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사)] ---- [목차] [clearfix] 李資諒 (? ~ 1123) == 개요 == [[고려]]의 문신. 초명은 이자훈(李資訓)이다. [[이자연(고려)|이자연]]의 아들 [[이호(경원백)|이호]]와 [[김정준(고려)|김정준]]의 딸 통의국대부인(通義國大夫人) 김씨[* 광양 김씨(光陽 金氏)]의 차남이다. 사촌형 [[이자의]], 형 [[이자겸]]의 당파에 모두 속한 전적이 있다. == 생애 == 외척으로서 [[음서]]로 좌우위녹사 참군사(左右衛錄事 叅軍事)에 임명된다. [[헌종(고려)|헌종]] 원년인 1095년에 종7품의 지후(祗侯) 관직에 있었는데, 외척인 사촌형 이자의가 반란을 일으켰다고 하여 [[숙종(고려)|계림공]]에게 제거된다. 이자량(당시 이자훈)은 이자의의 당파로 분류된 평장사 [[이자위]] 이하 50여명에 포함되어 [[남부 지방]]으로 유배된다. 숙종 6년인 1101년 2월 두 차례에 걸쳐 반란에 연좌된 자들의 감형(개경 근처로 옮겨 유배 → 귀경 허락)이 있었는데, 이자량도 얼마 되지 않아 [[개경]]으로 돌아온 것으로 보인다. [[예종(고려)|예종]] 초에 [[윤관]]의 [[여진 정벌]]에 따라가 공을 세워 감찰어사(監察御史)에 임명된다. 예종 11년인 1116년 이영(李永)과 [[북송]]에 사신으로 가는데, 이자량은 [[송휘종]]에게 시를 지어 올리고 칭찬을 받는다. 다음번에는 [[여진족|여진 사람]]들을 데려오라는 휘종에게 이자량은 "여진은 [[인면수심|사람 얼굴에 짐승의 마음을 가졌고]], 오랑캐 중에서도 가장 욕심 많고 추악하니 상국과는 통하는 것이 불가합니다."[* 女眞人面獸心, 夷獠中最貪醜, 不可通上國.]라고 거부한다. 이자량 등은 권적(權適), 조석(趙奭), 김단(金端) 등 [[빈공과]] 급제자들과 함께 이듬해에 고려로 돌아온다. 예종 12년인 1117년 형부시랑 지주사(刑部侍郞 知奏事) 겸 태자우유덕(太子右諭德)에 임명된다. 예종 17년인 1122년 추밀원부사 태자빈객(樞密院使 太子賓客)에 오르고, 예종이 죽고 [[인종(고려)|인종]]이 즉위한 뒤에는 형부상서 추밀원사(刑部尙書 樞密院使)로 승진한다. 이자량은 공적과 명성을 자랑하기를 좋아해 권세 높은 형 이자겸에게 의지하고 적극 협조했다. 예종 15년인 1120년 12월 [[순덕왕후]]의 상(喪)이 끝나자 평장사(平章事) 이자겸과 둘이서 예종에게 불려가 술자리를 즐긴 일화는 당시 이자량의 지위를 가늠케 한다. 추밀원사(樞密院使) 이자량 아래에 [[한안인]](韓安仁), [[문공미]] 등이 같이 [[중추원|추밀원]]에서 관직을 지냈는데, 이들은 이자겸 파벌 견제를 위해 예종이 꽂아넣은 인물들로 이자겸·이자량과 갈등을 빚고 있었다. 이후 추밀원사 이자량에게 '한안인과 문공미 이 둘이 무리를 지으면 이영공(이자겸)에게 불리할 것'이라는 참소(讒訴)가 들어왔고, 이는 곧바로 이자겸에게 전해져 관련자들이 죽거나 유배된다. 이후 이자량의 병이 깊어지자 인종은 수사공 중서시랑평장사(守司空 中書侍郞平章事)로 승진시키지만, 형인 이자겸이 [[이자겸의 난|실각]]하기 3년 전인 인종 원년인 1123년 1월 23일(음력) 병으로 사망한다. == 가족관계 == [include(틀:고려 재상지종)] 사촌형인 [[이자인(고려)|이자인]]의 차녀, 즉 [[5촌]] 조카(종질)를 아내로 맞아 아들 없이 딸 둘을 뒀다. * 조부: [[이자연(고려)|이자연]] * 조모: 계림국대부인(雞林國大夫人) 김씨[* [[경주 김씨]] [[김인위]]의 딸] * 부: [[이호(경원백)|이호]][* [[이자연(고려)|이자연]]의 6남] * 모: 통의국대부인(通義國大夫人) 김씨[* 광양 김씨(光陽 金氏) [[김정준(고려)|김정준]]의 딸] * '''본인: 이자량''' * 부인: 인천 이씨[* [[이자인(고려)|이자인]]의 차녀] * 장녀: 인천 이씨 * 차녀: 인천 이씨 [[분류:고려의 인물]][[분류:인천 이씨]][[분류:1123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