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튀르키예 관련 문서)] [목차] [youtube(kxyifJ2ELD8)] 원버전 [youtube(W0mtSkWg7CI)] 공화국 90주년 기념 버전 [youtube(TzALtHrgscY)] 할룩 레반트 개사 버전 == 개요 == 이즈미르 행진곡(İzmir Marsi)은 [[튀르키예]]에서 잘 알려진 군가 중 하나이다.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이끄는 튀르키예 대국민회의의 튀르키예 독립군이 [[튀르키예 독립전쟁]] 중 [[세브르 조약]]에 따라 당시 [[그리스 왕국|그리스]]가 점령한 [[이오니아]]의 스미르나를 탈환한 것을 기념하는 노래이다. 스미르나는 원래 아테네보다도 [[그리스인]]이 많이 사는 도시였지만, 후일 [[그리스-튀르키예 인구 교환]]에 따라 한때 에게 해 전체에서 우세하였던 [[그리스인]]의 인구 분포가 깨지게 되었다. 이후, [[로잔 조약]]으로 스미르나/이즈미르는 튀르키예의 영토로 인정받게 된다. == 가사 == 가사가 두종류 있다. 원버전은 [[라이시테]]원칙에 따라 종교에 대한 언급이 없는 1,2절만 부르지만 공화국 90주년(2013년) 기념 음반에는 종교적 색체가 들어가있다. 위 영상을 기준으로 원곡은 1,2,1절 순서로, 공화국 90주년 기념버전은 1,3,4절 순으로 부른다. ||İzmir’in dağlarında çiçekler açar, Altın güneş orada sırmalar saçar Bozulmuş düşmanlar yel gibi kaçar Yaşa, Mustafa Kemal Paşa, yaşa! Adın yazılacak mücevher taşa!||[[이즈미르]]의 산맥에서 꽃이 피네, 금빛 태양이 그곳에서 빛을 발하네. [[그리스군|패배한 적군]]은 바람 불듯 도망치네, 만세,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무스타파 케말 파샤]], 만세! 그대의 이름은 보석에 쓰여질 것이네|| ||İzmir'in dağlarında oturdum kaldım, Şehit olanları deftere yazdım Öksüz yavruları bağrıma bastım Yaşa, Mustafa Kemal Paşa, yaşa! Adın yazılacak mücevher taşa!||[[이즈미르]]의 산맥에서 나는 앉아있었네. 전사한 자들을 노트에 적었네 부모잃은 아이들을 내 품에 안아주었네 만세,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무스타파 케말 파샤]], 만세! 그대의 이름은 보석에 쓰여질 것이네|| ||Peygamber kucağı, şehitler yeri Çalındı borular, haydi, ileri! Bozuldu çadırlar, kalmayın geri, Yaşa, Mustafa Kemal Paşa, yaşa! Adın yazılacak mücevher taşa!||[[무함마드|예언자]]의 품속은 전사자[* şehit은 순교자라는 뜻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전사자를 의미한다.]을 위한 장소라네, 나팔이 부르네, 어서, 전진하라! 막사가 부서졌네, 물러서지 마라, 만세, 무스타파 케말 파샤, 만세! 그대의 이름은 보석에 쓰여질 것이네|| ||Türk oğluyum ben, ölmek isterim Toprak, diken olsa yatağım yerim, Allah’ından utansın dönenler geri Yaşa, Mustafa Kemal Paşa, yaşa! Adın yazılacak mücevher taşa!||나는 튀르크인의 자손이며 죽기를 원하네, 땅은 가시밭일지라도 나의 침대는 흙이라네, 도망친 자들은 [[알라]]앞에서 부끄러운줄 알기를, 만세, 무스타파 케말 파샤, 만세! 그대의 이름은 보석에 쓰여질 것이네|| [[분류:아시아의 군가]][[분류:유럽의 군가]][[분류:튀르키예군]][[분류:튀르키예의 음악]][[분류:북키프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