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구당서)] [include(틀:신당서)] [목차] == 개요 == [[당나라]]의 황족으로 모두 초대 황제인 [[고조(당)|고조 이연]]의 아들들이다. == 李元景 == ||<-5> '''[[당나라|{{{#yellow 당}}}]]''' '''[[사도|{{{#yellow 사도}}}]]''' || || 전임 [[장손무기]] || ← || {{{#yellow '''이원경''' [br] 649년~653년}}} [br] {{{#yellow }}} || → || 후임 [[이원례]] || (? ~ 653년) 고조의 6남으로, 모친은 막씨(莫氏)이다. 620년에 조왕(趙王)으로 책봉되었고, 625년에 안주(安州) 도독이 되었다. [[태종(당)|태종]] 정관 연간에는 옹주목, 우효위대장군을 역임하였고, 뒤에 작위가 형왕(荊王)으로 변경되었으며 형주 도독으로 전임되었다. 태종의 태자인 진왕 이치가 [[당고종]]으로 즉위한 뒤에 사도로 진위되었는데, 653년에 방유애[* 태종의 공신인 [[방현령]]의 아들이다.]의 모반에 연루되어 사사되었다. 사후에는 작위가 침려왕(沉黎王)이 되었다. == 李元慶 == (? ~ 664년) 고조의 16남으로 어머니는 첩여 유씨이다. 623년에 한왕(漢王)으로 책봉되었다가, 625년에 작위가 진왕(陳王)으로 변경되었다. [[태종(당)|태종]] 정관 9년(635년)에 조주(趙州) 자사로 제수되었고 실봉 800호를 받았으며, 다음 해에 도왕(道王)으로 개봉되고 예주(豫州) 자사로 전임되었다. [[고종(당)|고종]] 시기에는 활주(滑州) 자사로 제수되었는데 임지에서 치적을 세워 고종으로부터 많은 상을 받았고, 뒤에 서주(徐州)·심주(沁州)·위주(衛州) 자사를 역임하였다. 이원경은 어머니를 극진하게 모셨고,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자 어머니의 무덤을 자신이 직접 지을 것을 청하기도 하였다. 이원경은 664년에 세상을 떠나, 사도·익주 도독으로 추증되었고, 사후 효(孝)라는 시호를 받았다. [[분류:동명이인]][[분류:수당시대/황족]][[분류:농서 이씨]][[분류:653년 사망]][[분류:664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