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이안 맥켈런의 주요 수상 및 수훈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컴패니언 오브 아너 수훈자)] ---- [include(틀:대영제국 훈장(기사작위 수훈자들-남자))] ---- [include(틀:베를린 국제 영화제 명예 황금공상)] ---- ||<-5>
{{{#e5d85c ''' 역대 [[토니상|{{{#e5d85c 토니상}}}]] 시상식 ''' }}} || ||<-5> [[파일:tonyawards.png|width=80]] || ||<-5> {{{#E5D85C '''남우주연상 - 연극 부문 '''}}} || || ''' 제34회 [br] ([[1980년]]) ''' || {{{+1 → }}} || ''' 제35회 [br] ([[1981년]]) ''' || {{{+1 → }}} || ''' 제36회 [br] ([[1982년]]) ''' || || 존 루빈스타인 [br] (작은 신의 아이들) || → || '''이안 맥켈런 [br] ([[아마데우스(연극)|아마데우스]])''' || → || 로저 리스 [br] (니콜라스 니클비의 인생과 모험) || ||<-5> || ---- ||
<-5> {{{#E5D85C ''' 역대 [[골든글로브상|{{{#E5D85C 골든 글로브 시상식}}}]]''' }}} || ||<-5> [[파일:goldenglobe.png|width=55]] || ||<-5> {{{#E5D85C '''남우조연상 - 미니시리즈'''}}} || || ''' 제53회[br]([[1996년]]) ''' || {{{+1 → }}} || ''' 제54회[br]([[1997년]]) ''' || {{{+1 → }}} || ''' 제55회[br]([[1998년]]) ''' || || [[도날드 서덜랜드]][br](시티즌 X) || {{{+1 → }}} || '''이안 맥켈런[br](라스푸틴)''' || {{{+1 → }}} || [[조지 C. 스콧]] [br] (12인의 성난 사람들) || ||<-5> || ---- ||<-5>
[[SAG-AFTRA#s-4|[[파일:SAG AWARDS LOGO.png|width=80]]]] || ||<-5> [[파일:SAG AWARDS TROPHY.png|width=60]] || ||<-5> [[미국배우조합상/남우조연상|{{{#000 '''영화부문 남우조연상'''}}}]] || || ''' 제7회[br] ([[2001년]]) ''' || {{{+1 →}}} || ''' 제8회[br] ([[2002년]]) ''' || {{{+1 →}}} || ''' 제9회[br] ([[2003년]]) ''' || || [[알버트 피니]][br]([[에린 브로코비치]]) || {{{+1 →}}} || {{{#fff '''이안 맥켈런[br]([[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fff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 {{{+1 →}}} || [[크리스토퍼 워컨]] [br] ([[캐치 미 이프 유 캔]]) || ||<-5> || ---- }}} || ---- ||<-2> '''{{{+1 이안 맥켈런 경}}}[br]Sir Ian McKellen[br]CH[* 컴패니언 오브 아너(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 수훈자임을 표기한 것] [[대영제국 훈장|{{{#fff CBE}}}]]'''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ir Ian Murray McKellen.jpg|width=100%]]}}}|| || '''본명''' ||이언 머리 매켈런[br]Ian Murray McKellen|| ||<|2> '''출생''' ||[[1939년]] [[5월 25일]] ([age(1939-05-25)]세)|| ||[[잉글랜드]] [[랭커셔]] 번리||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 '''직업''' ||[[배우]], [[사회 운동|사회 운동가]]|| || '''활동''' ||[[1958년|1958년 – ]][[현재]]|| || '''신장''' ||180cm|| || '''학력''' ||[[케임브리지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컬리지#s-5.1.10|세인트 캐서린스 컬리지]] {{{-1 ([[영문학]] / 학사)}}} || || '''종교''' ||[[무종교]] ([[무신론]])|| || '''파트너''' ||브라이언 테일러^^(1964년~1972년)^^[br]숀 머사이어스^^(1978년~1988년)^^ || || '''링크''' ||[[http://www.mckelle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ianmckellen, 크기=24)] [[https://www.facebook.com/ianmckelle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www.instagram.com/ianmckelle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배우]]. 60년 넘게 무대와 스크린을 오가며 [[윌리엄 셰익스피어|셰익스피어]] 극에서부터 판타지, SF 장르를 넘나드는 다양한 역을 맡아왔다. 영국 연극계의 상징적인 배우로 세계적으로는 영화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반지의 제왕]]의 [[간달프]] 역과 [[엑스맨(영화)|엑스맨]]의 [[매그니토]] 역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79년 무대 예술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대영제국 훈장]] 3등급(CBE)을 받고, 1991년에는 영국 문화 아이콘으로 인정받아 [[기사작위]](Knight Bachelor)에 서임되었다. 이름 앞에 Sir가 붙는 것도 기사작위를 받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2008년에는 극작과 평등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훈장(상훈)/영국|컴패니언 오브 아너]](CH)도 받았다.[* 1.5등급에 해당하는 상위 훈장. 대영제국 훈장과는 별도의 훈장이다. 대부분의 예능인이 3등급 이하의 훈장, 세계적으로 아주 잘 되면 기사작위까지 받는 것을 생각하면 이도 뛰어넘어 1.5등급에 해당하는 훈장을 또 받은 것은 확실히 대단한 점. 일반적으로 얘기하는 기사작위인 Knight Bachelor가 2.5등급에 해당한다. 1이면 1이고 2면 2지 1.5와 2.5가 따로 있는 것은, 1등급과 2등급 훈장의 정원이 너무 적은 것이 주요한 이유.] [[커밍아웃]]한 [[게이]]이며[* 1988년 1월 27일 BBC 라디오 3에서 동성애자임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https://www.bbc.co.uk/bbcthree/article/70b15fcd-3e98-4ce0-a192-5f4b78212ae9|#]]], 영국 역사상 기사 작위를 받은 두번째 동성애자[* 첫번째 서임자는 소설가 앵거스 윌슨이나 인지도가 없기 때문에 맥켈런을 최초의 서임자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로 유럽 최대 [[LGBT]] 인권단체인 스톤월의 공동 창립자이자 인권운동가로도 유명하다. == 생애 == === 성장과 연극 배우로서의 삶 === 영국의 노장 배우로, 그 나이대 사람답게 연극으로 기본기를 탄탄히 닦고 영화의 세계로 뛰어들었다.[* 사실은 커밍아웃을 했을 때 영국 연극계의 반발로 인한 어쩔 수 없는 강제 할리우드 진출이었다. 하지만 신의 한 수가 되어 이미지가 압도적으로 좋아지는 바람에 자의 반 타의 반으로 복귀한 케이스.] 엄밀히 말하면 연극 무대를 떠나 본 적이 없으며, 영화 《[[엑스맨 유니버스]]》와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 출연으로 한참 바빴던 2000년대 초반부터 지금까지 '''매년 무대에 올랐다.''' 그야말로 영원한 현역.[* 1969년 처음 영화에 출연할 때부터 이미 목표가 “연극 무대를 떠나지 않고 영화에서 성공을 거두는 것”이었다고 한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셰익스피어]] 전문 배우로 평가받고 있는데, 셰익스피어에 대한 관심과 애정은 평생을 아마추어 연극 배우로, 연출가로, 제작자로 활동했던 누나 진의 영향이었다고 한다. 8살 때 선물받은 장난감 극장 세트에 직접 종이로 오려 만든 인형을 등장시켜 《[[햄릿]]》을 연출하며 놀았다고 한다. 그 어린 나이에 참고한 원작은 [[로렌스 올리비에]]의 영화판 《햄릿》. 공식 연극 데뷔는 1952년 13살의 나이로 무대에 오른 《[[십이야]]》라고 알려져 있으나, 홈페이지 상으로는 1950년, 11세의 나이로 무대에 선 비라 알렛(Vera I. Arlett)의 《[[어린이날]](Children's day)》이라는 학교 연극이 첫 작품이었다고 한다. 처음 팸플릿에 자신의 이름이 적힌 작품으로, 아직도 그 팸플릿을 간직하고 있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mckellen.com/5965.jpg |width=100%]]}}} || || '''{{{#ffffff ▲ 1950년 생애 첫 연극의 팸플릿 [* 두번째 줄의 Father - I. McKELLEN ]}}}''' || 맥켈런의 자양분이 되었던 것 중 하나는 《십이야》 출연 이후, 매년 여름 스트랫퍼드 어폰 에이본(셰익스피어의 출생지)에서 있었던 여름학교였다. 여름학교가 열리던 곳에서 30분이면 로열 셰익스피어 극장에 갈 수 있었는데, 거기서 어린 맥켈런은 놀랍게도 로렌스 올리비에, [[비비언 리]], 이디스 에번스, 페기 애시크로프트 같은 어마어마한 대배우들이 출연하는 셰익스피어극을 볼 수 있었다. 훗날 이 때를 회상하며 맥켈런은 “페기 애시크로프트의 연기는 인간 이상의 것이었다. 나같은 아마추어가 그런 경지에 이를 것이라고는 생각할 수 없었다. 10대의 나는 요리사나 기자가 될 것이라고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을 뿐이었다.”라고 말했고 대학에서도 문학 전공을 선택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an at Cambridge, 1961(age22).jpg |width=100%]]}}} || || '''{{{#ffffff ▲ 1961년 케임브리지 재학 시절 (22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59 Ian McKellen And Margaret At The ADC Theatre Cambridge.jpg |width=100%]]}}} || || '''{{{#ffffff ▲ 1959년 연극 DEUTSCHES HAUS (20살)[* 케임브리지 대학 재학 시절, ADC Theatre Cambridge, Arts Theatre Club London에서 공연한 연극이다. 맥켈런은 해리 역, 상대 여배우 Margaret Drabble는 안나 역을 맡았다.]}}}''' || 하지만 케임브리지 대학의 유서깊은 연극 클럽 말로우 소사이어티(Marlowe Society)에 가입하며 결국 '뉴 올리비에'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배우의 길을 걷게 된다. 훗날 [[해리 포터 실사영화 시리즈|해리 포터 시리즈 영화판]]에서 미네르바 맥고나걸 역할을 맡게 되는 [[매기 스미스]]가 이때 맥켈런의 연시를 보고 감탄해 올리비에에게 그를 추천한다. 이를 계기로 올리비에의 눈에 띈 맥켈렌은 29살에는 영국 국립연극컴퍼니에 스카우트 되고, 35살에는 동경하던 로열 셰익스피어 극단에 들어가 전성기에 올랐다. 묵묵히 자신의 일에 매진해 꿈을 이룬 모범적인 케이스. [youtube(4LDdyafsR7g)] [[맥베스]]의 명대사를 연기하는 맥켈런. 영국 배우들에게 영원한 꿈의 극단인 로열 셰익스피어 극단에 들어갔지만, '부자들만 보러 오는 무대보다는 평범한 사람들이 어울리는 무대'를 추구했던 맥켈런은 뜻이 맞는 사람들을 모아 돌격대(Commando Unit)를 조직한다. 이 돌격대는 수십 개의 마을을 돌며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포함해 다양한 연극을 공연했고 이안 맥켈런 역시 이 시기를 "가장 즐겁게 연극을 했던 시기"라고 회상하기도 한다. === 할리우드 진출 === 첫 영화 출연은 1969년작 《사랑의 손길(A Touch of Love)》이었지만 주목을 받기 시작한 건 1990년대부터이다. 1993년 [[HBO]]에서 제작한 TV 영화 '앤 더 밴드 플레이드 온'에서 게이 인권 운동가로 출연해 [[에미상]]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으며, 1995년에는 [[BBC]]에서 제작한 TV 영화 '라스푸틴'에서 [[니콜라이 2세]]를 연기해 큰 호평을 받았고, 이 연기로 [[골든 글로브]] 미니시리즈 부문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참고로 라스푸틴을 연기한 배우는 [[알란 릭맨]]이다.] 또한 1995년 주연으로 출연한 영화 《[[리처드 3세(영화)|리처드 3세]]》가 평단의 호평을 받았고, 맥켈런은 [[영국 아카데미]], [[골든 글로브]]에서 남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그가 직접 쓴 각본은 영국 아카데미에서 각색상 후보에 올랐다. 1998년에는 《[[갓 앤 몬스터]]》로 커리어 처음으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할리우드에서 큰 성과를 거둔 맥켈런은 1999년 슈퍼 히어로 시리즈 《[[엑스맨 유니버스]]》를 대표하는 빌런 [[매그니토(엑스맨 유니버스)|매그니토]] 역에 캐스팅됐다. 이 작품에서 노익장을 과시해 빼어난 연기력을 보여줬다. 이안 맥켈런의 위엄있고 포스있는 빌런 연기를 볼 수 있다. 또한 《[[엑스맨(영화)|엑스맨 1편]]》과 《[[엑스맨 2|엑스맨 2편]]》은 흥행에서도 큰 성공을 거둬, 맥켈런은 세계적으로 인지도 있는 스타 배우가 된다. 재미있게도 영화에서나 원작에서나 절친이자 라이벌인 [[프로페서 엑스(엑스맨 유니버스)|프로페서 엑스]]를 연기한 [[패트릭 스튜어트]]와는 연극배우 시절부터 동료이기도 하다. 1999년 《[[엑스맨(영화)|엑스맨 1편]]》촬영 당시, 이안 맥켈런은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의 [[간달프]] 역에 캐스팅됐다. 원래는 [[크리스토퍼 리]]가 간달프 역을 노리고 있었는데, 맥켈런이 더 잘 어울린다는 것을 쿨하게 인정하고 양보했다고 한다. 실제로 맥켈런은 그야말로 완벽에 가까운 간달프를 연기해, 팬들과 평론가들에게 극찬을 받았다. 이러한 연기력을 인정받아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로 [[미국배우조합상]]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했고,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는 흥행에서도 초대박을 기록했고, 마지막 3편은 아카데미상에서 상을 싹쓸이하는 대기록을 세워 영화사의 남은 걸작이 됐다. 또한 연달아 개봉한 두 개의 블록버스터 시리즈가 엄청난 성공을 거둬, 맥켈런은 국제적으로 큰 명성을 얻게 됐다. 이 두 시리즈는 할리우드 진출 후 이안 맥켈런을 대표하는 작품들이다. 상당히 붙임성 좋고 장난기 많은 성격이라 《[[엑스맨 유니버스]]》 촬영 당시 동료 배우들을 상대로 장난(!)을 많이 쳤다고 한다. 또한 엑스맨 시리즈에서 계속 붙어다니는 동료 [[미스틱(엑스맨 유니버스)|미스틱]](레베카 로메인 스테이모스)이 촬영 내내 거의 [[알몸]]이나 다름없는 분장을 하고 다녔음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내 털 한가닥도 세우지 못했다. 나는 주로 휴([[휴 잭맨]], [[울버린]] 역)와 어울려 다녔을 뿐이다" 라는, 참으로 굉장한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 ('[[매그니토(엑스맨 유니버스)|매그니토]]는 동성애자에 대한 탄압에 맞서는 영웅 같았다' 라는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고 한다.) 그 외에 미스틱이 쓰러진 울버린 위에 타고 다른 여자들로 변하면서 유혹하는 장면이 있는데 "거기에 나도 끼워주면 안 되나?"하고 농담했다가 거절당하기도 했다.[* 이해가 안 되는 사람을 위해 첨언하자면 "그때 나도 유혹해주면 안돼?"가 아니라 "그때 나로도 변해주면 안돼?", 즉 '''"나도 [[휴 잭맨]] 위에 올라타보면 안돼?"'''라는 의미의 조크다] 한편 《[[엑스맨 2]]》에서 [[아이스맨(엑스맨 유니버스)|아이스맨]]이 자신이 [[뮤턴트#s-2]]라는 사실을 가족에게 고백하는 대목은 맥켈런이 각본가와 함께 작업한 장면으로, 아이스맨의 고백이 좀 더 [[게이]] 소년의 [[커밍아웃]]처럼 보이게 만들도록 도왔다고 한다.[* 재미있는 것은 영화 개봉 이후 코믹스에서는 정말로 아이스맨이 게이라는 설정이 추가되었다는 것이다.] 아이스맨이 부모님과 나누는 대화 중 ''''뮤턴트가 되는 걸 고치려고 노력은 해봤니?''''라는 부모님의 말에서 '''뮤턴트'''라는 단어만 '''게이'''로 고치면 영락없는 커밍아웃 장면이다. 실제로 이것은 감독 [[브라이언 싱어]]가 의도한 바로, 싱어 역시 공식적으로 커밍아웃한 동성애자로 유명하다. 자신에게 연기와 동성애 인권운동이 별개의 것이 아니라는 맥켈런의 신조가 잘 드러나는 대목이다.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 촬영시에 [[골목쟁이네 프로도|프로도]]역의 [[일라이저 우드]], [[툭 집안 페레그린|피핀]]역의 [[빌리 보이드]], [[감지네 샘와이즈|샘]]역의 [[숀 애스틴]], [[강노루 집안 메리아독|메리]]역의 [[도미닉 모나한]]과 1년이 넘는 기간동안 같은 트레일러에서 생활했는데 젊은 배우들이 이른 아침에 시끄러운 노래를 틀면'우어어어어'하는 우렁찬 소리를 내면서 무언으로 항의하는 의사를 밝히곤 했다. 일라이저 우드는 "이안이 뭐라고 하시는지 알아 들을 수 없었지만 항의 같았다."며 웃었고 이에 대해 맥켈런은 "엉성하지만 파티션이 있어서 다행이었어요. 일라이저 우드나 특히 도미닉 모나한이 이른 아침에 음악을 크게 틀곤 했는데, 트는 음악들이 제 취향이 아니었거든요. 하지만 그 때문에 갈등은 없었어요."라고 회상했다. [[숀 애스틴]]의 인터뷰에 따르면 트레일러 양끝에 출입구가 있었고 "이안이 의자에 앉아계시면 저희들은 존경의 의미(out of respect)로 다른쪽 출입구를 썼어요." [*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블루레이 부가영상 The Fellowship of The Cast 중에서] [[레골라스]]를 연기한 [[올랜도 블룸]]은 촬영 초반 2달 동안 이안 맥켈런의 "뒷모습만 봐도 떨렸다"고 말할 정도로 존경심을 드러냈는데 이후에는 친해져서 저녁형 인간인 맥켈런이 아침마다 앓는 소리를 내자 놀리기 위해 쿡쿡 찌르며 장난을 치기도 했다. 그 때마다 맥켈런은 재치있고 예의바르게 촌철살인의 한 마디를 날려서 올랜도 블룸을 꼼짝하지 못하게 만들었다고. [* 반지의 제왕: 반지원정대, 두개의 탑 부가 영상 코멘터리 중에서 ] 한국 대중들에게는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반지의 제왕]]에서 유일하게 모든 시리즈에서 비중 있는 [[간달프]]와 [[엑스맨 유니버스|엑스맨]]에서 매그니토 역으로 알려져 있다. 영화를 보면서 [[배우 개그]]를 생각하거나, 뒤늦게 놀라는 관객들이 꽤 늘어가는 상황. 특히 2014년 작품을 비교하면 두 캐릭터의 싱크로율이 높다.[* 반지의 제왕 시리즈에서는 중후한 캐릭터 연출을 위해 특수효과로 주름을 추가한 모습이었고, [[DOFP|2014년 엑스맨에 출연한 모습]]을 보면 자연스럽게 주름이 늘었다.] [[해리 포터 실사영화 시리즈]]에서 [[알버스 덤블도어]] 역을 거절한 사실이 유명하다. 덤블도어 배역은 [[리처드 해리스]]가 사망한 후 3편부터 배우가 바뀌게 되었는데 맥켈런이 거절한 후에는 [[마이클 갬본]]이 연기하게 되었다. 리처드 해리스가 생전 맥켈런을 평가하기를 "실력은 뛰어나나 열정이 없다.(technically brilliand but passionless.)"고 했고 결국 맥켈런은 "나를 인정하지 않은 배우의 배역을 승낙할 수는 없었다.(I couldn't take over the part from an actor who didn't aprrove me.)"며 예의상 거절했음을 밝혔다. 해당 BBC 인터뷰에서 자신은 진짜 [[간달프|마법사]]라 괜찮다며 농담을 하기도 했다. [[https://youtu.be/1hNkGkqGBR47|영상]] === 활동가로서의 삶 === 한번도 주변 사람들에게 자신이 동성애자라는 것을 숨기거나 거짓말을 한 적이 없지만 공식적으로 [[커밍아웃]]하지는 않은 채 살다가 [[마거릿 대처]] 정부가 '섹션 28' 입법으로 동성애의 공론화를 범죄로 규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1988년 1월 27일 [[BBC]] 라디오를 통해서 커밍아웃했다.[* [[커밍아웃]] 이후 한동안 맥켈런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성적 지향]]에 대한 문제에만 집중되었다고 한다. 맥켈런은 이런 호들갑스러운 반응에 대해 “내가 [[게이]]라는 건 모두가 알고 있었다. 내가 게이일 뿐 아니라 배우라는 사실을 신문에 투고해야 하는 건 아닐까 할 정도였다. 커밍아웃, 커밍아웃, 커밍아웃. 내가 한 건 그것 뿐이다. 묘비에다가 써넣기라도 해야겠군.”이라 회고했다.] [[파일:external/www.mckellen.com/880127diary.jpg]] 당시 맥켈런의 일정 메모. 제일 아래 '27 Wednesday'에 7:00 - Radio Interview라고 적혀있는 것이 바로 '섹션 28' 법안에 대한 [[BBC]] 인터뷰. [[파일:external/www.mckellen.com/0394.jpg|width=560]] 1988년 맨체스터에서 열린 [[마가렛 대처]]의 '섹션 28' 법안 반대 집회에서의 이안 경의 사진. 옆에 서있는 사람은 마이클 캐슈먼으로, [[BBC]] 드라마 최초로 동성애자 사이의 [[키스]]를 촬영했던 배우이자, 스톤월의 공동 창립자이다. 현재는 [[유럽연합]] 국회의원. 1989년에는 [[LGBT]] 인권운동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어 유럽에서 가장 큰 LGBT 인권단체 스톤월[* 약칭은 스톤월이지만 정식 명칭은 Stonewall Equality Limited] 을 공동 설립했고, 아직까지도 활발한 인권운동가로 살고 있다. 오스카 시상식에 대해서 대놓고 쓴소리를 하기도 했다. 이성애자가 게이 역할을 맡으면 극찬을 해주고 상도 주지만, 정작 커밍아웃한 배우들에게는 그 어떤 열연을 해도 절대로 상을 주지 않는다는 내용이었다. [[https://www.theguardian.com/film/2016/jan/25/ian-mckellen-why-no-openly-gay-man-oscar-diversity-homophobia|#]] == 이미지 == [[파일:external/www.mckellen.com/3504.jpg]] [[파일:external/blogs.dixcdn.com/learglosterdover.jpg|width=560]] 리어왕을 열연하는 모습 [[파일:external/backstage.blogs.com/ian_mckellen_shades_2.jpg]] [[파일:external/2.media.tumblr.com/tumblr_ku9lstIbVv1qast8lo1_500.jpg]] 젊은 시절 [[파일:external/www.mckellen.com/0006.jpg]] 영화 《죽음보다 무서운 비밀(Apt pupil)》에서 나치 전범으로 출연한 모습 [[파일:external/1.bp.blogspot.com/richard+iii2.png]] 영화 《[[리처드 3세(영화)|리처드 3세]]》에서 [[리처드 3세]] 역으로 출연한 모습. 이 영화는 시대 배경을 1930년대로 옮겨 각색한 것이라 [[영국]] 국왕이 [[나치]] 친위대 장군복을 입고 [[T-55]] 전차를 모는 엽기적인 모습이 나온다.[* 특히 상의 칼라에 붙어있는 계급장은 영락없는 SS다.]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Gandalf-2.jpg|width=500]] [[파일:external/www.gamersdecide.com/gandalf_balrogg.png|width=500]]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와 [[호빗 실사영화 시리즈]]에서 [[간달프]]로 출연한 모습 [[파일:external/pbs.twimg.com/CIby7SDUAAMDSfL.jpg]] 퀴어 인권운동가 맥켈런 == 출연 작품 == === 연극 === ||
'''{{{#ffffff 연도}}}''' || '''{{{#ffffff 제목}}}''' || '''{{{#ffffff 배역}}}''' || '''{{{#ffffff 작가}}}''' || ||1964||A Scent of Flowers||Godrey|| || ||<|3>1965||[[헛소동]]||클라우디오||[[윌리엄 셰익스피어]]|| ||Armstrong's Last Goodnight||개신교 전도사||아서 윙 피네로|| ||Trelawny of the 'Wells'||Capt. de Foenix|| || ||<|4>1966||The Man of Destiny||상등병 나폴레옹||[[조지 버나드 쇼]]|| ||O'Flaherty V.C.||Private O'Flaherty||[[조지 버나드 쇼]]|| ||A Lily in Little India||Alvin Hanker|| || ||Their Very Own and Golden City||Andrew Cobham|| || ||1967||The Promise||Leonidik||알렉세이 아르부조프|| ||<|2>1971||The White Liars||톰||피터 셰퍼|| ||Black Comedy||Harold Gorringe||피터 셰퍼|| ||1968[br]-1970||[[리처드 2세]]||리처드 2세||[[윌리엄 셰익스피어]]|| ||<|3>1969||[[박코스 여신도들]]||펜테우스||[[에우리피데스]]|| ||미스 진 브로디의 전성기||배역X,감독작||뮤리얼 스파크|| ||Three Months Gone||배역X,감독작|| || ||1969[br]-1970||[[에드워드 2세]]||에드워드 2세||크리스토퍼 말로|| ||<|3>1970||Billy's Last Stand||Darkly|| || ||The Recruiting Officer||Captain Plume||조지 파쿠하|| ||Chips with Everything||Corporal Hill||아놀드 웨스커|| ||<|2>1971||[[햄릿]]||햄릿||[[윌리엄 셰익스피어]]|| ||The Swan Song||Svetlovidov|| || ||<|5>1972||The Real Inspector Hound||배역X,감독작||톰 스토파드|| ||The Erpingham Campr||배역X,감독작||조 오튼|| ||Ruling the Roost||Page-boy|| || ||안타깝게도 그녀가 창녀라니||지오바니||존 퍼드|| ||The Three Arrows||Prince Yoremitsu|| || ||1973||A Private Matter||배역X,감독작|| || ||<|3>1973[br]-1974||The Way of the World||Lady Wishfort's[br]Footman||윌리엄 콩그리브|| ||The Wood Demon||Kruschov||[[안톤 체호프]]|| ||[[리어왕]]||에드거||[[윌리엄 셰익스피어]]|| ||<|3>1974||안타깝게도 그녀가 창녀라니||Giovanni||존 퍼드|| ||Doctor Faustus||크리스토퍼 말로|| ||The Marquis of Keith||The Marquis of Keith|| || ||<|4>1975||[[존 왕]]||존 왕||[[윌리엄 셰익스피어]]|| ||The Clandestine Marriage||배역X,감독작|| || ||Ashes||콜린||[[조지 버나드 쇼]]|| ||Too True to Be Good||Aubrey "Popsy" Bagot||[[조지 버나드 쇼]]|| ||1976[br]-1977||[[로미오와 줄리엣]]||로미오||[[윌리엄 셰익스피어]]|| ||1976||[[겨울 이야기]]||레온테스 왕||[[윌리엄 셰익스피어]]|| ||1976[br]-1978||[[맥베스]]||맥베스||[[윌리엄 셰익스피어]]|| ||1977[br]-1978||연금술사||페이스||벤 존슨|| ||<|3>1977||Every Good Boy Deserves Favour||알렉산더||톰 스톰파드|| ||사회의 기둥들||칼스턴 버닉||[[헨리크 입센]]|| ||The Days of the Commune||Langevin||베르톨트 브레히트|| ||1978||A Miserable and Lonely Deathr||Kentridge|| || ||1978[br]-1979||[[십이야]]||토비 경[* 프로듀서도 겸했다]||[[윌리엄 셰익스피어]]|| ||1979||벤트||맥스||마틴 셔먼|| ||1980[br]-1990||액팅 셰익스피어||본인 [* 1시간 30분 가량 셰익스피어의 유명한 대사들을 혼자 연기하는 원맨쇼. 영국,미국 등 영어권 투어 공연으로 엄청난 찬사를 받았으며 1982년에는 PBS 방송국에서 녹화본을 방송하기도 했다. 지금까지도 후배 배우들에게 회자되는 엄청난 작품이다.[[https://youtu.be/w6eztyfrWo8?list=PLexTRQstchyMv3aVK2jkNT7SoVdQoQIhx|영상]] ] ||[[윌리엄 셰익스피어]]|| ||1980[br]-1981||[[아마데우스(연극)|아마데우스]]||[[안토니오 살리에리|살리에리]]||피터 셰퍼|| ||1982||Every Good Boy Deserves Favour||알렉산더||톰 스톰파드|| ||<|2>1983||Short List||테리||Michael Rudman|| ||Cowardicet||소년||Sean Mathias|| ||<|3>1984||Venice Preserv'd||피에르||토마스 오트웨이|| ||Wild Honey||마이클 플라토노브||마이클 프레인[* [[안톤 체호프]]의 연극을 마이클 프레인이 각색했다. ]|| ||코리올라누스||코리올라누스||[[윌리엄 셰익스피어]]|| ||<|4>1985||말피 공작부인||보솔라||존 웹스터|| ||The Real Inspector Hound||하운드 형사||톰 스톰파드|| ||The Critic||미스터 퍼프||리처드 브린슬리 셰리든|| ||[[벚꽃 동산]]||예르몰라이 로빠힌||[[안톤 체호프]]|| ||1986[br]-1987||Wild Honey||마이클 플라토노브||마이클 프레인[* [[안톤 체호프]]의 연극을 마이클 프레인이 각색했다. ]|| ||1988[br]-1989||Henceforward ...||제롬||알렌 에이크번|| ||1989||[[오셀로]]||이아고||[[윌리엄 셰익스피어]]|| ||1990[br]-1992||[[리처드 3세(연극)|리처드 3세]]||리처드 3세||[[윌리엄 셰익스피어]]|| ||1992||[[바냐 아저씨]]||바냐 아저씨||[[안톤 체호프]]|| ||1993[br]-1994||A Knight Out||본인[* 액팅 셰익스피어에 이은 두번째 원맨쇼. 쇼의 이름이 A Knight Out인 것은 기사 작위를 받은 점을 패러디 한 것이다.] || || ||1997[br]-1998||민중의 적||Dr. Tomas Stockmann||[[헨리크 입센]]|| ||1997||[[피터팬]]||후크 선장||제임스 매슈 배리|| ||1998||Present Laughter||Garry Essendine||노엘 코워드|| ||1999||[[템페스트]]||프로스페로||[[윌리엄 셰익스피어]]|| ||2001[br]-2004||죽음의 무도||에드거||[[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 ||2004[br]2005||[[알라딘]]||Widow Twankie||[* 2003년부터 2016년까지 [[디즈니랜드]] 내에서 [[https://en.wikipedia.org/wiki/Disney%27s_Aladdin:_A_Musical_Spectacular|Disney's Aladdin: A Musical Spectacular]]이라는 이름으로 공연된 알라딘 뮤지컬. 같은 원작을 바탕으로 하지만 브로드웨이 뮤지컬과는 연관이 없는 별개의 작품이다.]|| ||2006||The Cut||맥스||마크 레븐힐|| ||<|2>2007[br]-2008||[[리어왕]]||리어왕||[[윌리엄 셰익스피어]]|| ||[[갈매기(희곡)|갈매기]]||소린||[[안톤 체호프]]|| ||2009[br]-2010||[[고도를 기다리며]]||에스트라공||[[사뮈엘 베케트]]|| ||2011||The Syndicate||Don Antonio||Mike Poulton[* Eduardo De Filippo의 작품을 각색]|| ||<|2>2013[br]-2014||[[고도를 기다리며]]||에스트라공||[[사뮈엘 베케트]]|| ||노 맨스 랜드||스폰서||[[해럴드 핀터]]|| ||2016[br]-2019||The Exorcist||악마(목소리)||John Pielmeier|| ||2017||이안 맥켈런 on Stage||본인[* With Tolkien, Shakespeare, Others and YOU라는 부제가 붙은 원맨쇼. 2시간 30분 가량 반지의 제왕, 셰익스피어, 맥켈런의 인생사를 이야기 하는 공연이다. 2017년 7월 3일부터 9일까지 런던의 파크 극장에서 초연을 했다.]|| || ||2017[br]-2018||[[리어왕]]||리어왕[* 80세의 나이로 80세의 리어왕을 연기하여 최고령 기네스북 기록을 세웠다. 이후 [[이순재]]가 그 기록을 깼다.]||[[윌리엄 셰익스피어]]|| ||2019[br]-2020||이안 맥켈런 on Stage||본인[* 2017년에 초연했던 원맨쇼 공연을 투어 형식으로 진행한 공연. 맥켈런의 80번째 생일을 축하하는 의미로 영국과 아일랜드 전역을 투어했다. 국립 극장에 의해 [[웨스트엔드]]에서 했던 공연은 영상으로 제작되어 2021년 7월 11일에 [[아마존 프라임]]을 통해 공개되었다. 80세의 배우가 혼자 2시간 30분 가량 무대를 꽉채우는 모습을 감상할 수 있는 공연.] || || ||<|2>2021||[[햄릿]]||햄릿[* 80대의 나이에 햄릿을 멋지게 연기하여 화제가 되었다. ] ||[[윌리엄 셰익스피어]]|| ||[[벚꽃 동산]]||퍼스||[[안톤 체호프]]|| ||2022||[[햄릿]]||햄릿[* 아일랜드 에딘버러에서 공연했다. ] ||[[윌리엄 셰익스피어]]|| ||2022[br]-2023||Mother Goose||마더 구스||Jonathan Harvey|| ||2023||Frank and Percy||퍼시||Ben Weatherhill|| === 영화/TV === * 5번가의 폴 포이티어 (Six Degrees of Separation, 1993) * 라스트 액션 히어로 (Last Action Hero, 1993) * 투 다이 포 (To Die For, 1994) * [[쉐도우(영화)|쉐도우]] (The Shadow, 1994) * [[리처드 3세(영화)|리처드 3세]] (Richard III, 1995) * [[그리고리 라스푸틴|라스푸틴]] ([[https://en.wikipedia.org/wiki/Rasputin:_Dark_Servant_of_Destiny|Rasputin: Dark Servant of Destiny]], 1996) - [[니콜라이 2세]]: [[https://www.youtube.com/watch?v=w-HU7gT-TNI|영상]] * [[벤트]] (Bent, 1997) * [[사계|죽음보다 무서운 비밀]] (Apt Pupil, 1998) * [[갓 앤 몬스터]] (Gods and Monsters, 1998) * [[엑스맨(영화)|엑스맨]] (X-Men, 2000) *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반지의 제왕]] - 반지 원정대 (The Lord of the Rings: The Fellowship of the Ring, 2001) *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반지의 제왕]] - 두 개의 탑 (The Lord of the Rings: The Two Towers, 2002) *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반지의 제왕]] - 왕의 귀환 (The Lord of the Rings: The Return of the King, 2003) * [[심슨 가족]] - 본인 (The Simpsons: The Regina Monologues, S15xE04, 2003) * [[엑스맨 2]] (X2, 2003) * [[엑스맨: 최후의 전쟁]] (X-Men: The Last Stand, 2006) * [[다빈치 코드]] (The Da Vinci Code, 2006) * [[호빗: 뜻밖의 여정]] (The Hobbit: An Unexpected Journey, 2012) * [[호빗: 스마우그의 폐허]] (The Hobbit: The Desolation Of Smaug, 2013) * [[호빗: 다섯 군대 전투]] (The Hobbit: The Battle of the Five Armies, 2014) * [[비셔스]] (Vicious, 2013) * [[닥터후]] 뉴 시즌 7 크리스마스 스페셜 에피소드 Snowman - [[그레이트 인텔리전스]]의 [[성우]]. * [[엑스맨: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 (X-Men: Days of Future Past, 2014) * [[미스터 홈즈]] (Mr. Holmes, 2015) - [[은퇴]]한 노년의 [[셜록 홈즈]] 역 * [[미녀와 야수(2017)|미녀와 야수]] (Beauty and the Beast, 2017) - [[콕스워스]] 역 * [[캣츠(영화)|캣츠]] (Cats, 2019) - 거스 역 * [[굿 라이어]] (Good Liar,2019) - 로이 역 == 여담 == * [[패트릭 스튜어트]]와 절친으로 유명하다. 둘은 공식석상에서 실제로 키스하기도 했다. [[https://scoop.upworthy.com/pictures-sir-patrick-stewart-sir-ian-mckellen-red-carpet-spark-joy|#]] *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한 유명인사 숀 파커[* 실리콘밸리의 전설로 불리는 인물. 냅스터의 설립자로, 영화 '소셜 네트워크'에서 저스틴 팀버레이크가 연기한, 마크 주커버그를 도와 페이스북을 창립하게 해준 그 인물이다.]의 150만 달러(한화 약 16억 원) 짜리 결혼 주례 부탁을 받은 적이 있으나, 선뜻 해줄 수도 있었지만 간달프 분장을 한 채 주례를 해달라는 부탁을 듣고는 거절했다고 한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8/23/2016082301648.html|#]] * [[2014년]] [[11월 3일]], [[옥스퍼드 대학교]]의 토론회인 옥스퍼드 유니언(Oxfrord Union)에 강사로 참여하여 대학생들에게 강연을 한 후 마무리로 [[간달프]]의 명대사인 "You shall not pass!"를 [[https://www.youtube.com/watch?v=sHAIMjVfp2E|외쳐주기도 했다.]] 적절하게 뜸을 들이다가 쩌렁쩌렁하게 폭발하는 발성이 포인트. 간단한 시험이나 석박사 학위 논문 심사 등을 통과(pass)하는 것과 명대사의 pass가 같은 것을 이용한 마무리였다. [youtube(sHAIMjVfp2E)] >"If you don't work hard, you know... If you don't do your revisions... You know what will happen... '''YOU, SHALL, NOT, PASS!'''" >---- >노력하지 않고... (뜸들임) 복습하지 않으면... (뜸들임) 어떻게 될지는 다들 잘 알겠죠... (뜸들임) '''너는,통과하지,못한다!''' * 2012년 런던 [[패럴림픽]] 개막식에서 열연했다. * 2013년에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의 리허설 도중 잠시 쉬러 나왔는데 지나가는 사람이 거지인 줄 알고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00512601015|모자에 동전을 넣고 갔다고 한다.]] 본인도 꽤 좋아했다. 다음에는 동료와 함께 쉬는 시간마다 나가서 그랬다고 한다. * 2016년에 [[미러]]지와 인터뷰했는데, 이제 고령이라 5살 많은 누나도 갔고, 친구들이 많이 저세상으로 갔다고 한다. 자신은 아직 죽음과 화해하지 않았지만, 그것이 삶의 사실이라고 했다.[[https://www.mirror.co.uk/3am/celebrity-news/sir-ian-mckellen-shares-thoughts-7965683|#]] * [[빌리빌리]]에서 주관한 한 애니메이션 행사에서 [[언리미티드 블레이드 워크스|무한의 검제]]의 주문을 직접 영창한적이 있다. [[https://blog.naver.com/kawaiikartoffel/220784762951|#]] * [[반지의 제왕: 힘의 반지]]에도 간달프 역을 맡고 싶다는 소망을 비쳤지만, 연락을 받지 못했다고 한다. 인터뷰에서 모든 직업을 마치 내가 하는 마지막 일인 것처럼 취급하고 싶다고 했다.[[https://histimes.com/lotr-%EC%8A%88%ED%8D%BC%ED%8C%AC%EB%93%A4%EC%9D%80-ian-mckellen%EA%B2%BD%EC%9D%B4-amazon-%EC%8B%9C%EB%A6%AC%EC%A6%88%EC%97%90-%EB%82%98%ED%83%80%EB%82%A0%EC%A7%80-%EC%95%8C%EA%B3%A0-%EC%8B%B6/|#]] * [youtube(ZS0WvzRVByg)] [[조지 에즈라]]의 Listen to the Man [[뮤직비디오]]에 출연하여 흥에 겨워 나대는 노인 기믹을 완벽히 소화하며 [[귀요미]]적인 면모를 마음껏 뽐냈다. * [youtube(qGzLszWYHW4)] [[레딧]]과의 AMA(Ask Me Anything)에서 자신의 연기, 인생 철학 등에 대해 질의응답한 적이 있다. == 관련 문서 == * [[배우/서구권]] [[분류:1939년 출생]][[분류:1958년 데뷔]][[분류:영국 남배우]][[분류:영국의 영화 배우]][[분류:영국의 드라마 배우]][[분류:영국의 기사]][[분류:컴패니언 오브 아너]][[분류:대영제국 훈장 3등급]][[분류:영국의 사회운동가]][[분류:성소수자 인권운동가]][[분류:영국의 게이]][[분류:영국의 무종교인]][[분류:번리 출신 인물]][[분류: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 소속]][[분류:케임브리지 대학교 출신/세인트 캐서린스 컬리지]][[분류:스코틀랜드계 영국인]][[분류:아일랜드계 영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