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 보수정당의 계파 역사)]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의 계파 역사)] [include(틀:자유선진당의 계파 분류)] ||<-2> {{{#fff '''이인제계'''}}} || || '''{{{#fff 형성}}}''' ||[[1997년]] || || {{{#fff '''해체'''}}} ||[[2012년]][* [[선진통일당]]이 [[새누리당]]에 흡수 합당.] || || {{{#fff '''수장'''}}} ||'''[[이인제]]''' || || {{{#fff '''정치적 이념'''}}} ||[[자유보수주의]][br][[보수자유주의]] || || {{{#fff '''경제적 이념'''}}} ||[[경제적 자유주의]] || || {{{#fff '''주요 정치인'''}}} ||[[서석재]][br][[박상천]][br][[김효석(1949)|김효석]]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계파의 정당 역사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신한국당|{{{#fff 신한국당}}}]] || ||<-2> [[국민신당(대한민국)|{{{#fff 국민신당}}}]] || ||<-2> [[새정치국민회의|{{{#fff 새정치국민회의}}}]] || ||<-2> [[새천년민주당|{{{#fff 새천년민주당}}}]] || ||<-2> [[해체|{{{#fff ''잠정 해체''}}}]] || ||<-2> [[민주당(2005년)|{{{#fff 민주당}}}]] || ||<-2> [[중도통합민주당|{{{#000 중도통합민주당}}}]] || ||<-2> [[민주당(2007년)|{{{#fff 민주당}}}]] || ||<-2> [[통합민주당(2008년)|{{{#fff 통합민주당}}}]] || ||<-2> [[해체|{{{#fff ''잠정 해체''}}}]] || ||<-2> [[자유선진당|{{{#fff 자유선진당}}}]] || ||<-2> [[선진통일당|{{{#fff 선진통일당}}}]] || ||<-2> [[새누리당|{{{#fff 새누리당}}}]] || ||<-2> [[해체|{{{#fff ''해체''}}}]] ||}}}}}}}}} || [목차] [clearfix] == 개요 == [[신한국당]], [[국민신당(대한민국)|국민신당]],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민주당(2005년)]], [[중도통합민주당]], [[민주당(2007년)]], [[자유선진당]], [[선진통일당]]에서 [[이인제]]를 따랐던 정치세력을 일컫는다. == 활동 == [[민주계]] 출신 당시 현직 [[경기도지사]] [[이인제]]는 [[제15대 대통령 선거]] [[신한국당]] 경선에서 [[이회창]]에게 밀려 2위로 낙선한다. 2위를 차지한 것도 놀라운 것이었지만, 대세를 뒤집진 못했다. [[민주계]] 출신 이회창은 [[김영삼]]과 갈등을 빚고 [[김윤환(1932)|김윤환]]을 중심으로 한 [[민정계]], 잔류 [[공화계]]가 단합하여 지지를 받았지만 [[민주계]]는 [[이인제]], [[김덕룡]], [[이수성(정치인)|이수성]] 지지파로 나뉜게 문제였다. 그러나 대선후보로 선출된 이회창은 [[병풍 사건|아들들의 병역 문제]]로 지지율이 10%대로 떨어지고, 자신의 여론조사 상에서도 지지율이 높은 편이자 이인제는 다른 생각을 하게 된다.[* 후보 교체를 주장했으나 받아들이지 않아졌다.] 이인제는 지지율과 미약하나마 존재하는 당내 기반을 바탕으로 독자 정당 [[국민신당(대한민국)|국민신당]]을 창당한다. [[서석재]], [[황명수]] 등을 포함한 민주계 일부와 [[박범진]] 등 민정계 일부 정치인들로 총 8명의 국회의원과 원외 인사들이 입당하였다. 이들이 이인제계로 불릴 수 있다. 또한 창당하면서 [[이만섭]] 전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을 [[총재]], 이인제를 대통령 후보로 하였다. 처음에는 이회창의 병역 문제, [[박정희]] 전 대통령을 빼닮은 외모, 젊은층 사이에서 지지로 높은 지지율을 올렸다. 그러나 얼마 안 되어 창당 과정에 김영삼 당시 대통령과 측근들의 지지가 있었다는 의혹이 이회창, [[김대중]] 모두로부터 제기되었고, 그 해 초 국정 비리로 구속되었던 [[김현철(1959)|김현철]]까지 거론되기에 이르렀다. 그 결과 국민신당과 이인제 후보의 지지율은 허무하게 떨어지기 시작했고 실제 대선에서는 중장년층 지지율이 이회창으로 쏠리면서 선거를 말아먹었다. 그러나 젊은층 사이에서 높은 인기로 19%라는 득표율을 올렸다. 객관적으로 보면 19%라는 높은 득표율을 올렸으니 국민신당과 이인제계의 미래는 어둡진 않았다. 그러나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DJP연합]] 대 [[한나라당]]의 구도 속에 [[전일순]] [[논산시]]장 1명만 당선시키며 존재감이 희석되었다. [[1998년 재보궐선거]]에서도 후보들이 평균 7~8%의 득표율을 올리며 모두 낙선했다. 국민신당은 [[새정치국민회의]]로 흡수 합당되고, 일부는 한나라당 복당과 [[자유민주연합]] 입당을 택하며 뿔뿔이 흩어졌다. [[썩어도 준치]]라는 말이 있듯이 합당 때 들어온 7명의 의원들은 바탕으로 [[후보 단일화 협의회|당내]] [[동교동계|중도파]]를 포섭하며 당내 저변을 넓혀가고, 본인이 최고위원으로도 당선되며 제2의 전성기를 맞았다. 기반을 중심으로 [[새천년민주당]] [[제16대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에 나가 1위를 차지하였으나, [[노풍]]이 불고 대세를 뒤집을 수 없었다고 판단한 모양인지 경선 후보직을 사퇴했다. 그러나 대선의 꿈을 접지 않고 결국 탈당한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이회창이 당권을 잡고 있는 상황. 결국 충청권 지역정당 자유민주연합을 택한다. 갈수록 인재가 떨어지던 자민련에겐 지역 기반이 강한 이인제는 괜찮은 인재였으나, 이 탈당으로 이인제는 자계파를 모두 잃게 된다. 그나마 후에 복당한 민주당에서 후보로 선출되긴 하지만, 자계파의 힘은 거의 없었다. 통합 [[자유선진당]] 입당과 [[선진통일당]]으로의 당명 개정 후 계파가 소수 생기긴 했지만 그마저도 [[새누리당]] 합당 이후로 거의 없어졌다. 일례로, [[제19대 대통령 선거]]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 경선 국민 여론조사에선 24.6%로 [[홍준표]]에 뒤이은 압도적 2위를 차지했지만, 전당대회에선 [[김관용]]에게도 밀린 4위를 기록했다. 비록 지금은 이인제라는 이름은 잊혀졌지만 이인제를 따랐던 인물들은 제법 많은 인물들이 정치계에 남아있다. 대표적으로 [[조원진]]과 [[원유철]]이 옛 [[국민신당(대한민국)|국민신당]] 출신이며 현역의원 중에는 [[조해진]] 의원이 국민신당에 몸담은 바 있다. == 구성 == * [[신한국당]]/[[국민신당(대한민국)|국민신당]] 출신: [[이만섭]], [[김학원(1947)|김학원]], [[박범진]], [[박수현(정치인)|박수현]], [[원유철]], [[오세창(정치인)|오세창]], [[이용삼]], [[이종혁(정치인)|이종혁]], [[한이헌]], [[서석재]], [[김운환]], [[장을병]], [[송광호]], [[전일순]], [[강보성]], [[강정호(법조인)|강정호]], [[김동식(1961)|김동식]], [[박수현(정치인)|박수현]], [[함진규]], [[황명수]], [[유성환]], [[권해옥]], [[박찬종]], [[조해진]], [[조원진]], [[신진욱]], [[류승규]], [[김재위]], [[김용모]], [[김경인]], [[김윤덕(1937)|김윤덕]], [[박종률]], [[박태권]], [[송천영]], [[오규석]], [[윤완중]], [[이교성]], [[이상옥(1950)|이상옥]], [[이병령]], [[이철용(정치인)|이철용]], [[이훈국]], [[조연하]], [[차화준(1935)|차화준]], [[허재홍]], [[홍영기(1918)|홍영기]] * [[새천년민주당]] 내[*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1/11/01/2001110170027.html|#]]]: [[강성구]][*탈당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했다.], [[김덕규]], [[김명섭]], [[김우영(1969)|김우영]], [[김효석(1949)|김효석]], [[남궁석]], [[문석호]], [[박병윤]], [[박용호(정치인)|박용호]], [[박종우(1938)|박종우]], [[설송웅]], [[송석찬]], [[송영진(정치인)|송영진]], [[송훈석]], [[심규섭]], [[이근진]], [[이낙연]], [[이용삼]], [[이희규]], [[원유철]][*탈당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했다.], [[유재규]], [[이훈평]][*동교동계 [[동교동계]]로도 분류], [[장성원(정치인)|장성원]], [[장정언]], [[전용학]], [[정장선]], [[조재환(정치인)|조재환]], [[함승희]], [[허운나]], [[홍문종(정치인)|홍문종]], [[홍재형]] * [[민주당(2005년)]], [[중도통합민주당]], [[민주당(2007년)]] 내: [[박상천]], [[이상열(정치인)|이상열]], [[윤철상]], [[최중근]], [[임정엽]] * [[자유선진당]], [[선진통일당]] 내: [[성완종]], [[김용구(정치인)|김용구]] [[분류:이인제]][[분류:신한국당]][[분류:새천년민주당]][[분류:자유민주연합]][[분류:자유선진당]][[분류:선진통일당]][[분류:대한민국의 계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