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at 50% 100%, #89b3d1, #71a3c6)" {{{#f7e342 '''{{{+2 이웃사촌}}}''' (2020)}}}[br]''Best Frien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웃사촌(영화).jpg|width=100%]]}}} || || '''장르''' ||[[코미디]], [[드라마]] || || '''감독''' ||[[이환경]] || || '''각본''' ||[[이환경]], 윤필준, 김영석 || || '''제작''' ||윤종호 || || '''출연''' ||[[정우]], [[오달수]], [[김희원(배우)|김희원]], [[김병철(배우)|김병철]] 외 || || '''촬영''' ||정성준, 김길태 외 || || '''음악''' ||이동준 || || '''촬영 기간''' ||2017년 11월 ~ 2018년 2월 추정[* 아역배우 [[정현준]]이 7살이었다.] || ||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시네마허브, 환타지엔터테인먼트 || ||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리틀빅픽처스]], 트리니티픽처스 || ||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11월 25일]] || || '''화면비''' ||2.38:1 || || '''상영 시간''' ||130분 || || '''스트리밍''' ||[[https://www.netflix.com/title/81648576|[[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25]]]] [[https://www.tving.com/movie/player/M000351433|[[파일:TVING 로고.svg|width=25]]]]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431,559명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7e342,#ddd 상영 등급}}}]]''' ||[[12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초기.svg|width=30]] {{{#000,#ddd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영화]]. [[2020년]] [[11월 25일]] 개봉했다. 자택 격리된 야당 총재 이의식[* 모티브는 [[김대중]] 전 대통령으로 알려져있다.[[https://m.ytn.co.kr/news_view.amp.php?param=0117_202011220800018067|#]]][* [[노무현]]을 감시했던 [[안기부]] 요원의 일화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을 감시하기 위해 국가 비밀 [[도청(범죄)|도청]]팀이 옆집으로 위장 이사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블랙코미디도 아닌 판타지 시대극에 가까운 괴작이라는 평가를 받으면서 평점도 매우 좋지 않다. 민주화 시대를 전면에 내세웠지만, 수준 낮은 시나리오와 작위적 설정 남발로 오히려 시대를 희화화했다는 평가까지 나왔다. == 예고편 == [youtube(5jGpb3vaINI)] [youtube(4U_e7fHtPyQ)] == 시놉시스 == >'''낮에는 친근한 이웃집 vs 밤에는 수상한 도청팀''' 백수가장 좌천위기 도청팀장 대권(정우)은 팀원들과 함께 해외에서 입국하자마자 자택 격리된 정치인 가족을 24시간 감시하라는 미션을 받는다. 이웃집으로 위장 이사온 도청팀원들은 라디오 사연 신청부터 한밤중에 나는 부스럭 소리까지 수상한 가족들의 모든 소리와 행동을 감시하면서 새로운 비밀들을 하나씩 발견하게 되는데… 담벼락 사이 수상한 이웃사촌들 웃고 울리는 비밀 소통작전이 펼쳐진다! == 등장인물 == * [[정우]] - 유대권 역 * [[오달수]] - 이의식 역 * [[김희원(배우)|김희원]] - 김 실장 역 * [[김병철(배우)|김병철]] - 동식 역 * [[이유비]] - 이은진 역 * [[조현철]] - 영철 역 * [[지승현]] - 동혁 역 * [[김선경]] - 영자 역 * [[염혜란]] - 여수댁 역 * [[정현준(2011)|정현준]] - 예준 역 * [[박철민]] - 민노국 역 * [[심이영]] - 지영 역 == 설정 == * 제작진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 모티브라고 반복적으로 강조했으나 아이러니하게도 작중 상황은 [[김영삼]] 전 대통령에 더 가깝다. 80년대 야당 총재로서 가택 연금을 당한 이는 김영삼이기 때문.[* 김대중 전 대통령은 야권의 유력 대통령 후보였지만 의외로 87년 이전까지 야당의 당수를 맡은 적은 별로 없다.] * 이러한 상황 설정의 모호함은 특정 정치인에 대한 편중을 피하기 위해 의도했다고 볼 수도 있겠으나, 정작 감독부터 김대중 대통령을 전면에 내세워 관객의 연상 효과를 오히려 방해했다고 할 수도 있다. * 동지의 자살과 자녀의 죽음, 카체이싱 등은 모두 극적 장치이다. 야당 당수, 대통령 후보 중 출마를 설득하기 위해 측근이 자살한 사례는 없으며, 자녀가 정치적 사고로 목숨을 잃은 사실도 없다. 이렇게 과도한 신파 설정들이 오히려 무거운 시대를 희화화해 관객들의 감정이입을 강요했다는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 줄거리 == == 고증 관련 == * 작중 배경이 1985~86년인데, 1988년식 이후의 [[기아 베스타]] 리미티드 모델, [[현대 엑셀]], [[기아 콩코드]] 등 시대적 고증에 맞지 않는 차종이 나오며[* 다른 예로 검은색 [[현대 그랜저]] 1세대 모델의 경우 [[현대 뉴 EF 쏘나타]] 초기형의 휠을 달고 나왔다.] 1990년대식으로 보이는 무전기 모델이 있다. * 당연히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80년대 중반에는 보일 수 없는 신축 원룸 및 상가 등의 건물들이 영화 내내 왕창 등장한다. 이러한 점을 신경 쓴다면 이질감을 느낄 수 있다. * 도로 표지판의 글꼴이 2008년에 나온 [[나눔고딕]]이다.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6985320, user=6.2)]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best-friend-2020-1, user=3.3)]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Q94L7, user=2.4)]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72997, light=33.33)]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64143, expert=5.0, audience=8.48, user=6.31)]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12938, expert=없음, user=7.0)] [include(틀:평가/CGV, code=83970, egg=89)] > '''물에 씻은 묵은지맛''' >---- > [[박평식]](★★☆) > '''코미디는 슬프게, 정치는 우습게''' >---- > [[이용철]](★★) 네이버, 다음 등 주요 국내평점 사이트에서도 6점에서 7점 사이로 매우 낮은 편이다. 적지 않은 관람객들은 "2020년도에도 '[[7번방의 선물]]'식 코드가 먹힐 줄 아냐.", "하다 못해 이건 감동도, 재미도 없다."라는 식으로 혹평을 하고 있는 중이다. 신파를 위해서 정치상황을 양념했다는 평이 나올 정도로 중후반부에서 극적 상황이 반복된다. 문제는 이러한 장치들이 지나치게 작위적이거나, 평면적인 이유에서 기인한다는 것이다. 시대상에 관객이 공감하기도 바쁜데 극적 죽음을 남발하면서 오히려 드라마가 훼손되었다고 볼 수 있다. == 흥행 == ||<-5> {{{#ffffff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0년 47주차 ||<|2> → || '''2020년 48주차''' ||<|2> → || 2020년 49주차 || || [[도굴(영화)|도굴]] || {{{#ffffff '''이웃사촌'''}}} || 이웃사촌 || || 2020년 48주차 ||<|2> → || '''2020년 49주차''' ||<|2> → || 2020년 50주차 || || 이웃사촌 || {{{#ffffff '''이웃사촌'''}}} || [[조제(영화)|조제]] || ||<-5>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stat/boxs/findWeeklyBoxOfficeList.do|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7> '''{{{#ffffff,#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ffffff,#ffffff 주차}}}''' || '''{{{#ffffff,#ffffff 날짜}}}''' || '''{{{#ffffff,#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ffffff 순위}}}''' || '''{{{#ffffff,#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ffffff 개봉 전}}} || || 17,875명 || 17,875명 || 미집계 || 156,075,000원 || 156,075,000원 || ||<|7> {{{#ffffff,#ffffff 1주차}}} ||2020-11-25. 1일차(수) || 35,607명 ||<|7> -명 || '''1위''' || 233,197,720원 ||<|7> -원 || ||2020-11-26. 2일차(목) || 24,351명 || '''1위''' || 204,032,710원 || ||2020-11-27. 3일차(금) || 26,694명 || '''1위''' || 37,650,850원 || ||2020-11-28. 4일차(토) || 50,154명 || '''1위''' || 461,271,510원 || ||2020-11-29. 5일차(일) || 45,605명 || '''1위''' || 415,903,080원 || ||2020-11-30. 6일차(월) || 20,656명 || '''1위''' || 168,455,280원 || ||2020-12-01. 7일차(화) || 15,611명 || '''1위''' || 127,458,060원 || ||<|7> {{{#ffffff,#ffffff 2주차}}} ||2020-12-02. 8일차(수) || 13,901명 ||<|7> -명 || '''1위''' || 117,816,010원 ||<|7> -원 || ||2020-12-03. 9일차(목) || 13,642명 || '''1위''' || 115,966,910원 || ||2020-12-04. 10일차(금) || 13,908명 || '''1위''' || 118,056,470원 || ||2020-12-05. 11일차(토) || 24,855명 || '''1위''' || 231,065,140원 || ||2020-12-06. 12일차(일) || 23,802명 || '''1위''' || 220,316,370원 || ||2020-12-07. 13일차(월) || 7,780명 || '''1위''' || 67,336,840원 || ||2020-12-08. 14일차(화) || 6,584명 || '''1위''' || 56,973,880원 || ||<|7> {{{#ffffff,#ffffff 3주차}}} ||2020-12-09. 15일차(수) || 6,508명 ||<|7> -명 || '''1위''' || 56,330,820원 ||<|7> -원 || ||2020-12-10. 16일차(목) || 7,862명 || 2위 || 56,766,230원 || ||2020-12-11. 17일차(금) || 8,044명 || 2위 || 60,859,020원 || ||2020-12-12. 18일차(토) || 8,942명 || 2위 || 81,524,570원 || ||2020-12-13. 19일차(일) || 8,703명 || 2위 || 80,010,060원 || ||2020-12-14. 20일차(월) || 3,097명 || 2위 || 27,145,650원 || ||2020-12-15. 21일차(화) || 2,862명 || 2위 || 24,675,770원 || ||<|7> {{{#ffffff,#ffffff 4주차}}} ||2020-12-16. 22일차(수) || 3,087명 ||<|7> -명 || 2위 || 25,092,000원 ||<|7> -원 || ||2020-12-17. 23일차(목) || 2,997명 || 3위 || 24,088,910원 || ||2020-12-18. 24일차(금) || 2,807명 || 3위 || 25,182,090원 || ||2020-12-19. 25일차(토) || 5,999명 || 3위 || 52,476,760원 || ||2020-12-20. 26일차(일) || 6,150명 || 2위 || 53,856,370원 || ||2020-12-21. 27일차(월) || 2,196명 || 3위 || 19,122,790원 || ||2020-12-22. 28일차(화) || 2,223명 || 3위 || 18,758,820원 || || '''{{{#ffffff,#ffffff 합계}}}''' ||<-6> '''누적관객수 413,477명, 누적매출액 3,549,646,430원'''[* ~ 2020/12/23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2020년)] [[분류:2020년 영화]][[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한국의 코미디 영화]][[분류:창고 영화]][[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분류:대한민국(20세기)/창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