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이우재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민중당(1990년) 대표)] ---- [include(틀:역대 한국마사회 회장)]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금천구(선거구)|{{{#cfa547 금천구}}}]])'''}}} || || ''선거구 개편''[br][[이경재(1932)|이경재]][* [[금천구(선거구)|구로구 을]] 선거구의 [[제14대 국회의원]] 이다.] || → || '''제15대[br]이우재''' || → || ~~제16대[br][[장성민]]~~[* 당선 무효] || || ~~제16대[br][[장성민]]~~[* 당선 무효] || → || '''제16대[br]이우재''' || → || 제17대[br][[이목희]] || ---- }}} || ---- ||<-2> {{{#ffffff '''대한민국 제15·16대 국회의원[br]{{{+1 이우재}}}[br]李佑宰 | Lee Wu-ja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nnamed (127).jpg|width=100%]]}}} || ||<|2> '''출생''' ||[[1936년]] [[9월 13일]] ([age(1936-09-13)]세) || ||[[충청남도]] [[예산군]] || || '''본관''' ||[[전주 이씨]] || || '''학력''' ||[[예산농업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2 (수의학 / 학사)}}}[br][[건국대학교]] 대학원 {{{-2 (경제학 / 석사)}}} || ||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의원 선수''' ||'''2''' || || '''의원 대수''' ||'''[[제15대 국회의원|15]], [[제16대 국회의원|16]]''' || || '''경력''' ||민중당 상임대표[br]전국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br]대통령직속 농어촌발전위원회 위원[br]한나라당 부총재, 지도위원[br]한국농어촌 사회연구소설립 소장 이사장[br]대한수의사회 회장[br]통일농수산포럼 창립.상임공동대표[br]열린우리당 상임고문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수의사, 사회운동가, [[정치인]]이다. == 생애 == === 재야 운동 시절 === 1936년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태어났다. [[예산농업고등학교]](현 [[공주대학교]] [[공주대학교/예산캠퍼스|예산캠퍼스]])를 졸업였다. 고등학교 3학년 재학 중 늑막염 치료를 위해 학교를 쉬던 도중 [[이광수(소설가)|이광수]]의 [[흙(소설)|흙]], [[심훈]]의 [[상록수(소설)|상록수]]를 읽고 농촌계몽운동에 대해 눈을 떴다고 한다. 이후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에 재학하던 중 [[4.19 혁명]]에 참여하였다. 이후 [[이승만 정부]]가 무너지고 [[장면 내각]]이 들어서자 통일문제에 관심을 가졌고, 자신이 다니는 [[서울대학교]] 재학생들과 같이 민족통일연맹을 조직했고, 이우재 본인이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이후 자연스레 농민운동과 통일운동을 함께 이끌었다. 그러다가 [[5.16 군사정변]]이 일어난지 4일 후인 1961년 5월 20일, 민족통일연맹 활동의 주동자로 체포돼 [[동대문경찰서]]로 연행되었다. 이후 석방되었고 대학을 졸업한 뒤에 서울시청 공무원으로 공직생활을 시작하였다. 이후 한국농업근대화연구회를 설립했는데, 여기에 [[이재오]], [[한명숙]] 등도 이때 같이 참여한 멤버 중 한명이었다. 이후 민주화 및 농민운동가로 활동하다 1979년 [[박정희 정부/평가/부정적 평가/정치#s-4.3.2.9|크리스찬 아카데미 사건]]으로 교도소에 3년 5개월 동안 수감됐다가 특별사면으로 풀려났다. === 민중당 대표 시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00914912_00011.jpg|width=100%]]}}} || || '''{{{#808080,#7f7f7f △ 민중당 대표 시절 이우재}}}''' || 석방된 뒤 재야운동과 거리를 뒀다가 [[6월 항쟁]] 이후 [[삼김]]의 분열로 [[노태우 정부]]가 들어서자, 본격적인 진보정당이 필요하다면서 1990년 [[김문수]], [[이재오]], [[장기표]] 등과 손잡고 재야민주화운동 세력, 노동운동 세력 일부를 모아서 [[진보정당]]인 [[민중당(1990년)|민중당]]을 창당하여 당 대표가 되었다. 당 대표가 된 뒤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구로구 을 지역구에 출마하여 비교적 괜찮은 득표율을 올렸으나 부실한 정당의 한계로 [[민주당(1991년)|민주당]] [[이경재(1932)|이경재]]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한다. 당시 본인은 20%라는 정치 신인 치곤 괜찮은 득표율을 얻었으나 본인이 대표로 있었던 민중당은 전국구에서도 득표율 미달로 단 한 명의 당선자도 배출하지 못할 정도로 처참하게 실패하였다. 결국 민중당은 정당 등록이 취소되어 자동 해체되었다. === 민주자유당 입당 이후 === 이후 1994년 같은 민중당 소속이었던 [[김문수]], [[이재오]], [[박형준]] 등과 [[민주자유당]]에 입당하여 보수로 전향하였다. 당시 집권한 [[김영삼]]이 주도한 일로, [[민주자유당]]이 군사정권 잔당이라는 색채를 지우기 위해서였다. 이 때 잠시 한나라당 부총재를 지내기도 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금천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새정치국민회의]] [[이경재(1932)|이경재]]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이후 농어촌문제 전문가로서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 대통령 직속 농어촌발전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당시 본인의 두 아들이 병역 비리 논란으로 검찰에 소환된게 큰 이유였다. 이후 [[새천년민주당]] 당선자 [[장성민]]의 당선 무효로 치러진 2002년 [[재보궐선거]]에서 같은 선거구에 [[한나라당]] 후보로 출마하여 새천년민주당 이목희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2003년 말 [[이부영]], [[김부겸]], [[안영근]], [[김영춘(정치인)|김영춘]]과 [[한나라당]]을 탈당, 신생 정당인 [[열린우리당]]에 입당하면서 '독수리 오형제' 라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해당 지역구 공천에서는 경선에서 [[이목희]]에 밀려 컷오프되었다. 이후 정계와는 거리를 둔 채 2005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마사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17대 총선 당시 공천을 못받고 가장 빨리 정계에서 은퇴한 탓에 독수리 오형제 중 [[공기(은어)|존재감이 가장 낮다.(...)]] 김문수, 이재오처럼 구 민중당계 출신 보수정당 의원들은 [[친이]]로 흡수되며 급격하게 보수화 되었던 반면, 민중당 대표였던 이우재 의원의 한나라당 입당은 '비DJ'로서의 정체성이 강했던 케이스로 보인다. 그래서 친노 정당에 들어간다기 보다는 제3지대 정당으로서 열린우리당에 입당하였고, 그 점에서 직함에 비해 우대 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 “민중당 시절 YS가 정치개혁을 한다기에 손을 잡았다. 우리라도 그 뜻을 도와야 한다는 생각에서였다. 지금 젊은 세대는 변화의 정치를 원하고 있고 그래서 노무현 정권이 출범케 됐다. 시대요구에 맞춰 결단을 내린 것이다.” > - > “우리 정치사의 가장 큰 문제점이 대통령 당의 폐해였다. 대통령이 총재가 돼서 검은 돈을 모으고 이를 뿌려대면서 온갖 부정적인 일들이 파생됐고 의원들도 오로지 대통령만 쳐다보는 형국이었다. '''따라서 이번 신당에는 노 대통령도 참여해선 안 된다.'''[* 사실 대통령이 열린우리당에 입당하지 않고 지지발언을 한 것이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때의 사유 중 하나였다는 점에서 아이러니하다. 결국 탄핵 소추 기각 후 특별당원으로 입당.] 노 대통령이 배후 조종한다는 식의 얘기는 우리를 헐뜯기 위한 사람들의 말이다. 그런 관념들을 깨나갈 것이고 선진국처럼 진정한 당정분리를 정립해 나갈 계획이다.” > >“진보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현재의 진보당은 [[민주노동당]]이다. 분단국가에서는 모두가 보수당인 셈이다. 하지만 미국의 민주당, 공화당 식의 차별성은 있어야 한다. 한나라당이 보수정당으로 보수가 갖는 역할에 충실해야 하고 우리는 개혁정당으로 보다 개혁적이고 진보적인 스탠스를 취해갈 것이다” [[http://week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2181745|# 탈당 당시 인터뷰]] [[2021년 재보궐선거]] 때 [[https://www.thepublic.kr/news/newsview.php?ncode=1065597295662650|타 전직 국회의원 115명과 함께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지역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금천구(선거구)|구로 을]][* 현 [[금천구(선거구)|금천구]] 선거구] || [include(틀:민중당(1990년))] || 25,134 (20.40%) || 낙선 (3위) ||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3> 서울 [[금천구(선거구)|금천]] || [include(틀:신한국당)] || '''41,412 (37.41%)''' || '''당선 (1위)''' || '''초선'''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41,204 (39.96%) || 낙선 (2위) || || || 2002 || [[2002년 재보궐선거#s-2|상반기 재보궐선거]][br]([[제16대 국회의원|국회의원]]) || '''24,649 (54.00%)''' || '''당선 (1위)''' || '''재선'''[* 전임자 [[장성민]]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 상실][* 2003.7.7 한나라당 탈당, 2003.11.11 [[열린우리당]] 합류] ||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민중당(1990년))] || 1990 - 1992 || 창당[br]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1992 - 1994 || 정당 해산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4 - 1995 || 입당[br]정계 복귀 || || [include(틀:신한국당)] || 1995 - 1997 || 당명 변경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7 - 2003 || 합당[*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탈당[*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3 - 2005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5 - 2008 || 탈당[* 공공기관장 취임으로 인한 자동탈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입당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08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08 - 현재 || 탈당[br]정계 은퇴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5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16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우재, version=16)]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한국마사회 회장]][[분류:예산군 출신 인물]][[분류:1936년 출생]][[분류:2008년 은퇴]][[분류: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분류:민주운동가]][[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당 대표/대한민국]][[분류:제15대 국회의원]][[분류:제16대 국회의원]][[분류:신한국당 국회의원]][[분류:한나라당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열린우리당 국회의원]][[분류:예산농업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민중당(1990년) 출신]][[분류: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분류:의료인 출신 정치인]][[분류:수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