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마법진 구루구루/등장 지역)] [목차] || [[파일:guruieta3.png|height=180px]] || [[파일:guruieta1.jpg|height=180px]] || [[파일:guruieta2.jpg|height=180px]] || || 원작 || 2기 || 3기 || == 소개 == || '''원어''' || '''음차''' || '''정발판''' || '''1기 더빙''' || '''2기 더빙''' || '''3기 더빙''' || || イエタ村 || 이에타 마을 || 예타촌 || - || || 드래곤 마을 || * 등장 에피소드 * 원작: 67~70장 (8권) * 1기: (등장 없음) / 2기: 23~25화 * 3기: 13화 イエタ村. [[지미나 마을]] 등 다른 마을과 마찬가지로 '말할 수 있었다(言えた)'와 동음이의어이긴 한데... 의미상 이걸 노리고 지은 이름은 아닌 것 같다. 일본어에서는 '예'를 '[[イ]]ェ'로도 'イエ'로도 적을 수 있기 때문에[* 외국어 발음을 정확히 적어야 할 때는 イェ로, 일본어에 유입됐다고 판단되면 イエ로 적을 수 있다. '예수(イエス)', '예티(イエティ)' 등. 반대로 '예일 대학'은 그 정도로 유입됐다고 판단되지 않기 때문에 'イェール大学'이라고 적는다.] '예타'로도 볼 수 있고, 정발판에서도 이쪽으로 적었다. 3기 더빙판에서는 용이 나온다는 전설에 따라 '드래곤 마을'이 되었다. [[마경]]과 [[아라하비카]]로 진입하기 직전에 잠시 들르는 인간 마을이다. 처음 마경에 들어갈 때에는 이 아래부터는 쫙 마경인 것같이 묘사되지만 의외로 아라하비카 이후에도 [[에루에루 마을]]이나 [[엣토르 마을]] 등, 인간 마을은 꽤 있기는 하다. 높은 언덕에 돌담을 쌓은 식으로 되어있다. 코팔 왕국이나 아라하비카나 꽤 긴 에피소드 사이에 쉬어가는 에피소드 격. 3기에서는 원래 외전이었던 마녀 할멈 이야기[* 1기에서는 [[앗치 마을]]~[[슈기 마을]] 사이의 자바 왕국 에피소드로 들어갔다.] 연출이 끼어들어가기도 했다. 2기에서는 원작/1기 기준 [[앗치 마을]]에서 등장하는 케베스베스가 처음으로 등장한다. 원작과 3기에서는 눈이 쌓여있는 추운 마을로 등장한다. 확실히 산골이라는 느낌이 있어서 어색하지는 않은 편. 그에 따라 복장도 겨울 복장으로 바뀌었다. 원작에서는 더운 지방에는 꽤 가는 편이지만 추운 지방에 가는 일이 전혀 없기 때문에 주인공 일행의 겨울 복장은 3기의 이에타 마을이 유일하다. 이후 아라하비카에서 [[쿠쿠리]]가 다른 곳에서와는 달리 [[목도리]]를 착용하는 것과 잘 이어지는 편이다. 원작에서는 마지막에 눈이 내리는 장면이 있다. == 전개 == [[파일:seolmyeong.jpg|width=300px]] >"[[쿠쿠리]]랑[* 원작과 2기 애니메이션에서는 쿠쿠리가 스스로를 [[3인칭화|쿠쿠리라고 지칭하지만]], 1기와 3기에서는 [[아타시]]를 쓴다. 이 대사도 3기 애니메이션에서는 '아타시'로 나온다.] [[니케(마법진 구루구루)|용사님]]은 일단 여행을 떠나고 뜨문뜨문 이 마을에 돌아온다고 해도 ([[쥬쥬(마법진 구루구루)|쥬쥬]]는) [[룬룬(마법진 구루구루)|언니]]랑 같이 이 마을에 남겠다는 게 사실이야?" >"[[설명충|엄청 설명조네...]]" >"그치만 페이지가 모자란걸..." 마침 챕터가 끝나가서 급하게 말풍선 하나로 코팔 왕국 에피소드를 마무리하고(...)[* 3기에서는 12화의 분량이 끝나가서 쿠쿠리가 대사 하나로 급하게 정리하는 걸로 원작을 구현했다.] 코팔 왕국을 떠나기로 한 니케와 쿠쿠리는 '''다음에 어디로 가야 할지 미처 생각을 못해서''' 방황한다. 마침 [[깁플]]이 '이에타 마을이라는 곳에서 용이 나타난다더라' 하는 소문을 물어와서, 니케는 "그래! 역시 판타지라면 용을 무찔러야지!!" 하는 마음에 불타서 이에타 마을로 향한다. 그런데 막상 이에타 마을에 가보니 너무나 평화로운 마을이어서 맥이 확 풀린다. 하와이 식당의 할머니는 용이 정말로 있다고, 자기 눈에는 보인다고 주장하지만 마을 사람들은 아무도 믿어주지 않았다. 그 말을 듣고 [[쿠쿠리]]가 확인해보니 쿠쿠리 눈에는 정말로 용이 보였다. 3기에서는 니케도 보이는 걸로 약간 달라졌다. 3기에서는 혼자 용이 보이는 걸 믿어주지 않아 슬퍼하는 할머니를 위로하고자 니케가 줄에 매달려서 쇼를 선보인다. 앞서 말했듯이 이 부분은 원작에서는 3권의 외전이며 1기에서는 [[앗치 마을]] 전의 자바 왕국에 삽입되어있던 부분이다. 이 이야기에서는 마녀 할멈의 집을 [[쿠쿠리]]만 먼저 발견해서 들어가는 장면이 있는데, 이 전개가 이에타 마을에서 쿠쿠리가 먼저 용을 발견하는 것과 닮아있기는 하다. > 「何の料理ですか?」(무슨 요리예요?) > 「ギンギー」(깅기.) > 「材料は?」(재료는?) > 「ギンギー」(깅기.) 하와이 식당에서 '깅기 요리(ギンギー料理)'가 나오는 부분이 개그 포인트. 이 드립은 이후 [[레프 섬]]에서 재료만 마타데(マタデー)로 바꿔서 또 한 번 나온다. 정발판에서는 '깅기'가 아니라 '[[여우]]'로 번역됐고, 3기 더빙판에서는 '[[메기]]'로 번역되었다. 하룻밤 묵으니 고양이가 춤을 추는데, 이는 [[용사]]를 알아보고 그런 것이었고 마을 사람들은 온갖 요란을 떨며 환영을 해준다. 이 마을에는 예전에도 용사가 나타난 적이 있었는데, 옛날에는 이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떠나보냈던 것을 후회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환영이라고 해주는 것이 위험한 묘기라서 [[니케(마법진 구루구루)|니케]]와 [[쿠쿠리]] 일행은 잔뜩 기겁한다. 외진 산골 마을이라서 보여줄 게 그런 묘기밖에 없다고... 다시금 용사가 나타난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마을 사람들은 이전의 용사가 남긴 것을 보여주는데 그것은 [[구루구루]]였다. 마을 사람들이 말하던 용사는 [[미그미그족]]이었던 것. [[구루구루]]를 두려워하던 [[앗치 마을]]과는 사뭇 다른 전개. 그 구루구루는 [[아라하비카]] 에피소드에서 딱 한 번 사용하는데 '프티 행성'이라는 구루구루였다. [[레이드(마법진 구루구루)|레이드]]가 마법공학 비행선 셸(シェル)[* '貝(조개 패)'라고 쓰고 'シェル'이라고 읽기 때문에 '셸'이 맞다. 정발판에서는 후리가나상으로 스테가나(작은 가나)가 분간이 안 돼서인지 '시에르'라고 오역했다. 3기 더빙판에서는 제대로 '셸'이라고 나온다.]을 타고 나타나 [[쿠쿠리]]를 위기에 빠뜨릴 뻔하지만 덩치에 비해서 공격 능력이 변변치 않아서 퇴각한다. 2기 애니메이션에서는 본래 원작에선 [[앗치 마을]]에서 등장하는 악마 케베스베스가 이 마을에서 등장해 쿠쿠리를 야하게 만든다. 이후 [[아라하비카]] 편에서 재회를 언급하기 때문에, 앗치 마을이 등장하지 않는 2기에서도 일단 등장은 시켜야 했기 때문이다. 구루구루 2 10권에서 마을 꼬맹이들이 부르는 노래가 정말 오랜만에 다시 등장한다. == 등장인물 == 워낙 짧게 지나가는 에피소드라 이 마을에서만 등장하는 캐릭터 가운데 이름이 있는 캐릭터는 없다. 여관 할머니나 마을 꼬맹이 둘 정도가 꽤 비중 있게 다뤄진다. [[분류:마법진 구루구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