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오상고등학교 출신]][[분류:경북대학교 출신]][[분류:구미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대한민국의 여성 고위 공무원]][[분류:대한민국의 여군]][[분류:1965년 출생]][[분류:박근혜 정부/인사]][[분류:이명박 정부/인사]] [[분류:고등군사법원장]] [include(틀:고등군사법원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4f22, #2A5034 20%, #2A5034 80%, #2a4f22)" '''[[고등군사법원장|{{{#FFF 제9대 고등군사법원장}}}]][br]{{{#fff {{{+1 이은수}}}[br] Lee Eunsoo}}}'''}}}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은수준장.jpg|width=100%]]}}} || ||<|2><#2A5034><:> '''{{{#fff 출생}}}''' ||<(> [[1965년]] || ||[[경상북도]] [[구미시|선산군]][* 現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 ||<|2><#2A5034><:> '''{{{#fff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1991년 ~ 2014년 || ||<#2A5034><:> '''{{{#fff 임관}}}''' ||<(> [[군법무관|법무]] 9기 || ||<#2A5034><:> '''{{{#fff 최종 계급}}}''' ||<(> [[준장]] || ||<#2A5034><:> '''{{{#fff 최종 보직}}}''' ||<(> [[고등군사법원장]] || ||<#2A5034><:> '''{{{#fff 주요 보직}}}''' ||<(> [[대한민국 육군본부]] 법무병과장(법무실장)[br] [[대한민국 육군본부]] 고등검찰부장[br] [[제2작전사령부]] 법무참모[br] [[국방부 검찰단]] 송무부장[br][[대한민국 육군본부]] 법제과장[br][[한국개발연구원]] 연구원||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의 전직 법무장교이자 현직 [[변호사]]. 대한민국 [[여군]]으로는 7번째로 [[장성급 장교]]에 올랐다. == 생애 == [[1965년]] [[경상북도]] [[선산군]] [[장천면]][* 현 [[구미시]] 장천면]에서 태어났으며 4남매(2남2녀) 중 맏이였다. [[오상고등학교]][* 이 장군은 원래 의사나 과학자가 되고 싶어했으나 당시 오상고 여자반에 이과가 없어서 부득이하게 문과를 선택했고, 법대를 나온 고모부의 영향으로 경북대 법대에 입학하였다고 한다.]를 거쳐 [[경북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였다. 대학 4학년 때 사시 1차와 군법무관 1차에 합격하였으나 사시 2차에 떨어지고, 집안형편상 더 이상 고시공부를 할 수 없어 대학 졸업 후 한국개발연구원에서 1년간 근무하였다. 이후 군법무관 시험에 최종합격하여 1991년에 중위로 법무사관 9기에 임관했다. 법무사관 가운데 첫 여군이었다.[* 2012년 기준으로는 군법무관 560명 가운데 52명이 여성이었다.] 임관을 하면 사단 법무참모로 가는 경우가 많은데도 여군이라 바로 발령받지 못했다가 당시 36사단장에게 참모로 채용되었다. 36사단장의 아내가 간호병과 대령이라서 여군에 대한 편견이 없었다고 한다. 당시 임관한 뒤로 10년을 법무사관 중 홍일점으로 지내야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2011년에 [[대한민국]] [[여군]] [[군법무관]]으로는 처음으로 [[준장]]으로 진급하면서[* 여군 최초의 [[장성급 장교|장관급 장교]]는 간호 병과 출신 [[양승숙]] 준장이었다. 2014년까지 여군 [[장군]], [[제독]]은 간호 7명, 보병 1명, 법무 1명 등 총 9명(전원 육군)이다.] 법무 병과장인 [[대한민국 육군본부]] 법무실장에 취임하였다. 같은 해 12월에 [[고등군사법원|고등군사법원장]]으로 옮겼다가 2014년 퇴임하였다. 군에서 전역한 이후 [[법무법인]] 바른에서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 여담 == 2014년에 선임 장교의 성추행과 가혹행위로 육군 대위가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국회에 불려나가기도 했다.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1980731#cb|관련기사]] 가족으로는 남편과 1녀가 있다. 남편은 2007년에 지병(암)으로 사망하였고, 부친은 이 장군의 전역 3개월 전에 별세하였다.[* 이은수 장군은 자신의 장군 취임식 때 [[연평도 포격전]]으로 인하여 뒤숭숭한 분위기 때문에 부친을 모시지 못했다. 그래서 본인의 전역식 때는 부친을 꼭 모시고자 마음먹었으나 전역 3개월을 앞두고, 산소호흡기에 의존한 모친의 병간호로 무리했는지 사망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은수, version=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