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회의장)] ||
'''{{{#cfa547 역임한 직위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 [include(틀:산업통상자원부장관)] ---- [include(틀:제1공화국의 국무위원)]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도|{{{#cfa547 경기도}}}]] [[시흥시|{{{#cfa547 시흥군}}}]])'''}}} || || (제헌국회 개원) || → || 제1,2대 [br] ''' 이재형 ''' || → || 제3대 [br] [[이영섭(정치인)|이영섭]] || || 제3대 [br] [[이영섭(정치인)|이영섭]] || → || 제4대 의원, 제5대 민의원 [br] ''' 이재형 ''' || → || 제6대 [br] [[옥조남]] || ---- [include(틀:민주정의당 총재 및 대표)] ---- [include(틀:역대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이사장)] ---- ||<-7> '''[[전주 이씨|[[파일:전주 이씨 종문.svg|width=30]]]] [[인성군#s-5.1|{{{#d7f2f5 전주 이씨 인성군파의 역대 종주}}}]]''' || || 10대 이규응 || {{{+1 →}}} ||<-2> '''{{{#d7f2f5 11대 이재형}}}''' || {{{+1 →}}} || 12대 이홍용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80009 0%, #580009 20%, #580009 80%, #580009)" '''[[대한민국 국회의장|{{{#cfa547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장}}}]][br]{{{#cfa547 {{{+1 이재형}}}[br]李載瀅 | Lee Jae-hyu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646853a-2d00-49.jpg|width=100%]]}}} || ||<|2> '''출생''' ||[[1914년]] [[11월 7일]] || ||[[경기도]] [[시흥군]] 남면 [[산본동|산본리]][br](現 경기도 [[군포시]] [[산본동]])[* [[전주 이씨]] 집성촌이다.] || ||<|2> '''사망''' ||[[1992년]] [[1월 30일]] (향년 77세)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종로구)|사직동]] 262-77[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왕산로 7) || || '''본관''' ||[[전주 이씨]][* [[인성군]]파 10대손, 시조 41세손 재○(載○) 항렬.] || || '''호''' ||운경(雲耕) || ||<|8> '''재임기간''' ||제5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공부장관]] || ||[[1952년]] [[11월 6일]] ~ [[1953년]] [[10월 7일]] || ||제4대 후반기 [[대한민국 국회부의장|국회부의장]] || ||[[1960년]] [[6월 7일]] ~ [[1960년]] [[6월 23일]] || ||제12대 전반기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 || ||[[1985년]] [[5월 13일]] ~ [[1987년]] [[5월 12일]] || ||제12대 후반기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 || ||[[1987년]] [[5월 13일]] ~ [[1988년]] [[5월 29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이규응, 어머니 양남옥[* 남원 양씨 양승환(梁升煥)의 딸이다.] || || '''형제자매''' ||남동생 [[이재준(기업인)|이재준]], 이재원, 이재우, 이재연 || || '''배우자''' ||류갑경(柳甲慶)[* [[전주 류씨]] 류인희(柳仁熙)의 딸이다. 다음은 출처 사진들이다. [[파일:이규응 이재형 부자 족보 2.png]][[파일:류갑경 족보.png]]] || || '''자녀''' ||장남 이홍용[br]차남 이두용[br]삼남 이철용[br]사남 이인용[* 다음은 출처 사진이다. [[파일:이재형 자녀 족보.png]]] || || '''학력''' ||[[경기고등학교|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2 (중퇴)}}}[br][[배재고등학교|배재고등보통학교]] {{{-2 (졸업 / 49회)}}}[br][[주오대학]] [[대학 전문부|전문부]] {{{-2 ([[법학]] / 졸업)}}} || || '''의원 선수''' ||'''7''' || || '''의원 대수''' ||[[제헌 국회의원|'''1''']], '''[[제2대 국회의원|2]]''', [[제4대 국회의원|'''4''']], '''[[제5대 국회의원|5]]''', '''[[제7대 국회의원|7]]''', [[제11대 국회의원|'''11''']], [[제12대 국회의원|'''12''']] || || '''경력''' ||경남경기각지금융조합 이사[br]조선금융조합연합회 사업부장[br]제5대 상공부장관[br]제4대 후반기 민의원부의장[br]신민당 부총재[br]국정자문회의 위원[br]민주정의당 대표위원[br]민주정의당 총재 상임고문[br]한일친선협회 회장[br]제12대 국회의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재준(기업인)|이재준]] [[대림산업]] 창업주의 맏형이다. [[제11대 국회의원]] 및 재선 안양시장을 지낸 [[이석용]]은 5촌 당질(堂姪)이다. == 생애 == [[1914년]] [[11월 7일]], [[경기도]] [[시흥군]] 남면 [[산본동|산본리]](현 [[군포시]] [[산본동]])에서 아버지 성재(省齋) 이규응(李奎應, 1882. 9. 1 ~ 1948. 8. 15)[* 자는 성오(成五).]과 어머니 [[남원 양씨]](南原 梁氏) 양남옥(梁南玉, 1886. 7. 10 ~ 1962. 11. 4)[* 양승환(梁升煥)의 딸이다.] 사이에서 5남 4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이규응은 [[조선]] [[선조(조선)|선조]]의 서7남 [[인성군]]의 10대 종주이자 9대 종손(宗孫)[* 다음은 이하 출처 사진이다. [[파일:이규응 이재형 부자 족보.png]]]으로, 1919년부터 1927년까지 시흥군 남면 면장을 지냈다. 이재형 역시 아버지의 뒤를 이어 후대 종손이 되었다.[* 덕흥대원군 기준 12세손 '재(載)' 항렬. '''[[헌종(조선)|헌종]], [[고종(대한제국)|고종]]의 동생 뻘이다.'''(흥선대원군의 이름 이하'''응''' - 고종의 초명 이'''재'''황.) 여담으로 조선 후기로 갈수록 조선 왕실의 직계 혈통이 헌종 대에 단절되고 손이 귀해지면서 왕실과 같은 혈통인 덕흥대원군파,특히 봉사손들은 사실상 종친이나 진배없는 수준의 예우를 받았다고 한다.[* 선조가 명종의 이복형인 [[덕흥대원군]]의 3남이며 순회세자가 요절하여 후사가 없던 명종의 후계자로 낙점되어 왕위를 계승했다. 이 때문에 선조 이후의 조선 국왕들은 모두 덕흥대원군파의 일원이다.]따라서 헌종, 철종과는 17촌, 18촌으로 사실상 남이나 다름없던 고종이 왕이 될 수 있던 것도 할아버지인 남연군이 덕흥대원군파의 일족으로 사도세자의 아들인 은신군의 양자로 입적되었기 때문이다.] [[경기고등학교|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현 [[경기고등학교]]) 재학 중이던 1932년 1월 20일 최영철(崔英澈)의 권유로 같은 학교 학우 김춘희(金春熙)가 책임자로 있던 독서회에 김은환(金誾煥)·손우현(孫禹鉉)과 함께 가입했고, 이후 매주 금요일 방과 후에 [[공산주의]]를 연구하는 정기 모임을 가졌다. 그러나 1932년 2월 20일 최영철이 검거되면서 조직이 발각되었고, 이재형 또한 [[서울종로경찰서|경성부 종로경찰서]]를 거쳐 경성지방법원 검사국에 송치되었다. 1932년 7월 30일 직접적인 공산주의 활동을 벌인 것이 아니라는 이유로 [[기소유예]]로 [[불기소처분]]이 [[http://db.history.go.kr/id/gsdc_002_0700|내려졌으나]] 학교 당국으로부터 퇴학당했다. 이후 [[배재고등학교|배재고등보통학교]]([[https://paichai.hs.kr/baejae_intro/award_winners.php|49회]])로 편입하여 1934년 졸업했다.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 [[주오대학]] [[대학 전문부|전문부]] [[법학과|법과]]에 입학해 1938년 졸업하였다. 귀국 후에는 안양금융조합 이사를 지냈고, [[8.15 광복]] 후에는 조선금융조합연합회 사업부장 및 고문 등을 지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기도 시흥군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국민당]] 후보로 경기도 시흥군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제2대 국회의원]] 임기 중이던 1952년 11월 6일부터 1953년 10월 7일까지 [[https://www.motie.go.kr/motie/mi/mr/ministerhistory/historyminister/historyMinisterUser/historyMinisterList.do?dir_div=Minister|제5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공부장관]]을 역임했는데, 이때 당시 [[이범석]]계와 연관이 있는 족청파(族靑派)로 지목받기도 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기도 시흥군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얼마 뒤 후보직을 사퇴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1951년)|자유당]] 후보로 경기도 시흥군 선거구에 출마해 현직 지역구 국회의원이던 무소속 [[이영섭(정치인)|이영섭]]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제4대 국회]] 말기이던 1960년 [[대한민국 국회부의장|국회부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이후 같은 해 치러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기도 시흥군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1967년)|신민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1968년 신민당 부총재가 되었다. 1971년 [[제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둔 신민당 [[전당대회]]에서 [[김대중]]을 지지했다.[* 물론 경선 2차 투표의 캐스팅보터는 [[이철승]]이었지만, 이런 배경이 없었다면 김대중 의원이 대통령 후보가 되기 어려웠을 수도 있다.] 그러나 정작 신민당 대통령 후보가 된 [[김대중]]과의 대선 중 갈등으로 신민당을 탈당하여 군소정당 [[국민당(1971년)|국민당]]에 몸담았다가, 1972년 [[10월 유신]] 이후 정계를 떠나 고향인 시흥군 남면 산본리의 농장에서 소일하면서 [[제헌동지회]] 회장을 지냈다. 1981년 돌연 [[민주정의당]] 창당발기인으로 정계에 복귀했다[* 이때 [[이종찬(1936)|이종찬]]과 [[권정달]]이 이재형을 만나 합류를 요청했다. 하지만 이재형은 자신의 몸값을 높여야 하니 즉답을 주지 않고 [[전두환]]을 직접 만나게 해달라고 요청했고, 결국 전두환과의 면담 끝에 합류를 결정했다.].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1983년까지 초대 대표위원[* 총재는 당연히 전두환 대통령이었고, 이재형 대표위원은 당의 2인자로서, 대통령인 총재를 대신해 당을 운영하는 역할을 했다.]을 역임했다. 이 시기 한일친선협회의 회장을 맡기도 했고, 일본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기도 하였다. "귀족적 / 옹고집이라 불릴 정도로 강단이 있어" 민정당 주류 세력과 "마찰을 빚다 '83년『자살이냐 타살이냐』는 독설과 함께 대표위원직을 물러났다."고도 한다. 대표 사퇴 이후 민정당 상임고문, 전당대회 의장을 맡았고 1985년 치러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정의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그 해부터 1988년까지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을 지냈다. 그것도 전/후반기 3년을 모두 재직했다.[* 당시엔 국회의장이 전/후반기를 나누어 재직하는 관례가 없기도 했거니와, [[6.29 선언]]으로 불과 3년만에 [[제13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지면서 후반기 의장으로서의 재직 기간은 1년을 조금 넘기는 정도였다. 그러나 당장 11대 국회는 전/후반기가 다른 인물이었고, 후반기 의장 취임도 6.29 선언 발표 전인 5월이었으니 결국 4년 내내 의장을 재임할 생각으로 재출마 했던 셈이다.] 이 과정에서 첫 취임 당시 다소 낯간지러운 에피소드가 있었는데, '''자신의 의장 당선을 자기 입으로 발표했다.''' 12대 국회 최다선 의원은 [[신한민주당]]의 [[이철승]]이었으나, 당시 국회법에는 최다선자가 아니라 최고령자가 임시의장(의장 직무대행)을 맡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최고령 의원이 바로 이재형 자신이었고, 따라서 선거의 사회를 봐야 했던 것.[* [[제15대 국회]]의 [[박준규]] 의원도 같은 상황에 처했는데, 이 때는 국회법이 바뀌어서 최다선자가 임시의장을 맡아야 했다. 박준규 의원은 당시 9선이었기 때문에 최다선자였다. 결국 그는 의장석에 올라가자마자 동료 의원들에게 양해를 구하고 국무위원이 아닌 차다선자(7선) 중 최고령자인 [[황낙주]] 의원에게 임시의장직을 양보했다.] 스스로도 민망했는지 자신의 득표수를 발표할 때 '이재형 230 표'가 아니라 ''''불초한 본인이 230 표''''[* 이 계수 과정마저도 웃지 못할 일이 벌어졌다. 총 의원수 276석 중 재적 272석인데, 당시 국회법상 의원이 제출한 명패와 표 수는 일치해야했다. 명패 갯수는 271석이고 표 수는 272표였던 것. 이재형 임시의장은 즉석에서 '''최다 득표자(그러니까 자신)의 득표를 무효표로 쳐서 1표 빼자고''' 제안하였고, 그래서 231표에서 1표 뺀 230표로 '''자신의''' 당선을 발표하였다. 이래저래 민망한 상황에서 '불초한 본인'이란 명언(?)이 나온 것. ~~자기 표 뺀 거다~~ 참고로 차득표자는 5표를 받은 제3당 [[한국국민당]]의 [[이만섭]] 의원이었다.]라고 말했다. 엄혹했던 5공 시절의 국회의장이지만 나름대로의 소신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했다. 의사진행 발언을 신청한 한 신민당 의원에게 발언 신청서 뒷면에 '''자네는 좀 참게'''라고 적어 되돌려 주는가 하면, 5공 초기 신군부를 향해서는 '''운전 면허 갓 딴 사람들이니 험한 길 급히 달리지 말고 한 눈 팔지 마라'''고 충고하는 등 그 5공도 국회의장 이재형을 다루기 까다롭게 여겼다고 한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682700#home|#]] 이런 상반된 일화들은 그가 조선말 반가의 후예이자 옛 야당의 "대부" 출신으로 민정당의 행각에 전면 가담한 핵심 실세라고 보긴 힘들었다는 점, 하지만 그런 귀족적 품성이 후배 야당 정치인들을 하대하며 정권에 부역하는 모습으로도 발휘되었음을 보여준다. 국회의장 재임 중이던 1986년 [[유성환 국시론 파동]] 때 [[신한민주당]] [[유성환]] 국회의원의 마이크를 꺼버린 일화가 유명하다. 이후 경호권을 발동해 야당 의원의 출입을 막은 채 유성환의 체포동의안 의결을 강행했다. 2년 뒤인 1987년 5월 국회의장 표결도 민망함의 연속이었다. 야당 [[통일민주당]] 의원 67명, [[신한민주당]] 의원 28명이 [[4.13 호헌조치]]에 반발하여 표결에 불참한 것. 이재형은 이번엔 재석 170석의 상황에서 불과 165표로 당선되었는데[* 1표는 같은 당의 [[김영구(1940)|김영구]] 의원, 1표는 [[채문식]] 의원, 남은 3표는 무효표였다.], 스스로도 "의석의 1/3 가량이 원 구성에 불참한 채로 의장 선거를 하고 본인이 당선된 심정에 '''혼인 잔치에 사돈집에서 거의 안 온 것 같은 심정'''"이라고 말했다. 이래저래 군부독재기 최후의 국회의장으로서 낯부끄러운, 낯간지러운 일이 많았던 인물.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민주정의당 공천에서 탈락했다. [[3당합당]] 이후 정계에서 완전히 은퇴하였으며 1992년 1월 30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종로구)|사직동]] 262-77번지 자택[* 이 집 자리가 원래 선조의 아버지 [[덕흥대원군]]과 그의 종손들이 살던 [[도정궁]] 터였다. 이재형 역시 덕흥대원군의 12대손인 것을 볼 때 기막힌 운명인 듯. 말년에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 원장을 지내기도 했다.]에서 [[숙환]]인 [[간경화]]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201300009921801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2-01-30&officeId=00009&pageNo=18&printNo=8018&publishType=00020|사망했다]]. 말년은 다소 궂겼다. 1990년 10월 21일 상처하고 1991년엔 [[군포시]] [[산본신도시]] 개발로 선산 7만여평과 생가가 수용되었다. 아내는 선산이 아닌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화성)|장안면]] 석포리에 묻혔고, 1992년 이재형 또한 이곳에 묻혔다가 2000년 내외의 묘소가 [[양평군]] [[양동면]] 삼산리로 함께 이장되었다. 국회의장 출신이라 국립현충원 국가사회유공자묘역에 안장될 수 있었을텐데 본인의 유언이었던듯 하다. 사후 1993년 그의 호를 딴 운경재단이 출범해 현재까지 사회공헌 사업을 하고 있다. 이사장은 이재형의 차남 이두용(李斗鎔, 1938. 4. 26 ~ ). [[https://www.woonkyung.or.kr/blank-3|운경재단 홈페이지]]. 제헌 국회의원 중 가장 최근까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대부분 한 자리수 대수에서 마지막이었던 것을 생각해보면 늦은 나이까지 정치활동을 했다고 볼 수 있다. == 가족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범DL가)] == 매체에서 == 1990년 MBC 특집극 [[반민특위]]에서는 배우 [[정호근]]이, 1993년 MBC 드라마 [[제3공화국(드라마)|제3공화국]]에서는 성우 [[김명수(성우)|김명수]]가 배역을 맡았다. 1998년 SBS 드라마 [[삼김시대(드라마)|삼김시대]]에서는 [[정태섭]]이 [[분장]]했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cfa547 연도}}} || {{{#cfa547 선거 종류}}} || {{{#cfa547 선거구}}} || {{{#cfa547 소속 정당}}} || {{{#cfa547 득표수 (득표율)}}} || {{{#cfa547 당선 여부}}} || {{{#cfa547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 경기 시흥군[* 제10선거구] || [include(틀:무소속)] || '''13,528 (39.36%)''' ||<|2> '''당선 (1위)''' || '''초선'''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시흥군[* 제20선거구] || [include(틀:대한국민당(1949년))] || '''12,148 (31.43%)''' || '''재선'''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2> 경기 시흥군[* 제19선거구] || [include(틀:무소속)] ||<-2> 후보 사퇴 ||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자유당(1951년))] || '''15,128 (37.00%)''' ||<|2> '''당선 (1위)''' || '''3선''' || ||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시흥군[* 제20선거구] || [include(틀:무소속)] || '''15,112 (33.87%)''' || '''4선'''[* 후반기 국회부의장][* 1961.5.16 자격정지([[5.16 군사정변]])]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3> [[전국구]]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3,554,224 (32.7%)''' || '''당선 (5번)''' || '''5선''' || || 1981 ||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2> [include(틀:민주정의당(1981~1987))] || '''5,776,624 (35.6%)''' ||<|2> '''당선 (1번)''' || '''6선''' || || 1985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 '''7,040,477 (35.2%)''' || '''7선'''[* 전·후반기 국회의장] || == 소속 정당 == || '''{{{#ffc224,#db9e00 소속}}}''' || '''{{{#ffc224,#db9e00 기간}}}''' || '''{{{#ffc224,#db9e00 비고}}}''' || || [include(틀:건국준비위원회)] || 1945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45 - 1950 || 탈당[br]정계 입문 || || [include(틀:대한국민당(1949년))] || 1950 - 1954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54 - 1958 || 탈당 || || [include(틀:자유당(1951년))] || 1958 - 1960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60 - 1963 || 탈당 || || [include(틀:민주당(1963년))] || 1963 - 1965 || 창당 || || [include(틀:민중당(1965년))] || 1965 - 1966 || 합당[* [[민정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1966 ||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신한당)] || 1966 - 1967 || 창당 ||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1967 - 1969 || 합당[* [[민중당(1965년)|민중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1969 || 자진 정당 해산 ||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1969 - 1971 || 정당 재등록 || || [include(틀:무소속)] || 1971 || 탈당 || || [include(틀:국민당(1971년))] || 1971 - 1972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72 - 1981 || 정당 해산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1981 - 1990 || 창당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0 || 합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0 - 1992 || 탈당[br]정계 은퇴[br]사망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헌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제2대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제4대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제5대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신민당 제7대 국회 전국구)] [include(틀:제7대 국회의원/전국구)] [include(틀:제11대 국회의원/전국구)] [include(틀:민주정의당 제11대 국회 전국구)] [include(틀:민주정의당 제12대 국회 전국구)] [include(틀:제12대 국회의원/전국구)] [include(틀:제헌 국회의원/대한국민당(1949년))] [include(틀:제11대 국회의원/민주정의당)] [include(틀:제12대 국회의원/민주정의당)]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 국회의장]][[분류:대한민국 국회부의장]][[분류:군포시 출신 인물]][[분류:1914년 출생]][[분류:1992년 사망]][[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제2대 국회의원]][[분류:제4대 국회의원]][[분류:제5대 민의원의원]][[분류:제7대 국회의원]][[분류:제11대 국회의원]][[분류:제12대 국회의원]][[분류:대한국민당 국회의원]][[분류:자유당 국회의원]][[분류:신민당(1967년) 국회의원]][[분류:민주정의당 국회의원]][[분류:민주정의당 총재 및 대표]][[분류:전주 이씨 인성군파]][[분류:배재고등학교 출신]][[분류:주오대학 출신]][[분류:이승만 정부/인사]][[분류:상공부장관]][[분류:간경변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