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종호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빙그레 이글스|{{{#ffffff 빙그레 이글스}}}]] 등번호 23번}}}''' || || 임정면[br](1987~1988) || {{{+1 →}}} || '''이종호[br](1989~1992)''' || {{{+1 →}}} || 우태원[br](1993~1994) || ||<-5> '''{{{#ffffff [[빙그레 이글스|'''{{{#ffffff 빙그레}}}''']]{{{/}}}[[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4번}}}''' || || [[고원부]][br](1986~1991) || {{{+1 →}}} || '''이종호[br](1993~1995.5.10.)''' || {{{+1 →}}} || --[[조효상]]--[br](1996~1998) || ||<-5> '''{{{#131B66 [[태평양 돌핀스|{{{#131B66 태평양 돌핀스}}}]] 등번호 46번}}}''' || || [[이재주]][br](1992) || {{{+1 →}}} || '''{{{#ffffff 이종호[br](1995.5.11.~1995)}}}''' || {{{+1 →}}} || [[장정석]][br](1996~2002.6.15.) || ||<-5> '''{{{#fab93d [[현대 유니콘스|{{{#fab93d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1번}}}''' || || [[원원근]][br](1994~1995) || {{{+1 →}}} || '''{{{#fab93d 이종호[br](1996)}}}''' || {{{+1 →}}} || [[전준호(1969)|전준호]][br](1997~2007) || ||<-5> '''{{{#ffffff [[SSG 랜더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85번}}}''' || || 세이케[br](2014~2015) || {{{+1 →}}} || '''{{{#ffffff 이종호[br](2016)}}}''' || {{{+1 →}}} || [[박계원]][br](2017~2018) || }}} || ||<-2> '''{{{+2 이종호}}}[br]李鍾豪''' || ||<|2> '''출생''' ||[[1967년]] [[2월 15일]] ([age(1967-02-15)]세) || ||[[대전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공주중동초 - 공주중 -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 - [[동아대학교 야구부|동아대]] || || '''포지션''' ||[[2루수]], [[유격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89년/신인드래프트#s-3|1989년 2차 2라운드]] ([[빙그레 이글스|빙그레]]) || || '''소속팀''' ||[[빙그레 이글스|빙그레]]-[[한화 이글스]] (1989~1995)[br][[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 (1995~1996) || || '''지도자''' ||[[공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6~2011)[br][[부천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2~2015)[br][[SSG 랜더스/2군|SK 와이번스 2군]] 작전·주루코치 (2016) [br] [[북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7~2020)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빙그레-한화 이글스, 현대 유니콘스 소속 야구선수. 전 [[SK 와이번스]] 2군 주루코치. == 선수 경력 == 1989년 신인 드래프트 2차 2번으로 [[빙그레 이글스]]에 입단해서[* 입단 동기로 대구고-계명대를 졸업한 손경호가 있다. 손경호는 2021년도 현재 [[대구고등학교 야구부|대구고]] 감독으로 이종호 감독과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에서 대결하여 대구고로 우승기를 가지고 갔다.] 1991년까지는 백업으로 뛰다가 1992년에 [[전대영]]과 함께 2루수 주전으로 나왔다. [[전대영]]이 공격형 2루수였다면 이종호는 수비형 2루수로 활약했다. 지금으로 생각하면 [[한상훈]]정도의 역할을 맡았다. 이때가 커리어 하이였는데 103경기에 나와 2할 5푼의 타율을 기록했다.발도 나름 빨랐다고 한다. 그 후, 93년에는 방위병 복무로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고 이 해 주전 유격수였던 [[허준(1970)|허준]]이 다음 해 방위복무로 출전이 줄어들어 주전 유격수 자리를 확보했으나 늙은 선수들을 좋아하지 않는 [[강병철]] 감독의 물갈이 정책에 따라 1995년 시즌 중 [[태평양 돌핀스]]로 [[지화선]]과 함께 이적했으며 [[현대 유니콘스]]로 바뀐 1996년에 2할 7푼의 백업으로서 쏠쏠한 활약을 보여주고 은퇴했다. 통산 기록은 타율 0.225 8홈런 73타점 21도루. == 지도자 경력 == 은퇴 이후 2006년에 [[공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을 거쳐 12년에 [[부천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을 거친 뒤, 2015 시즌 종료 후 [[SK 와이번스]]의 2군 주루코치로 부임했으나 2016년 시즌 후 팀을 떠났으며, 이후 [[이강돈]] 감독의 후임으로 [[북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러나 전국대회에서 두각을 내지 못했으며 2020년에는 KBO 드래프트 지명자 0명 배출이라는 굴욕을 맛봤다. 그리고 같은 해에 [[이상군]]에게 감독 지휘봉을 넘겼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분류:1967년 출생]][[분류:대전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1989년 데뷔]][[분류:1996년 은퇴]][[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분류: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은퇴, 이적]][[분류:북일고등학교 출신]][[분류:동아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