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선원선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ffd400 '''조선 시조고의 현손자'''[br]{{{+1 '''이입전 | 李立全'''}}}}}}}}} || ||<-2><:><#bf1400> {{{#gold '''관직'''}}} ||<(> {{{#000000,#fff 사도(司徒)}}} || ||<-2><:><#bf1400> {{{#gold '''본관'''}}} ||<(> {{{#000000,#fff [[전주 이씨]]}}} || ||<-2><:><#bf1400> {{{#gold '''휘'''}}} ||<(> {{{#000000,#fff 입전(立全)}}} || ||<-2><:><#bf1400> {{{#gold '''부친'''}}} ||<(> {{{#000000,#fff [[이광희(고려)]]}}} || ||<-2><:><#bf1400> {{{#gold '''모친'''}}} ||<(> {{{#000000,#fff 황씨(黃氏)}}} || ||<-2><:><#bf1400> {{{#gold '''부인'''}}} ||<(> {{{#000000,#fff 백씨(白氏)[* 한림(翰林) 백광선(白光善)의 딸이다.]}}} || ||<-2><:><#bf1400> {{{#gold '''형제'''}}} ||<(> {{{#000000,#fff 8남 중 8남[* 《동국세기》에서] or 1남[* 《충효전》에서]}}} || ||<-2><:><#bf1400> {{{#gold '''자녀'''}}} ||<(> {{{#000000,#fff [[이긍휴]]}}} || ||<-2><:><#bf1400> {{{#gold '''18대손'''}}} ||<(> {{{#000000,#fff [[태조(조선)|태조]]}}} || ||<-2><:><#bf1400> {{{#gold '''생몰년도'''}}} ||<(> {{{#000000,#fff 미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의 [[국성]] [[전주 이씨]]의 [[시조]] [[이한(신라)|이한]]의 현손자. == 상세 == [[이광희(고려)|이광희]]의 아들로 벼슬은 사도(司徒)를 지냈다. 배위는 한림(翰林) 백광선(白光善)의 딸이다. 《씨족원류》에는 입전공의 벼슬이 삼중대광 사도(三重大匡 司徒)로, 이입전부터 고려의 벼슬을 하기 시작했다고 기록했다. `사도'란 고려 때 3공(三公 : 司馬 · 司徒 · 司空)의 하나로 정1품이었으며, 3사(三師)와 더불어 군주의 고문이었다. 원래는 `삼중대광' 혹은 `벽상삼한'(壁上三韓)이란 품계가 있었는데 `사도'가 높은 벼슬이었기 때문에 앞에 이런 품계명을 덧붙여 `삼중대광 사도'라고 부른 듯하다. `한림'은 '한림학사'(翰林學士)의 준말로 고려 때 한림원(翰林院)에 소속된 정4품의 관직이었다. 《완산실록》에는 이입전의 일화가 없고, 《동국세기》에는 이입전이 '문옹'(文雍)으로 표기되어 나오는데, 8형제 중 막내로서 위로 일곱 명의 형이 모두 전염병으로 일시에 사망하여 합동 장례를 치르고 유리걸식하니, 임금님이 그 소식을 듣고 고결함에 탄복하여 고관의 직책까지 주었다는 내용이 곁들어져 있다. 또 《충효전》에도 이 이야기와 대동소이하나 이입전이 '문옹'(文翁)으로 기록되고 8형제 중 장남으로 되어 있다. [각주] [[분류:고려의 인물]][[분류:몰년 미상]][[분류:전주 이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