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방송공사 본사 아나운서)] ---- [include(틀:KBS 배구)] ---- ||<-2> '''KBS 24기 아나운서[br]{{{+1 이재후}}}[br]李裁厚 | Lee Jae-Hu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재후 아나운서.jpg|width=100%]]}}} || ||<|2> '''출생''' ||[[1970년]] [[12월 30일]][* 법적 나이는 1972년생, 그리고 89학번이다.] ([age(1970-12-30)]세) || ||[[충청남도]] [[예산군]]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충남고등학교]] {{{-2 (졸업)}}}[br][[충남대학교]] {{{-2 (경제학 / 학사)}}} || || '''소속''' ||[[아나운서실|[[파일:KBS 로고(1984-2023).svg|width=48]] 편성본부 아나운서실]] '''24기'''[br]{{{-2 ([[1997년]] [[1월 1일]] ~ [[현재]])}}} || || '''경력''' ||[[KBS진주방송국|[[파일:KBS진주 로고.svg|width=80]] 아나운서]] {{{-2 ([[1997년]] ~ [[1999년]] [[여름]])}}} || || '''가족''' ||[[배우자]], 슬하 1남^^(2006년생)^^ || || '''링크''' ||[[https://office.kbs.co.kr/announcer/archives/kbsannouncer/%ec%9d%b4%ec%9e%ac%ed%9b%84|[[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eejaehuo, 크기=24)]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방송공사|KBS]] [[공채]] 24기 [[아나운서]]. == 소개와 활약상 == [[스포츠]](특히 [[축구]]) 팬들에게 캐스터로 익숙한 아나운서. [[최승돈]] - 이재후 - [[이광용]] - [[남현종]] 아나운서로 이어지는 KBS의 스포츠 전문 아나운서 계보를 잇고 있다. [[1997년]] 공채 24기 아나운서로 입사했고, 진주방송국에서 2년간 지역근무 후 1999년 가을부터 축구 중계를 시작했다. 이 때를 기점으로 스포츠(거의 축구) 전문으로 활발히 활약한다. 2000년에 [[한국방송공사|KBS]] 위성 2TV[* 지금은 KBS 프라임이고 KBS SKY 스포츠 (현재 KBS N 스포츠)가 생기기 전이다.] [[EPL]] 하이라이트를 중계해 호평을 받았다. 특히 외국 이름이 가득한 경기 엔트리를 몇 초만에 줄줄 읊어주는 스킬은 그 때부터 타고났었다. 2001년엔 [[KBS 뉴스 9#s-3|주말 스포츠 뉴스 9]]의 앵커도 하며 '위성스포츠-주간 K리그 하이라이트' MC[* KBS 1TV에서도 재방송했다.], [[2002년 한일 월드컵]] 개최 직전 특집으로 기획된 비바 월드컵 (비바 K리그의 전신)에서 일과 후의 월드컵 테마, 스타 VS 스타 코너를 진행했다. 아나운서 6년차이던 [[2002년 한일 월드컵]]의 막내급 캐스터로 중계를 맡기도 했다.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때는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중계를 했는데 스피디하고 찰진 중계 실력을 뽐냈다! 이때 [[이준호(쇼트트랙)|이준호]] 해설위원이랑 호흡이 잘 맞아 어록까지 생기기도 했다. 지금까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은 큰 대회 작은 대회 가리지 않고 본인이 단독 중계한다. 이재후 하면 [[비바 K리그]]를 빼놓을 수 없는데 [[비바 K리그]]의 초대 진행자이다. 대표 코너로는 이재후의 그,라운드와 이재후의 락커룸(시즌 7). 이 방송들을 보면 그의 변함없는 축구 사랑과 K리그 사랑을 잘 알 수 있다. '일'로 중계를 감당하는 많은 아나운서들과는 사뭇 다른 부분. ~~[[제발 한국인이면 맨유좀응원합시다|제발 K리그 팬이면 이재후 좀 응원합시다.]]~~ 2013년 방송에서는 인터넷상에서 FA컵을 친숙하게 부르던 '퐈컵'이란 용어를 지상파에 최초로 등장시킨 인물이기도 하다.[[https://news.kbs.co.kr/mobile/news/view.do?ncd=2724437|[이재후의 그,라운드] FA컵 4강 이야기]] 심지어 2016 리우 올림픽 개회식 중계[* 이 때를 기점으로 KBS의 고질병인 원맨 캐스터+사람 안 바꿔주기(...) 전통이 깨졌다. 특이한 것은 여자 패널로 아나운서가 아닌 보도국 소속 기자를 앉혀놓았다는 것. 아나운서의 중계 중간중간에 기자 특유의 팩트체크가 돋보였다는 평이 있다.]에서도 생소한 나라가 나오면 무조건 축구로 통일하는(...) 깨알 지식을 보여주었다. "아~ 저 나라 출신 선수가 마침 7월부터 전북 현대에서 뛰고 있지요!" 하는 식.(...) [[2014년]]에도 역시 빅 경기에 빠지지 않았는데,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을 시작으로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브라질 월드컵]] 현지 메인 MC를 맡고[* 중계는 하나도 없었다.] [[인천 아시안 게임]] 캐스터로 활약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5&oid=056&aid=0010075812|이런 활약을 보여주기도 했다]] 스포츠 중계에 최적화 된 하이톤의 목소리[* 그래서인지 뉴스 진행은 좋지 못하다. 라디오 뉴스나 명절 당직 뉴스 때 들어보면 실제로 부정적인 반응이 나온다고 한다.]와 특유의 말투와 리듬, 상당한 달변가에 재밌는 개드립도 종종 치는 유머러스한 사람이다. 그리고 시원한 샤우팅의 소유자. 배구 [[V-리그]] 지상파 메인 캐스터이다. 그러나 배구팬들에게는 상당히 좋지 못한 이미지로 각인되어, 지상파 중계에 진저리를 치게 만드는 주범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월드컵, 올림픽 등의 스포츠 빅 이벤트에서는 주로 개, 폐막식 담당. 하지만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KBS 홈페이지 중계진 소개에 폐막식 담당이라고 써 있었는데 막상 중계는 한석준, [[오정연]]이 했다. 또한 [[조우종]]이 프리선언을 해서 퇴사한 이후로는 KBS의 축구 메인 캐스터를 맡고 있다. 사실 리우 올림픽 때 축구 조별예선 2차전부터 메인 캐스터를 맡았다. 그러다가 2018 러시아 월드컵 부터는 메인 캐스터 자리를 이광용 아나운서에게 내어 주고 [[한준희]] 해설과 세컨드 유닛으로 주로 나선다. 간혹 축구, 야구 중계가 겹칠 경우에는 이광용 캐스터가 야구도 사실상 새롭게 맡고 있기 때문에 축구 중계도 맡았다가 도쿄 올림픽에서는 [[남현종]] 아나운서에게 축구 중계를 내주고 유도 중계를 맡게 되었다. 이후 중계 때는 축구중계를 맡을 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한 해 연기되어 2021년 개최된 [[2020 도쿄 올림픽]]에서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과 마찬가지로 현지에서 개•폐막식 중계를 맡았다. 참가국 소개 시 주 종목(배구 혹은 축구 등) 선수 이름을 대부분 이야기하고 국가정보를 잘못 전달해 초반에는 아쉬웠다는 평이 있었으나, 폐막식 중계를 마무리하며 "제32회 도쿄 비장애인 올림픽, 한국방송 KBS의 모든 중계방송을 여기서 마친다."라는 멘트를 남기며 온라인 상에서 화제가 되었다.[* 참고로 해당 멘트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평창 올림픽]] 폐막식에서도 나온 바 있다.] 또한 "인생 단 한 번의 기회가 될지 모르는 올림픽을 위해서 땀과 눈물, 열정과 노력을 모두 쏟아부은 대한민국 젊은이들을 우리는 국가대표라고 부른다. 국가대표들이 혼자서 싸우고 있지 않음을 알게 해준 시청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시청자 여러분은 최고의 스포츠 팬이셨다. 올림픽 시청자 종목의 금메달리스트였다." 라고 인사를 전하는 등 중계를 담당한 아나운서로서 최고의 인사말을 남겼다는 평가를 받았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도 개막식 담당을 한다. 쇼트트랙 중계 역시 맡게 되었고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개막식 담당을 했었다. 무엇보다 선배 [[최승돈]]과 MBC의 [[김성주]], SBS의 [[배기완]]처럼 대한민국 선수가 불리한 판정을 당하는 모습을 목격한 아나운서들 중 한 명이다. 특히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2008 베이징 올림픽|두]]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번]]의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선수들이 중국의 악명 높은 홈텃세에 당해 금메달을 빼앗기는 순간을 모두 중계했는데, 그 피해자가 양궁의 [[박성현(양궁)|박성현]][* [[배기완]] 캐스터도 이 경기를 중계했다. 그리고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500m 결승에서 [[박승희]]가 [[엘리스 크리스티|어느 영국 선수]]의 자폭테러로 금메달이 무산되는 순간까지 중계했다.]과 쇼트트랙의 [[이준서(쇼트트랙)|이준서]], [[황대헌]]이었다. == 진행 == === TV === * [[KBS2]] [[여기는 TV 정보센터]] * KBS1 [[도전 골든벨]] (148회 대전 충남고 편 출신 동문으로 잠시 출연) * [[KBS2]] [[생방송 세상의 아침]] * [[KBS1]] [[TV비평 시청자데스크]] * [[KBS1]] [[생로병사의 비밀]] * [[KBS2]] [[비바 K리그]] * [[KBS1]] 유유자작 * [[KBS2]] 따봉 월드컵 === 라디오 === * [[KBS 2FM]] 사랑해요 FM * [[KBS 클래식FM]] [[출발 FM과 함께]] (2020년 ~ 현재) == 여담 == * 아나운서의 [[외계인]]으로 안경은 투명 테두리 없는 것을 착용한다. * [[아나운서]]가 되기 전에 잘 나가는 IT 회사 사원이었다고 한다. 이재후 아나운서를 검색하면 블로그 글 하나가 뜨는데... --오오 갓재후-- * [[한국방송공사|KBS]] 공채 24기 입사 전에 [[불교방송]]에서 아나운서 제의를 몇 번이나 받고 실제로 일했다. * 충남대 경제학과 시절 [[호나우두]]의 믿을 수 없는 플레이를 보고 이를 중계하고 싶은 마음에 스포츠 아나운서를 지망하게 되었다고 한다. * [[http://cluster1.cafe.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Jnt6&fldid=I41M&contentval=000CAzzzzzzzzzzzzzzzzzzzzzzzzz&nenc=&fenc=&q=k%B8%AE%B1%D7%BD%C3%BB%F3%BD%C4%C1%F8%C7%E0%C0%DA&nil_profile=cafetop&nil_menu=sch_updw|센터링 용어를 '크로스'라고 발언한 최초의 캐스터]]로 알려졌다. 이 글을 읽어 보면 EPL 중계 시절 [[첼시 FC|첼시]]의 [[지안프랑코 졸라|졸라]]가 공을 잡을 때마다 곤욕을 치렀음을 알 수 있다. * [[2000년]] 결혼해 [[2006년]]에 아들을 얻었다. * 입사 초기부터 줄곧 [[무테안경]]을 쓰다가 2011년 10월부터 둥근 테의 안경으로 바꾸었다. * [[도전 골든벨]][* 당시 남자MC는 같은 해 11월 10일 까지 공채 24기 동기생으로 진행한 [[윤인구]]이었다.] 의 2002년 10월 27일, 148회 대전 충남고 편(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최후의 1인 윤준석(당시 2학년)) 출신 동문으로 잠시 출연하지 않고 VCR 영상 메세지를 전했다. * 미혼인 줄 알고 웨딩 잡지에서 섭외하려 했던 적이 있다고 한다.[* 실제 나이에 비해 동안이다.] * [[이성재]] 닮은꼴이라는 얘기가 있다. 입사 초기 사진을 보면 좀 닮았다. (...) * 중국 공산당의 초기 지도자인 [[취추바이]]와 닮았다. * 아나운서 답지 않게 [[룩셈부르크(노래)|"포르투갈"을 "포르투칼"이라고 발음하고 "아르헨티나" 를 "아리헨티나" 라고 발음한다.]] [[한준희|해설자]]는 오히려 "포르투갈"이라고 제대로 발음하는데 정작 자신이 캐스터를 하면서 계속 "[[포르투갈|포르투칼]]" , "[[아르헨티나|아리헨티나]]" 라고 틀리게 발음하는 것에 대해서 거슬린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 포르투갈전이 끝나고 전국민이 가나전을 보기 위해 KBS로 채널을 틀었는데 가나팀의 골키퍼 [[로렌스 아티지기]]를 '''세계 최고의 골키퍼'''라고 극찬하며 신명나게 해설했고 로렌스 아티지기는 기대에 걸맞게 선방하며 대한민국 16강을 견인했다. [[분류:한국방송공사 남성 아나운서]][[분류:예산군 출신 인물]][[분류:1970년 출생]][[분류:충남고등학교 출신]][[분류:충남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