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이영욱)] ||
'''이영욱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br][[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1.svg|width=50]][[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2.svg|width=5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2007년 한국시리즈|{{{#ffffff 2007}}}]]''' || '''[[2008년 한국시리즈|{{{#ffffff 2008}}}]]''' || ---- ||<-5> '''{{{#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25번}}}''' || || 박상근[br](2000~2002) || {{{+1 →}}} || '''{{{#fff 이영욱[br](2003~2008)}}}''' || {{{+1 →}}} || [[여건욱]][br](2009~2010.7.) || || [[최동수]][br](2010.7.28.~2010) || {{{+1 →}}} || '''{{{#fff 이영욱[br](2011~2013)}}}''' || {{{+1 →}}} || [[이상백(야구선수)|이상백]][br](2014~2016.6.) || ||<-5> '''[[삼성 라이온즈|{{{#fff 삼성 라이온즈}}}]] {{{#fff 등번호 41번}}}''' || || [[에스마일린 카리대|카리대]][br](2013.7.26.~2013) || {{{+1 →}}} || '''{{{#074ca1 이영욱[br](2014)}}}''' || {{{+1 →}}} || [[김동호(야구)|김동호]][br](2015~2018)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영욱 SK와이번스.jpg|width=100%]]}}} || ||<-2> '''{{{+2 이영욱}}} [br] 李永旭 | Lee Yeong-Uk''' || ||<|2> '''출생''' ||[[1980년]] [[8월 13일]] ([age(1980-08-13)]세) || ||[[대구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대구칠성초등학교|칠성초]] - [[경운중학교(대구)|경운중]] - [[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대구상고]] - [[홍익대학교 야구부|홍익대]][* 1999학번]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9년/신인드래프트#s-3.2|1999년 2차 8라운드]] (전체 59번,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 || '''소속팀''' ||'''[[SK 와이번스]] (2003~2013)''' [br] [[삼성 라이온즈]] (2014) || || '''등장곡''' ||크라운J - 케빈은 바람둥이 || || '''병역''' ||[[사회복무요원]] [[소집해제]] (2009~2010)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SK 와이번스]], [[삼성 라이온즈]] 소속의 사이드암 투수. 前 진성중학교 야구부 감독. 現 SSG랜더스 전력분석원. == 플레이 스타일 == 투구동작이 유연하고 오른 무릎이 바닥에 닿을 듯 낮은 위치에서 공을 던진다. 패스트볼로 초구 스트라이크를 잡고 아웃피치로는 싱커와 패스트볼을 섞어 던진다. 싱커를 사용해 땅볼을 유도하는 편. == 선수 경력 == === [[SK 와이번스]] 시절 === 1999년 [[쌍방울 레이더스]]의 [[한국프로야구/1999년/신인드래프트|2차지명 8라운드(전체 59순위)]] 하위지명자로 1999년 [[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대구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03년 [[홍익대학교]] (1999학번)졸업 후 지명권을 인수한 [[SK 와이번스]]로 입단했다. [[홍익대학교]] 시절 [[포수]] [[차일목]]과 배터리를 이루어 1999학번 동기생이다. 2003년 부터 2004년 2군에 머물러 있다가 2005년부터 1군 무대로 활약하여 전천후 스윙맨으로서 선발부터 원 포인트 릴리프까지 사실상 모든 역할을 소화했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궂은 일을 묵묵히 해내는 타입. [[김성근]] 감독 부임 후인 2007년과 2008년에는 도합 17번의 선발 등판에서 5승을 거두었고, [[KBO 한국시리즈]]에서는 [[중간계투]]로 나와 [[두산 베어스]] 타선을 효과적으로 막아 2년 동안의 한국시리즈에서 [[평균자책점]] 0.00을 기록하며 활약, 두 차례 우승에 공헌했다. 2008 시즌 우승 후 [[사회복무요원]]으로 입대했고, 2010년 12월에 제대하였다. ==== 2011 시즌 ==== 2011년 초반에 부진을 겪으며 잉여욱으로 전락. [[4월 10일]]에는 [[이영욱(타자)|타자 이영욱]]에게 홈런을 맞는 등[* 프로야구 최초로 동명이인인 투수와 타자간의 대결에서 나온 홈런이었다. 2022년 기준으로도 [[김상수(타자)|김상수]] vs [[김상수(투수)|김상수]]까지 단 3번뿐인 희귀한 사례.] 부진을 겪었다. 애초에 ~~[[박현준]]~~을 LG에 트레이드시킨 이유가 이영욱의 복귀였기 때문에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이영욱은 욕을 먹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트레이드 안했으면 큰일날 뻔했다~~ 2011년 7월 8일 '''롯데'''전에 선발 등판해서 퀄리티 스타트를 기록하며 호투를 했다! ~~로나쌩은 죽지 않는다!~~ 사실 지난 등판에서 말그대로 털렸기 때문에 아무도 기대를 하지 않았었는데 의외의 호투로 선발진이 다 무너진 상황에서 선발처럼 던져 줬다! 다음날 [[엄정욱]]의 호투로 SK 와이번스 갤러리에서 욱욱 브라더스로 불리기 시작했다. 7월 20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 2회에 구원 등판, '''7이닝'''동안 투구수 '''105'''개, '''1피안타, 1볼넷''', 비자책 1실점으로 막아내며 팀의 연패를 끊어냈다. 그리고 다음날 [[엄정욱]]은 선발경기에서 팀은 이기고 ~~욱욱 브라더스는 SK의 원투 펀치가 되는가?~~ 8월 5일 기아전 선발 등판에선 5⅓이닝 1실점([[전병두]]의 [[분식회계(야구)|분식회계]])으로 잘 막아내며 승리를 챙겼다. ===== 포스트시즌 ===== [[KIA 타이거즈|KIA]]와의 2011년 준플레이오프에서 한 경기도 등판하지 못했고, 팀은 시리즈 전적 3승 1패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롯데 자이언츠|롯데]]와의 2011년 플레이오프에서 3경기 2⅔이닝 6피안타 1피홈런 5탈삼진 1실점 1자책점 3.38을 기록했고, 팀은 시리즈 전적 3승 2패로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삼성 라이온즈|삼성]]과의 2011년 한국시리즈에서 1경기 1이닝 1피안타 1피홈런 2탈삼진 1실점 1자책점 평균자책점 9.00을 기록했고, 팀은 시리즈 전적 1승 4패로 준우승에 그쳤다. 2011년 포스트시즌에서 4경기 3⅔이닝 7피안타 2피홈런 무사사구 7탈삼진 2실점 2자책점 평균자책점 4.91을 기록하였다. ==== 이후 ==== 2012년 시즌 중 허리 부상을 당했는데, 이후로 구위가 올라오지 않으면서 주로 [[KBO 퓨처스리그]]에 머물렀다. === [[삼성 라이온즈]] 시절 === [[KBO 리그 2차 드래프트]]로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 [[이영욱(타자)|타자 이영욱]]과 한솥밥을 먹게 되었으며 고향 연고의 팀으로 옮겨서 활약하게 되었다. [[스프링캠프]] 때 몸상태가 좋았었다고 하는데 손톱이 깨지는 부상을 입은 이후 [[KBO 퓨처스리그]] 들어와서 10점대가 넘는 ERA를 기록했다. 결국 고향 팀에서 1군에 오르지 못한 채, 2014년 10월 방출과 동시에 [[은퇴]]했다. == 지도자 경력 == 은퇴 직후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 코치로 부임했다. 이후 [[경상북도]] [[청송군]]에 있는 진성중학교에서 새로 창단되는 야구부의 감독으로 있다가 2022년 퇴임했다. == 여담 == * [[파일:attachment/이영욱(투수)/younguk.jpg]] [[불타는 그라운드]]에서 [[SK 와이번스]] 선수들 아들에게 야구를 시킬거냐는 질문에 '죽여버려야지' 라고 터프한 발언을 한 동영상으로 유명하지만 '좌완투수 시켜서 빌딩을 사겠다'는 [[나주환]]의 깝죽거림에 묻혔다. ~~아들은 다른 종목을 시키면 되겠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 2003 ||<|11> [[SK 와이번스|SK]] ||<-13><|2> 1군 기록 없음 || || 2004 || || 2005 || 39 || 64⅔ || 1 || 0 || 0 || 1 || 2.51 || 59 || 5 || 15 || 11 || 41 || 1.14 || || 2006 || 55 || 92⅔ || 6 || 5 || 0 || 3 || 3.11 || 87 || 5 || 28 || 6 || 52 || 1.24 || || 2007 || 26 || 59⅔ || 3 || 3 || 0 || 1 || 4.83 || 70 || 6 || 20 || 9 || 24 || 1.51 || || 2008 || 19 || 45 || 2 || 3 || 0 || 2 || 3.60 || 33 || 3 || 16 || 5 || 44 || 1.09 || || 2009 ||<-13><|2> 군복무([[사회복무요원|공익근무요원]]) || || 2010 || || 2011 || 20 || 66⅔ || 4 || 4 || 0 || 0 || 4.59 || 58 || 8 || 17 || 7 || 46 || 1.13 || || 2012 || 11 || 32⅓ || 0 || 2 || 0 || 0 || 5.57 || 28 || 3 || 17 || 5 || 15 || 1.39 || || 2013 || 1 || 1 || 0 || 0 || 0 || 0 || 27.00 || 2 || 1 || 0 || 1 || 1 || 2.00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 2014 || [[삼성 라이온즈|삼성]] ||<-13>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 [br] (7시즌) || 171 || 362 || 16 || 17 || 0 || 7 || 3.90 || 337 || 31 || 113 || 44 || 223 || 1.24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80년 출생]][[분류:2003년 데뷔]][[분류:2014년 은퇴]][[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SK 와이번스-SSG 랜더스/은퇴, 이적]][[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분류:대구상원고등학교 출신]][[분류:홍익대학교 출신]][[분류:사회복무요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