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BS의 성우)] ||<-2>
'''{{{#fff [[KBS 성우극회|{{{#fff KBS 성우극회}}}]] 26기 성우}}}''' || ||<-2> '''{{{#000000 '''{{{+1 이장원}}}''' [br] Lee Jang-w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mage/236/2013/05/13/1368408975_2_59_20130513104212.jpg|width=100%]]}}} || || '''출생''' ||[[1971년]] [[12월 11일]] ([age(1971-12-11)]세)[* 네이버 인물정보에는 73년생, [[엄상현]]과 대학 동기라고 했다. 이후 71년생으로 수정.]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신체''' ||190cm[* 역대 한국 성우들 중 [[시영준]](192cm) 다음으로 가장 크다.] | 110kg|[[O형]] || || '''가족''' ||아내, 슬하 1남^^(2010년생)^^ || || '''종교''' ||[[개신교]] || || '''학력''' ||[[중앙대학교]] {{{-2 (연극영화학 / 학사)}}} || || '''소속''' ||[[KBS 성우극회]] 26기 ([[프리랜서]]) || || '''활동 시기''' ||전속: [[1997년]] ~ [[1999년]] [br] 프리랜서: [[2000년]] ~ 현재 || || '''링크''' ||[[https://www.facebook.com/hi.jangwo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성우]]. 1997년 [[KBS 성우극회]] 26기로 입사했으며 2000년부터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 [[류다무현]], [[원호섭]], [[임진응]], [[변영희]], [[유동균(성우)|유동균]], [[오길경]], [[김상현(성우)|김상현]], [[이명원(성우)|이명원]], [[정소희(KBS 성우)|정소희]], [[은미(성우)|은미]], [[정현경(성우)|정현경]], [[한정미]]와 동기. == 상세 == [[파이브 몬스터즈]] 소속 멤버.[* 멤버 중 유일한 [[KBS 성우극회]] 소속 성우다. 나머지 멤버들은 [[MBC 성우극회]] [[안장혁|소속]] [[최석필|세]] [[송준석(성우)|명]], [[CJ ENM 성우극회]] 소속 [[시영준|한 명]]이다.] 체격이 파이브 몬스터즈의 일원인 만큼(?) 후덕하며, 굵직하면서도 호탕하고, 쩌렁쩌렁한 느낌이 드는 목소리가 특징이다. 이 사람과 목소리가 비슷한 일본의 성우는 [[타카기 와타루]]가 있으며[* 마침 [[존게|겹치는 배역]]도 있다.], 미국의 배우 찰리 데이[* 드라마 [[필라델피아는 언제나 맑음]]의 찰리 켈리 역. 두 사람 모두 [[레고 무비]]의 베니와 [[몬스터 대학교]]의 아트를 맡았다.]와도 목소리가 비슷하다. 그리고 [[이나다 테츠]]랑 겹치는 배역도 있다. 물론 비슷한 목소리를 가진 성우인 [[키무라 마사후미]]. 목소리 연기에 폭도 굉장히 넒어서 괴물이나 거친 쾌남, 악당, 수엽 덥수룩한 중년 아저씨 및 아주 우락부락한 상남자 역을 주로 맡지만 겨울왕국의 올라프나 인사이드 아웃의 빙봉 같은 아주 귀여운 이미지에 하이톤 목소리를 가진 캐릭터를 맡을 때도 종종 있다.[* 스타크래프트의 광전사 같은 게임 캐릭터나 여러 악당 괴물 쾌남같은 역할의 걸걸은 저음 톤을 맡을때와 빙봉 올라프 같은 깜찍한 하이톤 목소리를 맡을 때는 정말 같은 성우라는게 믿기기 어려울 정도로 엄청난 극과극의 180도 다른 보이스 톤을 들려준다] 특히 '''유머러스'''한 캐릭터를 연기하는 데 도가 튼 사람. 나루토의 킬러비나 겨울왕국의 올라프같이 경박하면서도 유쾌한 캐릭터와 할아버지[* 원피스 KBS판의 염소 할아버지 제니를 맡았는데 싱크로율이 장난이 아니다. 대원판 성우는 원로 성우인 [[정동열]]이 맡았다. 정동열도 나이대에 맞게 연기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평가는 이장원이 더 좋다. 이후 대원판에서 [[징베]]를 맡게 되었다.] 연기에도 매우 능한 광역계 성우다. 철의 여인에서는 원로성우인 [[이선영(성우)|이선영]]과는 부부 역할로 나왔는데, 나이 차가 심한데도 절륜하게 호흡을 맞추었다.[* 참고로 이선영 성우는 성우계의 군기반장이라 웬만한 연기못한 후배 성우들을 보면 혼내는 것만 생각해도...] 대학에서 연극영화과를 전공해 원래는 배우의 길을 걸었고, <[[세 친구(영화)|세 친구]]>, <[[후아유(영화)|후아유]]> 등의 영화에서 출연, 그 후 성우로 방향을 바꾸었다고 한다. 사극 [[자명고(드라마)|자명고]]에서도 얼굴을 비추었고, KBS 한민족 방송에서 <[[세월따라 노래따라]]>라는 프로그램을 오랜 기간 진행하다 2013년 가을 개편으로 하차하였다.[* 해당 프로그램에서는 나이가 지긋해보이는 목소리로 원로성우나 아나운서가 아닐까 착각하는 사람들도 많다.] 극중 노래를 부르는 부분이 많은데, 실력이 상당한지라[* 2017년에 개봉한 [[모아나]]에서는 [[마우이(모아나)|마우이]]를 맡아 뛰어난 랩 실력을 보인다. 거기다 예시를 든 킬러비란 캐릭터가 애초부터 랩을 잘 못하는 캐릭터다.] 각종 애니메이션의 노래 파트를 자주 맡는다. [[마다가스카의 펭귄]]에서 나오는 [[줄리언 대왕]]이 대표적인 예이다. [[겨울왕국]]에서 [[올라프(디즈니 캐릭터)|올라프]] 역을 맡아 뮤지컬 배우 못지않은 가창력을 뽐냈다. [[리틀 프린세스 소피아]]와 [[아발로 왕국의 엘레나]]에서도 본인이 맡은 캐릭터들의 삽입곡은 대부분 직접 불렀고, 영화 [[정글북(영화)|정글북]]에서도 루이 왕 역을 맡아 노래를 불렀으며 동기 정현경과 함께 디즈니 작품에 상당히 자주 출연한다. 데뷔 초창기에 바니로 배역을 맡았던 실사 TV 프로 [[바니와 친구들]]에서도 삽입곡들을 종종 불렀었다. [[하스스톤]]의 내레이션인 [[여관주인]] 역을 맡은 이후 하스스톤 팬으로부터 찬양 일색의 엄청난 대호평을 듣고 있다. 하스스톤 커뮤니티에서는 '갓장원'이라는 평을 쉽게 볼 수 있다. 내레이션뿐만 아니라 각 확장팩이나 모험 모드의 소개 영상에서 노래를 불렀는데, 이 노래도 대단히 호평이다. * 고블린 대 노움 소개 영상에서 노래를 불렀는데 상당히 고퀄리티이다.[[http://www.youtube.com/watch?v=ptHAm_Nlr0M|#]] 댓글 중에 "이 노래를 듣고 암이 나았습니다"라는 댓글을 이장원이 직접 보고 즐거웠다고 말한 바가 있다. * 두 번째 모험모드인 검은바위 산 공개 영상에서도 노래를 담당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pQNUP1oK8sw|#]] * 두 번째 확장팩 대 마상시합 공개 영상 역시 노래를 담당하며 하며 다시 한 번 엄청난 퀄리티를 선보였다. [[https://m.youtube.com/watch?v=mxiLLAmH7IA|#]] * 2015년 11월 출시된 [[탐험가 연맹]]에서는 랩에 가까운 찰진 나레이션을 선보였다.[[https://youtu.be/Tq8cXFL7uzE|#]] * [[로스트아크]]에서도 여러 조연 캐릭터들을 맡았는데 여기서도 수준급의 노래 실력을 보여준다. [[https://youtu.be/QbBFkhIU9tw|#]] * [[OGN]]의 [[하스스톤 마스터즈 코리아]]의 내레이션을 맡았다. * OGN에서 여관주인의 하스스톤 [[https://youtu.be/7n5uipZ6vGM|검은바위산 이야기]], [[http://tv.naver.com/v/505115|대마상시합 이야기]], [[http://www.gomtv.com/view.gom?contentsid=14070652&auto=1|탐험가연맹 이야기]]를 더빙했다. 영상 댓글들을 보다 보면 댓글의 8할이 성우 칭찬이다(...). 실제로 자연인 이장원의 목소리는 이장원이 연기한 여관주인과 톤과 스크래치가 확연하게 차이나는데[* 실제로 이장원은 처음에 너무 높게 톤을 잡았다가 계속 그 톤을 내느라고 정말 힘들었다고 말했다.] 여관주인의 목소리를 유지하면서 저 정도의 가창력을 선보이려면 만만찮은 실력이 필요하다. 여러모로 하스스톤이 성우 이장원의 대표작 중 하나가 되어가는 중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2016년 3월에 발표된 [[고대신의 속삭임]] 이후의 소개 영상에서는 빠졌다. 하지만 2017년 8월 23일 [[https://m.youtube.com/watch?v=_SPPh5ugFlg|하스스톤에 어서와]]에서 화려하게 복귀하였다. 이후 [[로스트아크]]에서도 로맨틱 웨폰 [[https://youtu.be/QbBFkhIU9tw|#]], 그대 기억하나요 [[https://youtu.be/f1-lL85jcqw|#]]등을 불렀다. == 여담 == *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39016&site=hs|하스스톤 인벤 인터뷰]]로 큰 호응을 얻었다. * [[https://sports.v.daum.net/v/M0O5g9asUD?f=p|포모스와의 인터뷰]]에서는 자신의 목소리에 꽤나 자부심을 가진 듯한 모습을 드러냈는데, "난 부담스럽지 않아서 오히려 좋다. 주인공이나 소년 캐릭터는 그런 목소리 가진 사람들이 하면 되는 것이다. 오히려 내 목소리를 부러워 하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라는 대답이 특히 폭풍간지이다. *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467080|리오 2 인터뷰]]에서 "내 모습에 어린이들 동심 깨질까봐 숨어 지냈다"고 밝혔다. [[https://www.youtube.com/watch?v=fM0lPRDDKf0|모아나 시사회]]에서도 "제가 어린이들에게 '나 올라프야!'라고 한번도 말하지 못했습니다."라고 하는 것을 보면 배역에 대한 애착도 강한 듯하다. * 자신이 녹음에 참여한 게임들은 어지간하면 다 해보는 편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는 본인이 맡은 드워프 종족으로 길드까지 만들어서 꽤나 했었다고.[* 직속 후배 성우인 [[남도형]]과의 대화에서 언급된 내용이다.] 하스스톤은 기본 지급 마법사로 10레벨까지 찍었지만 컴퓨터(여관 주인)에게 계속 져서 접었다고 한다. 로스트아크에서는 망치를 사용하는 바훈투르역을 맡아서인지 디스트로이어를 플레이 해보았다고 한다. 디스트로이어가 데미지는 쌘데 느려서 보스를 맞추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아마 퍼펙트 스윙 스킬인듯 싶다. *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earthstone&no=181824&page=1|한 만화]]에서는 여관주인(이장원)의 따뜻한 목소리가 한 외로운 하스스톤 유저를 울리는 내용이 담겨있다. * 2016년 KBS 라디오 연기대상에서는 [[언니쓰]]를 패러디한 엄니쓰에서 [[제시]] 역을 맡아 열창했다. * 2017년 3월 18일 ~ 3월 24일 후배 성우인 [[소연(성우)|소연]], [[박지윤(성우)|박지윤]]과 [[노래싸움 - 승부]]에 성우팀으로 출연했다.[* 모두 겨울왕국 성우진으로서 출연했다.] [[서태지와 아이들]]의 '난 알아요'[* 이때 본인이 연기한 올라프 CG가 있는 게 포인트... [[이세진(코미디언)|상대]]는 난 알아요를 몰랐기 때문에 가볍게 승리했다. 또 해당 곡이 나온 1992년 당시 그는 22세로 당연히 서태지와 아이들 노래를 즐겨 듣고 불렀을 세대이다. 직접 [[박지윤(성우)|같이 나온 후배 성우가]] 서태지 노래 잘 부른다고 언급했다.][[http://naver.me/Fh6K7xmT|#]]와 [[강진]]의 '땡벌'을 불렀다. * [[시영준]]의 언급에 의하면 시영준이 입사하기 전까지는 성우들 중에 최장신이었다고 한다. 실제로 덩치도 크고, 키도 크다. 이런 신장과 달리 와우의 [[드워프(워크래프트 시리즈)|플레이어블 드워프]]나 우마르, [[김리]][* 김리의 배우도 185cm의 장신이다.] 등등 드워프나 난쟁이 캐릭터들을 많이 맡았다. 게이머들 사이에선 거의 드워프 전문 성우로 기억될 정도. == [[이장원(성우)/출연작|주요 출연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장원(성우)/출연작)] == 관련 문서 == * [[성우/한국]]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장원, version=527)] [[분류:한국 남성 성우]][[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71년 출생]][[분류:1997년 데뷔]][[분류:중앙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