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 ''' 이원세의 주요 수상 이력 ''' }}}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width=130]]]] || ||<-5> [[파일:baeksangartsawards4.png|height=100]] || ||<-5> {{{#ffffff '''영화부문 감독상'''}}} || || '''제9회 [br] ([[1973년]])''' || {{{+1 → }}} || '''제10회 [br] ([[1974년]])''' || {{{+1 → }}} || '''제11회 [br] ([[1975년]])''' || || [[김기영(1919)|김기영]][br]([[충녀]]) || {{{+1 → }}} ||<#ffffff,#191919> '''이원세[br]([[특별수사본부 배태옥 사건]])''' || {{{+1 → }}} || [[변장호]][br]([[망나니(영화)|망나니]]) || || '''제15회 [br] ([[1979년]])''' || {{{+1 → }}} || '''제16회 [br] ([[1980년]])''' || {{{+1 → }}} || '''제17회 [br] ([[1981년]])''' || || [[김수용(영화감독)|김수용]][br]([[사랑의 조건(1979)|사랑의 조건]]) || {{{+1 → }}} ||<#ffffff,#191919> '''이원세[br](돛대도 아니 달고)''' || {{{+1 → }}} || [[이두용]][br]([[피막(1981)|피막]]) || || '''제17회 [br] ([[1981년]])''' || {{{+1 → }}} || '''제18회 [br] ([[1982년]])''' || {{{+1 → }}} || '''제19회 [br] ([[1983년]])''' || || [[이두용]][br]([[피막(1981)|피막]]) || {{{+1 → }}} ||<#ffffff,#191919> '''이원세[br]([[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s-2.1]])''' || {{{+1 → }}} || [[임권택]][br]([[안개마을]]) || ||<-5> ||}}} || ||<-2>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br]{{{+1 이원세}}}[br]Lee Won-s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원세.jpg |width=100%]]}}} || ||<|2> '''출생''' ||[[1940년]] [[4월 6일]] || ||[[평안남도]] [[평원군(평안남도)|평원군]] || || '''사망''' ||[[2023년]] [[6월 19일]] (향년 83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직업''' ||[[영화 감독]]|| || '''데뷔''' ||1971년 영화 '잃어버린 계절' || [목차][clearfix] == 개요 == 한국의 영화 감독. == 생애 == 1940년 4월 6일, [[평안남도]] [[평원군]]에서 태어났다. [[김수용(영화감독)|김수용]] 감독의 촬영부로 입문하였다가 '수전지대'가 [[동아일보]] 시나리오 공모전에 당선되면서 연출의 세계로 넘어가게 되었다. 1971년에 자신의 시나리오를 본인이 연출한 잃어버린 계절로 감독 데뷔를 한다. 유명한 작품으로는 특별수사본부 3부작이 있다. 1974년 [[특별수사본부 배태옥 사건]]이 나오고 1년마다 한 편씩 후속작이 나왔다. 1977년엔 대한민국 최초의 [[크리처물]]인 [[악어의 공포]]를 연출하였다. [[태국]]과의 합작 영화이며 국내 최초의 크리처물이자 당시 기준으로 세계적으로도 거대 악어가 등장하는 호러 중 첫 작품이었다. 거대 악어 호러 영화 중 가장 사랑받는 [[앨리게이터(영화)]] 조차 1980년작이다. 하지만, 한국어 더빙 필름조차 남아있지 않고 태국어판 필름으로 한국 배우들이 대거 잘려나간 편집판만 남아서 이게 DVD로 발매되었고 영어 더빙도 나와버려 해외에서 태국 영화로 알려져 있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연출하지만 여러모로 가위질도 당하고 [[대종상]] 시상이 확정되었으나 외압으로 취소 당하는 등 모진 고통을 겪어야 했다. 1985년 [[여왕벌(한국 영화)#1986년 영화|여왕벌]]을 마지막으로 영화계에서 은퇴, 미국으로 이민가서 살다가 최근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으며 2017년에는 회고전이 열리기도 했다. 2021년 11월 19일(금) 제26회 [[춘사국제영화제]]에서 공로상을 수상하였으며, 수상 소감을 하면서 "현재 시나리오를 집필중이며, 곧 완성된 영화로 다시 찾아뵙겠다"고 밝혀서 영화인들의 응원과 뜨거운 박수를 받았다. 2023년 6월 19일 낮 12시에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3세[[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146109?sid=103|#]] == 연출작 일람 == * 1974년 [[특별수사본부 배태옥 사건]] * 1974년 [[특별수사본부 김수임의 일생]] * 1975년 [[특별수사본부 외팔이 김종원]] * 1977년 광화문통 아이 * 1977년 엄마 없는 하늘 아래 * 1978년 속 엄마 없는 하늘 아래 * 1978년 3편 엄마 없는 하늘 아래: 병아리들의 잔칫날 * 1978년 [[악어의 공포]] * 1979년 돛대도 아니 달고 * 1981년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영화)|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 1984년 그 여름의 마지막 날 * 1984년 이방인 * 1984년 3일낮 3일밤 * 1985년 [[여왕벌(한국 영화)#1986년 영화|여왕벌]] [[분류:이원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