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수영 선수, rd1=이주호(수영), other2=축구선수, rd2=이주호(축구선수))] [include(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 {{{#fff '''이주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제17대 국회의원/비례대표)] ---- ||<-5> {{{+1 [[대통령비서실|[[파일:청와대 흰색 로고.svg|height=40]]]] [[대통령비서실|{{{#ffc224 '''대통령비서실'''}}}]] [[사회수석비서관|{{{#ffc224 '''교육과학문화수석비서관'''}}}]]}}} || ||<-2> [[참여정부|{{{#000000 '''참여정부'''}}}]] ||<-3> [[이명박 정부|{{{#ffffff '''이명박 정부'''}}}]] || || ,,사회정책수석,,[br][[김용익]] || → || '''초대[br]이주호''' || → || 2대[br][[정진곤]] || ---- ||<-5> {{{+1 [[교육과학기술부|[[파일:교육과학기술부 MI.svg|width=40]]]] [[대한민국|{{{#043762 '''대한민국'''}}}]] [[대한민국 교육부|{{{#043762 '''교육과학기술부'''}}}]] [[교육부차관|{{{#043762 '''제1차관'''}}}]]}}} || ||<-5> [[이명박 정부|{{{#ffffff '''이명박 정부'''}}}]] || || 초대[br][[우형식]] || → || '''2대[br]이주호''' || → || 3대[br][[설동근]] || }}} || ||<-2><#003764> '''[[교육부장관|{{{#ffffff 대한민국 제53대 교육과학기술부장관}}}]]''' || ||<-2> '''[[교육부장관|{{{#fff 대한민국 제61대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br]{{{+1 이주호}}}[br] 李周浩 | Lee Joo-h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주호 교육부장관.jpg|width=100%]]}}} || ||<|2> '''출생''' ||[[1961년]] [[2월 17일]] ([age(1961-02-17)]세) || ||[[대구광역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동인동]] || || '''현직''' ||[[교육부장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 ||<|8> '''재임기간''' ||초대 [[대통령비서실|대통령실]] [[사회수석비서관|교육과학문화수석비서관]] || ||[[2008년]] [[2월 25일]] ~ [[2008년]] [[6월 20일]][* 임기 초 지지율 급락으로 대통령실 수석 전면 교체.] || ||제2대 [[교육부차관|교육과학기술부 제1차관]] || ||[[2009년]] [[1월 20일]] ~ [[2010년]] [[8월 15일]] || ||제53대 [[교육부장관|교육과학기술부장관]] || ||[[2010년]] [[8월 31일]] ~ [[2013년]] [[3월 11일]] || ||제61대 [[교육부장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 ||[[2022년]] [[11월 7일]] ~ [[현직]] || || '''링크''' ||[[http://www.kdischool.ac.kr/faculty/view.es?mid=a20401010000&type=1&page=2&emp_no=311000010|[[파일: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심볼.svg|width=25]]]] | [[https://www.facebook.com/2juho|[[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leejuhoedu/|[[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네이버 인물정보에 등록되어 있으나, 비공개 계정이다.]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eejuhoedu, 크기=20)][* 서울시교육감 선거 출마 시 사용했던 계정이다.] | [[https://www.youtube.com/channel/UC0aZFbrQt9ndVZCGU8FaAJ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이명박 정부 당시 교과부 장관을 역임하던 시절 사용하던 계정이다.] | [[https://blog.naver.com/plus_change|[[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2011년 교과부 장관 재임 당시 사용하다가 서울시교육감 선거 출마 시 사용했던 계정이다.]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배우자 박은진, 슬하 1녀[* [[워싱턴 대학교]] 경영대학 조교수이자 스텐퍼드 대학교 출신으로 [[현우진]] 메가스터디 수학 영역 강사와 동문이다.] || || '''학력''' ||[[청구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2 ([[국제경제학]] / [[학사]])}}}[br][[서울대학교 대학원]] {{{-2 ([[경제학]] / [[석사]])}}}[br][[코넬 대학교]] [[대학원]] {{{-2 ([[경제학]] / [[박사]])}}}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17대 국회의원|17]]''' || ||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소위]] 복무만료 {{{-2 ([[석사장교]])}}} || || '''약력'''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br]한국직업교육학회 이사[br][[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 교수[br]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 교학처장[br]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 교육개혁연구소장[br][[제17대 국회의원]] {{{-2 ([[한나라당]] / [[비례대표]])}}}[br][[대통령실]] 교육과학문화수석비서관 {{{-2 ([[이명박 정부]])}}}[br][[교육부차관|교육과학기술부 제1차관]] {{{-2 (이명박 정부)}}}[br][[교육부장관|교육과학기술부 장관]] {{{-2 (제53대 / 이명박 정부)}}}[br]아시아교육협회 이사장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출신 관료, [[정치인]]. [[이명박 정부]]의 마지막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지냈다. 현재는 [[윤석열 정부]]의 2대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으로 재임 중이다. == 경력 == * 1979.2. [[청구고등학교]] 졸업 {{{-1 (13회)}}} * 1983.2.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졸업]], [[무역학]] [[학사]] * 1985.2.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 경제학 [[석사]] * 1990.6. [[한국개발연구원|국민경제제도연구원]] 책임연구원 * 1990.8. ~ 1991.12. [[미국]] [[코넬 대학교]] 대학원 졸업, 경제학 [[박사|Ph.D.]] * 1991.12. ~ 1997.12.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 * 1994.3. ~ 1995.3. 대통령 직속 [[교육개혁위원회]] 연구원 * 1994.9. ~ 2002.8. [[고용노동부|노동부]] 정책자문위원회 고용정책자문분과 전문위원 * 1996.5. ~ 1997.1. 대통령 직속 노사관계발전위원회 연구원 * 1998.1. ~ 2003.6.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 부교수 * 1998.10. ~ 2000.12.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 교육정책심의회 위원 * 2000.1. ~ 2002.2. 한국노동경제학회 회원 * 2001.6. ~ 2003.6. [[한국여성개발원]] 자문위원 * 2001.6. ~ 2004.5. 한국직업교육학회 이사 * 2001.7. ~ 2002.8.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 교학처장 * 2002.1. ~ 2004.5. 한국경제금융교육학회 자문위원 * 2002.3. ~ 2004.5. 한국노동경제학회 이사 * 2002.9. ~ 2003.6. 미국 [[콜게이트 대학교]] A. Lindsay O'Connor 대학원 석좌교수 * 2003.6. ~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 2003.7. ~ 2004.5.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 교육개혁연구소장 * 2004.5. ~ 2008.3. [[제17대 국회의원]] {{{-1 (초선 / [[한나라당]] / [[비례대표]] 12번)}}} * 2007.12. ~ 2008.2. [[이명박|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회교육문화분과위원회 간사 * 2008.2. ~ 2008.6. 초대 [[대통령비서실|대통령실]] [[사회수석비서관|교육과학문화수석비서관]] {{{-1 ([[이명박 정부]] / 차관급)}}} * 2009.1. ~ 2010.8. 제2대 [[교육부차관|교육과학기술부 제1차관]] {{{-1 (이명박 정부 / 교육 정책 분야)}}} * 2010.8. ~ 2013.3. 제53대 [[교육부장관|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이명박 정부)}}} * 2011.4.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 위원장 * 2013.4. ~ UN Korea 아카데믹 임팩트 위원 * 2014.7. ~ 2018.8.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책위원회 위원장 * 2015.9. ~ [[국제연합]] 글로벌 교육재정위원회 위원 * 2016.7. ~ 2018.6. 2018 세계개발보고서 자문위원 * 2017.6. ~ 2019.6. International Initiative for Impact Evaluation (3ie) 위원 * 2018.9. ~ 2019.9.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Consortium for Science, Policy & Outcomes 방문연구원 * 2019.10. ~ 2021.8. 브루킹스 연구소 선임연구원 * 2020.4. ~ 2022. 8. 아시아교육협회 이사장 * 2021.4. ~ 케이정책플랫폼 이사장 * 2022.11. ~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1 ([[윤석열 정부]])}}} == 생애 == 1961년 [[대구광역시]] [[동인동]]에서 아버지 이종구의 아들로 태어났다. [[청구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무역학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미국]] [[코넬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 과정을 졸업했다. 이후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과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교수]]로 근무하면서 교육정책 수립에 관여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비례대표제|비례대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치러진 한나라당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후보 [[경선]] [[전당대회]]에서 [[이명박]] 후보를 지지하여 [[친이]]계에 속하였다. [[이명박 정부]] 출범 직후 대통령실의 교육사회문화수석을 지내고 2009년 1월부터 2010년 8월까지 교육과학기술부(현 [[대한민국 교육부]]) 제1[[차관]]을, 2010년 8월부터 2013년 2월까지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그야말로 이명박 정부의 교육은 그가 책임졌다봐도 과언이 아니다. [[자사고]] 설립을 뼈대로 하는 '고교다양화300프로젝트', 학업성취도평가 전수실시 및 평가결과 공개 등 이명박 정부의 굵직한 교육정책을 주도했다. 또한 [[교과서진화론개정추진위원회]]의 요청을 수락하여 [[교과서 진화론 삭제 사건]]이 일어났다. 2012년 시인 [[도종환]]이 [[민주당]] 소속으로 정계에 투신하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정치적 중립성 논란을 피하기 위해 교과서에서 그의 시를 삭제하라고 권고한 바 있는데, 이에 진보 좌파 지지자들이 격렬하게 반발하며 논란이 야기된 바 있다. 이에 한국교육평가원은 긴급회의를 소집해 권고를 철회하기로 결정했고, 도종환의 시는 교과서에 계속 수록되었다. [[2012년]] 지방 사립대 총장들의 고충에 따라 수도권 대학 편입학 정원 감축을 단행하여 당시 편준생들의 원성을 자아내기도 했다. [[친이]]계 정치인답게 2022년 1월 24일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 석방을 촉구하기 위한 전직 국회의원들의 성명서에 이름을 올렸다. [[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2/01/24/2022012400084.html|#]]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교육감 선거에 AI 교육 에듀테크 교육개혁을 공약으로 서울특별시교육감 출마를 선언하였으나 보수 단일화를 촉구하며 사퇴하였다. [[https://www.edpl.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62|#]] [[http://www.edupress.kr/news/articleView.html?idxno=9637|#]] 하지만 보수 단일화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결국 진보 성향 [[조희연]] 교육감이 38%대 득표율로 3선 고지를 밟았다. 17개 시·도 교육감 중 8곳을 차지했던 보수 진영의 선전에도 불구하고 보수 진영 후보의 난립으로 서울특별시교육감을 내준 장본인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http://m.munhwa.com/mnews/view.html?no=2022060301070527328001|#]] [[박순애]]의 사퇴 후 [[윤석열 정부]]의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력 후보군으로 언급되고 있었고 사실상 내정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22/0000562613?sid=100|#]] 9월 29일 [[대한민국 부총리|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으로 지명되면서 9년 만에 같은 자리로 재입각하게 되었다. [[https://yna.co.kr/view/AKR20220929115251001|#]] 마침내 2022년 11월 7일 윤 대통령이 청문보고서 채택 없이 이주호 후보자의 임명을 재가하면서 제61대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으로서 업무를 시작하게 되었다. [[박순애]] 전 [[교육부 장관]]의 사퇴 이후 81일만이다. [[국회]] 청문보고서 채택없이 임명이 강행된 고위직 인사로는 [[윤석열 정부]] 들어 14번째이다. [[https://biz.chosun.com/policy/politics/2022/11/07/I5B245U5MZAOTBBNUGACBOJO74/?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 선거 이력 ==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 [include(틀:한나라당)] || '''7,613,660 (35.76%)''' || '''당선 (12번)''' || '''초선'''[* 2008.3.1. 대통령실 수석으로 임용되어 탈당함에 따라 의원직을 상실했다.] || == 소속 정당 == || '''{{{#ffffff 소속}}}''' || '''{{{#ffffff 기간}}}''' || '''{{{#ffffff 비고}}}''' || || [include(틀:한나라당)] || 2004 - 2008 || 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2008 - 현재 || 공직 취임으로 인한 탈당 || == 여담 == * [[의과대학]]을 폐지하고 [[의학전문대학원]]로의 유입을 늘리자는 취지의 발언을 하였다. [[http://m.dhnews.co.kr/news/view/179510652585060|이주호 장관, 의학·치의학전문대학원이 의대·치의대로 복귀하지 않고 현 체제를 유지할 경우 교수 증원을 비롯해 행정·재정적 지원을 할 것]] [[https://v.daum.net/v/20101012141025268|이주호 장관, 의학·치의학 전문대학원이 전문대학원 체제 유지 시 행정, 재정 지원을 지속할 것]] *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17090728997|이주호 前 장관 "보수 우파는 기득권이나 이익집단에 포획된 이익집단으로 변질됐다"]]라는 발언을 한 적이 있다. *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 폐지를 지지하는 입장인데 아이러니하게도 교육부 장관에 있다.[* [[https://v.daum.net/v/20170424183317450|이주호 前 장관 "교육부 해체하고 대학 절반 줄여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3324|'교육부 폐지' 주장한 이주호 전 장관, 교육부 장관 후보 거론 "尹 펼쳐야할 교육개혁과 맞지 않아"]] [[https://m.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2203240300035|이주호, 교육부 해체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의 통합방안을 제기]] [[https://v.daum.net/v/20070604112710948|이주호, "교육부부터 과감하게 폐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이는 취지상 교육부 개혁을 두고 한 말이다. * 고등학교 내신을 모두 절대평가로 전환하자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https://www.news1.kr/articles/?4894958|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최근 교육부에 고등학교 1~3학년 전체 내신 성적을 성취평가제로 전환 추진, 고교내신 전면 절대평가? "대학진학을 위해선 자사고·특목고 가라는 말, 수능·대입 모두 부담 커져"]] * 2023년 [[정순신 아들 학교폭력 가해 사건]]과 관련하여, '[[학교폭력]]에 대해서는 [[엄벌주의]] 기조가 맞다고 본다.'며 관련 규정을 강화할 것을 시사하였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0302080300530?input=1195m|#]] *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9주기 기억식 행사에 불참하겠다고 선언하였다. 교육부 차원의 추도사도 내지 않겠다고 밝혔다. 전교조는 이에 비판 성명을 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0414136900530?input=1195m|#]] [[http://www.global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662|이주호 교육부 장관, 세월호 참사 기억식 불참···교육부 공문에서도 '세월호' 사라져]] == 비판 및 논란 == * 의원 시절 [[정치자금법|정치자금]]을 사용했다는 의혹에 사적인 사용이 없었다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5/0001004896?sid=100|[단독] 이주호, 집 주변 3년4개월 1500만 원 정치자금 사용.."열심히 한 결과..사적 사용 없어" 취재파일]] * [[https://m.edaily.co.kr/News/Read?newsId=02706006632557864&mediaCodeNo=0|이주호 장관 "대입 수시전형의 신뢰성 하락의 원인은 교사들 때문"]] === 자녀 관련 비리 의혹 === *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210271351011|이주호, 딸 장학금 준 기업에 장관상 수여···'아빠찬스' 의혹 증폭]]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102614490003324?did=NA|이주호, 아빠찬스·이해충돌 논란 증폭..."딸과 논문 3편" 李 "사실 아냐"]] *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1028500078&wlog_tag3=naver|이주호 “딸과 쓴 논문 공정성 미처 생각 못해…AI기업 홍보 의도 없어”]] * 딸이 [[이중국적]]을 택해 논란이 일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610588?sid=102|[단독] 이주호 후보, 교육차관 때 '딸 이중국적 유지' 택했다]] === [[교과서 진화론 삭제 사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교과서 진화론 삭제 사건)] === [[교원전문대학원|임용시험 폐지, 교·사대 로스쿨식 전문대학원 전환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교육전문대학원, 문단=2)] [[https://v.daum.net/v/20090722183505458|이주호,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임용시험을 전부 폐지하고 로스쿨 형식의 교육전문대학원 설립을 추진할 것]] [[https://m.hani.co.kr/arti/society/schooling/1069969.html|이주호 “교대·사대, 로스쿨처럼 전문대학원으로”…]] [[http://www.edupress.kr/news/articleView.html?idxno=9863|교대와 사범대를 법학전문대학원처럼 전문대학원 체제로 전환하고 임용시험 면제할 것]] === [[AI]] 교육 에듀테크 업체 관련 논란 ===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1064643.html|돈으로 엮인 '이주호 - AI 교육 에듀테크 업체' 총정리…청문회 관전 포인트 셋]] [[http://www.edupress.kr/news/articleView.html?idxno=9648|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이사장을 맡았던 아시아교육협회에 AI 교육 에듀테크 기업이 억대의 후원금 지원]] [[https://www.chosun.com/national/education/2022/10/26/7YINRLLL6FC2NI5NYN7MYZB6N4/|이주호 장관 후원 AI 교육 에듀테크 업체들, 'K-에듀 플랫폼' 자문단 참여…이해충돌 우려]] [[https://m.khan.co.kr/national/education/article/202210261437001?utm_source=urlCopy&utm_medium=social&utm_content=sharing|이주호 장관 "AI 교육 에듀테크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도록 학교가 에듀테크 기업들에게 테스트베드(시험장)을 제공해야 한다"]] [[https://news.kbs.co.kr/mobile/news/view.do?ncd=5586254|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아시아교육협회 설립 당시 '에듀테크' 업체와 공동 출연]]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210248661Y|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이사장을 맡았던 협회에 에듀테크 기업이 고액의 기부금을 낸 것으로 나타나 교육정책에 사교육업체 입김 우려]] [[https://www.yna.co.kr/view/AKR20221026001500530|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원 사교육업체들, 국정과제 'K-에듀플랫폼' 자문 참여]]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21024/116123311/1|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아시아교육협회 이사장으로 재직할 당시 에듀테크 업체가 1억원 기부금 후원]] [[https://n.news.naver.com/article/047/0002381061?cds=news_edit|이주호, 유착 의혹 '아시아교육협회-I업체' 관련시설 방문 논란]] ===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폐지, 정시전형 축소 논란 === [[http://www.ngopress.kr/news/articleView.html?idxno=1151|이주호 장관 "정시 확대는 참담하다”, "정시확대는 교실 개혁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일”, '조민 사태' 겪고도...정시확대 참담하다? 학부모들 부글부글]]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016933|이주호 장관 "수능 폐지해야" 교육부는 "검토 안 해"…학생들은 '어쩌라고?']] [[https://m.inews24.com/v/1550558|이주호 장관 "수능 없어질 것"]] [[https://m.kmib.co.kr/view.asp?arcid=0924268176|이주호 장관 ''AI 에듀테크 평가로 수능 대체해야”]] [[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2/10/13/2022101300104.html|이주호 장관 "수능 폐지하고 AI 에듀테크가 학생 평가해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21053|이주호 장관 "정시확대 참담…나는 수능 폐지론자”]] === [[윤석열 정부 수능 출제 방침 지시 관련 파문]] === 2023년 6월 15일 교육부 장관의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대통령이 직접 수능 출제 방향 및 난이도에 대하여 언급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윤석열 정부 수능 출제 방침 지시 관련 파문]] 참고. === [[공교육 멈춤의 날]] 징계 논란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youtube(8IOoO4vRFgY)]}}}|| 이주호 교육부장관은 2023년 9월 4일날 연가나 병가를 사용하는 교사들은 우회 파업으로 간주하고 일벌백계 하겠다며, 실제로 그런 행동을 하는 교사들이 있을 경우 파면과 해임부터 징계를 시작할 것이고 전원 형사고발 할 것을 천명했다.[[https://v.daum.net/v/20230827154402252|#1]] [[https://v.daum.net/v/20230827181411693|#2]] 이로 인해 여러 단체에서 이주호를 공수처에 고발한 상태다. 이에 발언 수위를 살짝 낮추었지만 반발은 계속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uFjFs9xuKc|#]] [[9월 5일]] 열린 국회 예결특위 전체회의에서 민주당 [[강훈식]] 의원의 이번 논란 관련 질의에 대해 이 장관은 공식적으로 교사들에 대한 징계는 없을 것이라고 공언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Yrjy1upzAns|#]] === 자율전공 의대 입학 발언 논란 === 이주호 교육부장관은 2023년 10월 19일날 의대 증원 정책으로 비판이 큰 가운데 자율전공으로 대학에 입학한 학생이 의대에 갈 수 있도록 하는 안을 검토 중이라는 발언을 하여 논란이 되었다. 이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이주호 장관에게 경고를 하였고 대통령실에서 계속해 격앙된 반응이 나오자 결국 신중하지 못한 발언에 대해서 직접 사과했다.[[https://v.daum.net/v/20231020191447645|#]] == 둘러보기 == [include(틀:이명박 정부의 국무위원)] [include(틀:윤석열 정부의 국무위원)] [include(틀:한나라당 제17대 국회 비례대표)] [Include(틀:대한민국대통령소속위원회장)] [[분류:1961년 출생]][[분류:중구(대구) 출신 인물]][[분류:이명박 정부/인사]][[분류:제17대 국회의원]][[분류:한나라당 국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교수]][[분류:한국의 경제학자]][[분류:학자 출신 정치인]][[분류:한국개발연구원 출신 인물]][[분류:수석비서관]][[분류:교육과학기술부 차관]][[분류:교육과학기술부 장관]][[분류:윤석열 정부/인사]][[분류:부총리 겸 교육부장관]][[분류:청구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코넬 대학교 대학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