ==== 부시장 막심 스트렐니크는 우크라이나 수비대가 이지움에서 러시아군과 최초로 협력한 예우헨 브류카노우를 구금했다고 밝혔다. 구금당한 예우헨 브류카노우는 현재 자신의 범죄와 공범들에 대한 증언을 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특수부대는 또한 이지움에 있는 다른 우크라이나 배신자들에게 축하한다고 전하면서 자발적으로 항복할 것을 촉구하였다.[[https://t.me/operativnoZSU/17612|#]] ==== 4월 14일 ==== 우크라이나 특수작전군 소속 대원들이 [[하르키우]]에서 이지움으로 들어가는 러시아군 장비들이 지나던 다리를 폭파시키는 전과를 올렸다.[[https://t.me/Pravda_Gerashchenko/12403|#]] ==== 4월 18일 ==== 이지움이 러시아군에 사실상 함락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3122282|#]] ==== 5월 16일 ==== [[하르키우 전투]]에서 승리한 이후, 우크라이나군이 이지움 방면에서 반격을 개시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 우크라이나의 탈환전 === ==== 9월 7일 ==== 우크라이나의 대대적인 반격에서 이지움 방면 역시 포함되며 현재 [[하르키우주]]의 [[발라클리야]]를 거의 점령했다. ==== 9월 8일 ==== 우크라이나군이 [[쿠퍈스크]] 근처에 도착했다. ==== 9월 9일 ==== 우크라이나군이 [[쿠퍈스크]]에 진입했고, 쿠퍈스크가 해방되면서 이지움 내의 러시아군은 완전히 포위되었다. ==== 9월 10일 ==== 이지움의 러시아군 중 루한스크로 철수하는데 실패한 부대가 백기를 걸었다는 보고가 있다.[[https://t.me/hueviykharkov/78582|#]] 우크라이나군이 이지움을 탈환했다.[[https://mobile.twitter.com/WarMonitor3/status/1568538887286398976?s=20&t=JPc4XmHYGFqwa9zRvZvurQ|#]] [[분류: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투]][[분류:2022년 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