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부통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67f 0%, #005ba6 20%, #005ba6 80%, #00467f)" {{{#ffc224 '''이시영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법무부장)] ----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재무부장)] ---- [include(틀: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include(틀:제2대 대통령 선거 후보)]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67f 0%, #005ba6 20%, #005ba6 80%, #00467f)" '''[[대한민국 부통령|{{{#ffc224 대한민국 초대 부통령}}}]][br]{{{+1 이시영}}}[br]李始榮 | Yi Si-yeo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img.nate.com/249945001.jpg|width=100%]]}}} || ||<|2> '''출생''' ||[[1868년]] [[12월 3일]]|| ||[[한성부]] 남부 명례방 명례동계 [[저동]][br](現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명동1가 1-2)[* [[도로명주소]] 미발급.]|| ||<|2> '''사망''' ||[[1953년]] [[4월 17일]] (향년 84세)|| ||[[경상남도]] [[부산시]] (現 [[부산광역시]])|| || '''묘역''' ||[[서울특별시]] [[강북구]] 북한산 순국선열 묘역|| ||<|2> '''재임기간''' ||초대 [[대한민국 부통령|부통령]]|| ||[[1948년]] [[7월 24일]] ~ [[1951년]] [[5월 14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경주 이씨]][* [[이항복|백사공파]] 10대손, 시조 35세손 ○영(榮) 항렬.] || || '''부모''' ||[[아버지]] 이유승 || || '''형제자매''' ||형 이건영, [[이석영]], 이철영, [[이회영]][br]동생 이호영 || || '''배우자''' ||경주 김씨[* [[김홍집]]의 딸이나 사별][br]반남 박씨 || || '''자녀''' ||아들 이규창[* 이규창(李奎昶). 초명은 이규봉(李奎鳳). 이회영의 아들 이규창(李圭昌)과는 한자가 다르다.], 이규열[* 이규열(李奎悅). 초명은 이규홍(李奎鴻).] || || '''친인척''' ||친종손 [[이종찬(1936)|이종찬]][br]장인 [[김홍집]][br]10대조 [[이항복]] || || '''학력''' ||한학 수학 || || '''종교''' ||[[유교]] {{{-2 ([[성리학]])}}} → [[대종교]] → [[개신교]] {{{-2 ([[감리회]])}}} || || '''호''' ||성재(省齋)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파일:Lee_Si_Yung's_Inauguration_Speech.jpg|width=100%]]}}} || || {{{#FFC224 '''초대 부통령 취임식 당시 모습'''}}}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초대 [[대한민국 부통령|부통령]]. [[대한제국]] 초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낸 [[김홍집]]의 사위이며 [[오성과 한음]]으로 유명한 백사 [[이항복]]의 직계 10대손이다. 국회의원 [[이종찬(1936)|이종찬]]과 [[이종걸]]의 작은할아버지이며, 독립운동가 우당 [[이회영]]의 친동생이다. == 약력 == * 1905. 외부 교섭국장 * 1911.6.10. 신흥강습소 설립 * 1919.4. 임시정부 법무총장 * 1919.9. 임시정부 재무총장 (1919. ~ 1926.) * 1930.1. 한국독립당 감찰위원장 * 1935.10. 임시정부 초대 법무부장 (1935.10. ~ 1940.) * 1942.10. 임시정부 제2대 재무부장 * 1944.4. 임시정부 감찰위원장 * 1946. 성균관 총재 * 1947.2. 재단법인 성재학원 이사장 * 1948.7. 초대 [[대한민국 부통령]] * 1949. 건국공로훈장 중장[* 지금의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 * 1952.5. 제2대 대통령 후보 (무소속, 낙선) == 생애 == 6형제 중 5남으로 태어났으며 당시 [[조선]]에서 열 손가락 안에 꼽히는 대부호 집안 출신이다. 과거에 급제하여 구한 말에는 [[평안남도]] 관찰사[* '감사'라고도 한다. 평안남•북도가 나뉘지 않고 평안도였던 때에는 평안도 관찰사 또는 평안 감사라고 하였다. 오늘날의 '도지사'.], 한성고등법원 [[판사]] 등 여러 고위직을 맡았다. 한국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로 손꼽히는 인물로 1910년 국권 피탈 후 [[일본 제국|일제]]의 회유를 뿌리치고 넷째 형 [[이회영]] 등 6형제와 함께 전 재산을 팔고 [[만주]]로 이주했다.[* 이때 판 돈이 당시 [[소]] 값으로 13,000마리에 달한다고 한다. 지금이야 소 1마리에 1학기 [[등록금]] 내기도 아슬아슬하다지만 당시에는 소 있는 집이 부잣집이었다. 전형적인 [[농업]] 사회였던 당시에 소의 가치는 지금보다 몇 배 위였다. 사실 30년 전까지만 해도 소 1마리 팔면 [[농촌]]에서 [[대학]] 1년 등록금 정도는 충분했다. 당시 대학의 별명이 괜히 '우골탑'이 아니었으며 소를 팔아서 대학에 갔다는 말이 괜히 나온 말이 아니다. 소값이 고기값밖에 안 남은 현 시세로 쳐도 소 13,000마리라는 숫자는 충분히 [[부자]]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수치다. 간단하게 현재 소 시세를 약 500만 원으로 잡아서 계산하면 약 650억의 재산을 보유했었다는 소리인데 이것도 [[독립운동]]을 하기 위해 만주로 이주할 때 절반 이하로 후려쳐서 재산을 급매한 결과다. 그야말로 6형제 모두가 [[대인]]이 아닐 수 없다.] 이후 만주에 [[신흥무관학교|신흥 강습소]]를 설립해 [[독립군]] 양성에 힘썼다. 그러나 만주 지역의 독립운동이 풀리지 않자 [[상하이]]로 떠나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1940년)|한국독립당]]에 참여했다. 이때 6형제는 엄청난 생활고를 겪었고 [[광복]] 때까지 살아남은 사람이 이시영 한 명뿐이었다. 다른 형제들은 모두 광복을 보지 못한 채 고문사, 병사(病死), 객사(客死), 아사(餓死)했다. [[일제강점기]] 때 조선 10대 부호였고 백사 이항복의 후손인 명망 높은 6형제들의 [[소문]]을 들은 나랏사람들이 이들을 찾은 것이고 [[겨레]]이자 독립운동의 인적 자원들을 끌어안아 거점으로 쓸 [[토지]], 척박한 땅에서 실패한 [[농사]]로 인해 먹을 것을 사는 등 단순한 운영과 준비만으로 10대 부호조차 [[파산]]에 이르게 된 것이다.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1902179_STD.jpg|width=600]]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이 환국 전 상하이 [[공항]]에서 찍은 [[사진]]이다. 오른쪽에 눈물을 닦고 있는 중절모를 쓴 노인이 성재 이시영. 가운데 안경을 쓴 인물은 [[김구]]이며 김구 옆 여인은 김구의 며느리이자(김구의 장남 김인의 아내) [[안중근]]의 조카인 안미생, 앞줄 가운데 [[태극기]]를 든 소년이 종손인 [[이종찬(1936)|이종찬]] 전 [[안기부장]]이다. 1945년 [[8.15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될 즈음에 [[이승만]]은 이시영을 부통령에 낙점했는데 이를 두고 이승만과 [[한국민주당]]은 의견이 조정되지 않았다. 이승만은 한국민주당 당수 [[김성수(1891)|김성수]]를 불러 이시영을 부통령에 앉히겠다고 밝혔고 김성수도 이에 동의해 1948년 7월 20일 초대 부통령에 당선됐다. 한편 이승만이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일부 재산의 환급을 제안했으나 이때 이시영은 재산을 찾겠다고 독립운동한게 아니라며 거절하였다. 그리고 [[1949년]] 건국공로훈장 중장[* 現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수여되었다. 1950년 [[6.25 전쟁]] 발발 후 [[부산광역시|부산]]으로 피난해[* 이회영의 손자이자 이시영의 조카손자인 [[정치인]] 이종찬의 회고에 따르면 처음에 이시영이 피난을 거부하고 [[서울특별시|서울]]에 머무르려 했는데 6월 28일 새벽에 독립운동 시절 동지였던 [[북한]] [[김두봉]]의 특사가 몰래 찾아와 "이승만이 서울을 버리고 도망갔으니 부통령 선생께서 지금 대한민국 대통령직을 승계하신 거 아닙니까? [[김일성]] 수상이 정상 회담을 원하니 저랑 같이 갑시다."라고 했고 제안을 거절한 후 위기감을 느껴 피난을 나왔다. 직후 북한군이 서울에 입성했는데 대부분의 [[제2대 국회의원|국회의원]]과 각료들은 전날에 이미 피난을 갔는데 이시영은 그 사실을 알고도 무모하게 저때까지 남아있다가 하마터면 북한에 끌려가 이용당할 뻔했다.] 있던 중에 [[국민방위군 사건]]을 지켜보면서 이승만 정부에 실망하여 부통령직을 사임했다. [[제2대 대통령 선거]]에 [[무소속]] 후보로 입후보했으나 [[낙선]]했다. 1953년 4월 17일 임시 수도였던 부산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서울특별시]] [[정릉(서울 성북)|정릉]]에 묻혔다가 뒤에 [[수유동|수유리]] [[북한산]] 기슭으로 이장됐다. 북한산 둘레길 2구간 순례길을 돌면 묘소에 참배할 수 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c224 '''연도'''}}} || {{{#ffc224 '''선거 종류'''}}} || {{{#ffc224 '''선거구'''}}} || {{{#ffc224 '''소속 정당'''}}} || {{{#ffc224 '''득표수 (득표율)'''}}} || {{{#ffc224 '''당선 여부'''}}} || {{{#ffc224 '''비고'''}}} || || 1948 || [[제1대 대통령 선거|제1대 부통령 선거]] ||<|2> [[대한민국]] || [include(틀: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33 (67.51%)''' || '''당선 (1위)''' || '''초선'''[* 1951.5.9 부통령직 사퇴][* [[제헌 국회]]에서의 간접 선거.] || || 1952 || [[제2대 대통령 선거]] || [include(틀:무소속)] || 764,715 (10.89%) || 낙선 (3위) || || == 대중매체에서 == * 1968년작 영화 <상해 임시정부>에선 배우 김수천이 연기했다. * 1979년작 KBS-TV <일요사극 맥> '벼랑 위의 파수병(2부작)'에선 배우 [[이신재]]가 연기했다. * 1981년작 [[MBC]] 드라마 <제1공화국>에서는 성우 겸 배우 [[이도련]]이 연기했으며, 1989년작 특집드라마 <백범일지>, 1998년작 연극 <아!정정화>에서도 같은 배역을 맡았다. * 1995년작 KBS 광복 50주년 기획드라마 <김구>에서는 배우 [[이대로]]가 연기했다.[* <자유인 이회영>에서는 그의 둘째 형 이석영 역으로 나왔다.] * 2009년작 KBS 국권침략 100년 특별기획 드라마 <자유인 이회영>에선 배우 조영진이 연기했다. * 2018년작 영화 [[명당(영화)|명당]]에서는 배우 [[허성태]]가 연기했다. * 대체역사물 대한민국 전쟁 영웅이 되었다에서 주인공 이강산이 자신의 동생인 이호영의 아들을 자처하자 이를 확인하기 위해 만남을 가지는 것으로 첫 등장. 이후 주인공의 신들린 호소에 자신의 조카임을 인정하며 이강산을 암살하려하는 애국회 소탕 작전을 돕게 되며 이때 박흥식을 직접 처단한다. 이후 지원 요청을 위해 미국에 건너간 대통령 이승만을 대신해 부통령 신분으로 국정을 돌보다 NKVD의 폭탄 테러 공작으로 치명상을 입게 되고 결국 노구의 몸으로 이겨내긴 역부족이었던지라 사망하게 된다. 그의 사후 대통령인 이승만도 귀국하지 않고 미국에 머물기로 하면서 생긴 국가지도자 자리의 공백은 당시 국회의장이던 신익희가 2대 대통령으로 취임하며 메워지게 된다. == 초대 부통령 취임사 == ||"삼가 친애하는 동포 여러분에게 고합니다. 우리 겨레가 40년간 외적의 압박에서 신음하다 가 우리 혁명 선열들의 순국 열혈의 결정(結晶)과 연합 우방의 호의로 말미아마 자유 해방이 되고 이제 우리 겨레가 대망하던 중앙정부를 수립 하게 됨은 실로 경하하여 마지않는 바입니다. 그러나 우리 국가와 민족이 현재 중대 난국에 처하고 있음은 물론이고, 우리의 전도에는 허다한 난관과 험로가 가로놓여 있는 것입니다. 양분된 국토를 통일하고 쇠퇴한 산업기관과 퇴폐한 문화시설을 재건하여 우리의 민생문제를 시급히 해결하지 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동시에 문란한 우리의 민족정기를 갱생시켜 우 리의 정로(正路)를 규정하지 않아서는 안 될 것입니다. 이와 같은 민족적 대과업을 달성함에는 동포 여러분이 삼천만 일심으로 모든 사(私)와 이(利) 에 초월하여 오직 건국홍업(建國鴻業)에 일로매진하고 필사 노력하여야 될 것입니다. 이와 같은 중대한 난국에 처하여 불녕(不佞)이 80 노구로써 부통령의 자리를 맡게 되었으나 동 포 여러분이 지워 준 이 중책은 과연 다할 수 있을는지 스스로 의심치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위로는 이승만 대통령을 보좌하고 아래 로는 삼천만 애국동포 여러분의 적극 협력을 얻 어 우리의 숙망인 조국 광복을 완수하여 빛나는 민족 전통을 기리 살리고 찬란한 민족 문화를 세 계에 앙양하여 만방과 더부러 공존하고 공영케 하기에 얼마 남지 않은 나의 여생을 바칠까 합니다." 초대 부통령 취임사|| == 기타 == * 남산공원에는 백범 [[김구]] 동상의 바로 곁에 그의 동상도 세워져 있다. * [[경희대학교]]의 전신인 신흥초급대학의 설립자이다. 만주의 [[신흥무관학교]]를 이은 이름이었으나 설립 과정에서 [[재정]] 문제와 설립 인가 등의 문제로 난항을 겪던 중 6.25 전쟁이 터져 더욱 힘들어지다가 1951년 5월 18일 재단의 부채 1,500만 원을 떠안는다는 조건으로 [[조영식]]에게 팔리면서 오늘날의 경희대학교가 되었다. * 조선시대를 거쳐 대한제국-대한민국 임시정부-대한민국의 관직을 모두 역임한 유일한 인물이다.[* 제3대 부통령인 [[함태영]]도 비록 임정에는 참여하지 않고 재야에서 독립운동을 했지만 제국 개창 전인 조선시대에 처음 벼슬길에 올라 대한제국에서 법조인을 지냈고 해방 후에는 일인지하 만인지상인 부통령에 올랐다.] ||"먼저 이시영 씨는 여러분들이 아시는 바와 같이 임시정부가 국내에 들어온 이후로 많은 대중의 지지를 받으면서 꾸준히 변절 없이 정중하게 싸워 지켜 나온 이시영 씨입니다. 국내의 모든 동포가 그들에게 대한 기대가 많고 또 지지하는것을 우리가 볼 수 있읍니다. 양방(兩方)이 부통령이 되신다면 아마 국내의 여러 각 방면으로 무슨 반대하는 것은 없을 것으로 내가 믿는 바이얘요" 대통령 당선 소감 때 이시영에 대해 평가하는 이승만||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임시정부 관련 문서)] [include(틀:한국 보수진영 관련 문서)] [각주] [[분류:1868년 출생]][[분류:1953년 사망]][[분류:경주 이씨 백사공파]][[분류:이회영 가문]][[분류:중구(서울) 출신 인물]][[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임시정부 계열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감리회 신자]][[분류:건국훈장 대한민국장]][[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교육인 출신 정치인]][[분류:제1대 부통령 선거/후보]][[분류:대한민국 부통령]][[분류:제2대 대통령 선거/후보]][[분류:대학교 설립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