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fff Ian Nepomniachtchi}}}}}}[br]{{{#fff Ян Алекса́ндрович Непо́мнящий}}}[br]{{{#fff 얀 알렉산드로비치 네폼냐시}}}''' || ||<-2>{{{#!wiki style="margin:-10px; margin-top:-6px; margin-bottom:-6px" [[파일:Nepomniachtchi, Ian.png|width=100%]]}}} || ||<|2> '''출생''' ||[[1990년]] [[7월 14일]]([age(1990-07-14)]세)|| ||[[파일:소련 국기.svg|width=25]] [[소련]] [[브랸스크]] || || '''국적'''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 || '''타이틀''' ||[[그랜드 마스터#s-2.1|GM]] (2007) || || '''[[Elo 레이팅|{{{#fff Elo 레이팅}}}]]''' ||[[https://ratings.fide.com/profile/4168119|2771]] (2023년 10월 기준) [br] 2795 (최고 레이팅) || ||<-2> [[https://ratings.fide.com/profile/4168119|[[파일:Fide 아이콘.jp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의 프로 [[체스]] 선수. [[브랸스크]]에서 태어났다. 러시아 랭킹 1위의 그랜드마스터다. == [[2021 세계체스연맹 월드 챔피언십|2021년 월드 체스 챔피언십]] == 2020~2021 도전자 토너먼트에서 8.5/13을 기록하며 우승하여 챔피언 [[망누스 칼센|칼센]]을 상대하는 2021 월드 챔피언십에 출전했다. 1~5라운드까지는 매우 높은 정확성을 보이며 칼센을 압박하는 등[* 1라운드에서는 칼센을 상대로 기물 3점(!)의 우위를 거두기도 하였다. 결국 엔드게임에서는 무위로 돌아갔지만.] 세간의 기대를 모았으나, 챔피언십 역사상 최고 명경기로 꼽히는 7시간 이상의 장기전이었던 6경기를 패배한 후 멘탈이 나가면서 이후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8경기에서는 판단 실수로 a폰이 떨어지는 순간부터 급속도로 무너지기 시작해 패배했으며, 9경기에서는 기초적인 비숍 트랩핑을 당해 해설자들의 탄식을 자아냈으며, 10경기에서도 승리가 절실한 순간에 [[페트로프 디펜스]]를 들고 와 무승부를 냈다. 11경기에서도 패배하여 결국 0승 7무 4패로 씁쓸하게 물러났다.[* 챔피언십에서 멸망하기 전까진 칼센을 상대로 상대전적에서 앞서는 몇 안되는 선수기도 했다. 허나 이 패배로 상대전적이 5 대 4로 다시 뒤집히게 된다.] == [[2023 세계체스연맹 월드 챔피언십|2023년 월드 체스 챔피언십]] == [[2023 세계체스연맹 월드 챔피언십#s-2|2022 도전자 토너먼트]]에는 이전 도전자 자격으로 자동적으로 출전권이 주어졌고, 작년의 패배에 이를 갈고 나왔는지 9.5/14라는 '''역대 최고''' 승점으로 우승을 차지해 칼센과 다시 맞붙을 기회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칼센이 --네폼 또너야?를 시전하며-- 챔피언 방어를 포기하자 대회 준우승자인 [[딩리런]][* 여담으로 딩은 네폼니아치에게 2021 도전자 결정전 최종라운드에서 승리했지만, 2022 도전자 결정전 1라운드에서는 패배하였다.] 과 챔피언 자리를 두고 붙게 되었다. 스탠다드 경기에서는 2경기에서 앞서 나가다가 4경기에서 룩 희생을 놓쳐 동률로 만들고, 5경기에서 다시 이겼지만 6경기에서 딩의 [[런던 시스템]]에 패배하며 3대3으로 만들었다. 7경기에서 승리한 뒤 8경기에서 무한체크를 위협'''하는 척''' 하는 31...Qh4?? 블러핑으로 딩의 실수를 유도해 다 질 뻔한 경기를 무승부로 막아내면서 승점에서 앞서나갔다. 그러나 12경기에서 치명적인 블런더 34...f5??를 두어 패배하면서 허무하게 동점을 내줬고, 이후 남은 2경기가 모두 무승부로 끝나며 타이브레이크로 넘어갔다. 타이브레이크에서는 래피드 1~3경기가 무승부로 끝난 후, 4경기에서도 반복체크를 시도하며 무승부를 유도하고자 했으나 딩이 대담한 46...Rg6로 무승부를 거부한 후 통과폰을 활용한 압박을 계속해오자 48.h4??로 기점을 내준다. 중간에 딩도 실수를 하여 네폼니아치가 비숍 희생 후 무한체크 무승부가 가능한 포지션이 나오기도 했지만 시간 압박 속에서 사람이 찾기는 매우 힘든 수였고, 결국 8수 메이트까지 몰린 후 기권하면서 챔피언 등극에 실패하였다. == 기풍 == 속기가 아닌데도 수를 빨리 두는 편이다. 정밀한 계산보다는 직관에 따른 수를 두는 경우가 많은데, 이 직관은 거의 틀리지 않아 정확도와 시간관리 양면으로 상대를 압도하는 경기 운영이 특징이다.[* 실제로 그가 참여한 두 번의 세계 체스 챔피언십에서 각각 상대였던 [[망누스 칼센]], [[딩 리런]] 모두 이안을 상대로 시간 관리 문제로 고역을 치뤘다.] 게임이 끝났는데 남은 시간이 오히려 늘어 있던 경우도 있다.[* [[초읽기|피셔 방식]]을 기본으로 사용하는 체스 대회에서는 시간을 적립해둘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플레이로 인해 슈퍼GM 레벨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들 정도의 기초적인 [[블런더]]를 범해 이점을 쉽게 내어 주는 경우도 있다. 백을 잡았을 때는 과거에는 대부분 e4를 주력으로 사용하였으나 2022년 들어 [[카탈란 오프닝]]도 많이 사용하며, 흑을 잡았을 때 무승부 유도용으로는 [[페트로프 디펜스]]를 선호한다. 2022년 도전자 결정전에서도 흑을 잡은 7경기 중 상대가 1.d4, 1.c4를 둔 2경기를 제외한 모든 경기에서 페트로프를 선택했고, 2승 3무의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 기타 == 한국에서 주로 쓰이는 '이안 네폼니아치'라는 표기는 로마자 표기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외래어 표기법/러시아어|러시아어 표기법]]에 의거한 표기는 "얀 네폼냐시"이며, 실제 발음은 "니폼닛시"[nʲɪˈpomnʲɪɕːɪj]에 가깝다. K리그 팬들에게 친숙한 [[니폼니시]] 감독과 성이 같다. 서구권에서도 이름이 어렵다고 여기는지 인터뷰에서 자신의 이름을 직접 발음해주는 영상도 있다.[[https://m.youtube.com/watch?v=l5p9Pev-PDk|#]] [[히카루 나카무라]]는 기보를 작성하면서 [[https://www.youtube.com/watch?v=u1kXyjpOOvc|철자가 맞는지 확인]]하기도 했다. ~~칼슨은 [[https://www.youtube.com/watch?v=xlUfsrk179I|네폼니아치의 스펠링을 모른다.]]~~ 체스 외엔 [[DOTA 2]]에서 세미프로까지 했을 정도로 수준급 실력을 가지고 있으며 [[하스스톤]]도 유럽 래더 순위권에 든 적이 있다. 러시아인임에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침공을 지지하는 발언을 해서 국제체스연맹으로부터 6개월 대회참가 금지 징계를 받은 '''[[우크라이나]] 태생의''' 그랜드마스터 [[세르게이 카리야킨]]과는 정반대의 행보.[* 다만, 카리야킨의 출생지는 우크라이나 내부에서도 친러 성향이 매우 강한 지역인 [[크림 반도]]의 심페로폴이라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애초에 크림 반도는 국제적으로는 우크라이나령으로 인정되지만 60년대에 행정편의 문제로 러시아에서 우크라이나로 편입된 복잡한 케이스라 현지 주민들은 절대 다수가 스스로를 러시아인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비만|배가 많이 나온 편]]으로 한국에서는 네포의 푸짐한 [[뱃살]]을 체스 주머니라고 부르는 밈이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세계 체스 챔피언십)] [[분류:1990년 출생]][[분류:러시아의 체스 선수]][[분류:브랸스크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