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롯데 자이언츠/군입대선수)] ||
'''{{{#fff 이승헌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29번}}}''' || || [[안중열]][br](2017) || {{{+1 →}}} || '''이승헌[br](2018~2019)''' || {{{+1 →}}} || [[한승혁(좌완투수)|한승혁]][br](2020~2021)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47번}}}''' || || [[최하늘]][br](2019.5.5.~2019) || {{{+1 →}}} || '''이승헌[br](2020~2022.7.20.)''' || {{{+1 →}}} || [[잭 렉스|렉스]][br](2022.7.24.~2022)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87번}}}''' || || [[윤윤덕]][br](2020~2021) || {{{+1 →}}} || '''이승헌[br](2022)''' || {{{+1 →}}} || [[배영빈]][br](2023)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 이승헌 프로필.png|width=100%]]}}} || ||<-2> '''롯데 자이언츠 군입대 선수''' || ||<-2> '''{{{+2 이승헌}}}[br]Lee Seung-Heon''' || ||<|2> '''출생''' ||[[1998년]] [[12월 19일]] ([age(1998-12-19)]세)|| ||[[경상남도]] [[창원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무학초 - [[마산동중학교|마산동중]] - [[마산용마고등학교 야구부|마산용마고]]|| || '''신체''' ||196cm|97kg|| || '''포지션''' ||[[선발 투수]]|| || '''투타''' ||[[우투우타]]|| || '''프로입단''' ||[[KBO 리그/2018년/신인드래프트#s-3.2|2018년 2차 1라운드]] (전체 3번, [[롯데 자이언츠|롯데]])|| ||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2018~)|| || '''병역''' ||[[대한민국 육군]] [[제3포병여단]] [[병장]] 복무 중[br]{{{-2 (2022년 8월 1일 ~ 2024년 1월 31일)}}}|| || '''연봉''' ||5,300만원 (26.2%↑, 2022년)|| || '''SNS''' ||[[https://www.instagram.com/l_s_heo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2>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가족''' ||사촌 [[정대혁]] || || '''에이전트''' ||[[http://universeagency.co.kr/default/player/01.php|유니버스 스포츠 매니지먼트]] ||}}}}}}}}} || [목차] [clearfix] == 개요 == [[롯데 자이언츠]] 소속 우완 [[선발 투수]]. == [[이승헌(1998)/선수 경력|선수 경력]] == ||
<-5> '''통합 선수 경력: [[이승헌(1998)/선수 경력]]''' || ||<-5>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10]] || || [[이승헌(1998)/선수 경력#s-3.1|'''{{{#ffffff 2018년}}}''']] || [[이승헌(1998)/선수 경력#s-3.2|'''{{{#ffffff 2019년}}}''']] || [[이승헌(1998)/선수 경력#s-3.3|'''{{{#ffffff 2020년}}}''']] || [[이승헌(1998)/선수 경력#s-3.4|'''{{{#ffffff 2021년}}}''']] || [[이승헌(1998)/선수 경력#s-3.5|'''{{{#ffffff 2022년}}}''']] ||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승헌 직구.gif|width=100%]]}}} || || '''패스트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fastball.gif|width=100%]]}}} || || '''투심성 패스트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승헌 슬라이더.gif|width=100%]]}}} || || '''슬라이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승헌 체인지업.gif|width=100%]]}}} || || '''체인지업''' || 196cm, 100kg이라는 엄청난 체격조건에서 나오는 평균 구속 145km/h, 최고 구속 151km/h 패스트볼이 주력이며, 많이 던지는 변화구인 서클체인지업은 팀 내에서도 수준급으로 꼽힌다.[* 물론 체인지업을 주력으로 던지는 투수가 [[롯데 자이언츠]]에 얼마 없긴 하다. 대부분 [[송승준]]으로부터 이어지는 [[스플리터]]를 연마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불펜투수는 거의 스플리터를 구사하고 [[최준용(야구선수)|최준용]] 외에는 체인지업을 던지는 투수가 거의 전무한 수준이다.] 서드 피치로는 종으로 떨어지는 슬라이더를 구사한다. 체인지업은 좌타자 상대로 많이 구사하고 슬라이더는 우타자를 상대로 많이 던진다. 2020 시즌 직전에 드라이브라인 캠프에 참가한 이후 제구와 구속 양면에서 비약적인 향상이 이루어져 큰 키에서 강속구를 던지는 선수치고는 제구력도 나쁘지 않은 편이다. 패스트볼은 2020 시즌 팀 내 에이스인 [[댄 스트레일리]]처럼 약간 테일링이 걸려 들어가는 면이 있다. 때문에 굳이 투심을 구사하지 않음에도 간혹 스탯티즈 등에서는 싱커성 공을 구사하는 것으로 계산되기도 한다. 단점을 꼽자면 서드 피치인 슬라이더의 제구력이 다소 불안하고 각 또한 기복이 있어 많이 빠지는 볼이 되거나 폭투가 되기도 하여 구사율이 썩 높지 않다는 점이다. 그 결과 상대의 노림수에 읽혀 안타를 맞거나 연이어 커트를 당하여 투구수가 늘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승헌의 가능성을 눈여겨본 [[이순철]],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 해설위원은 그와의 인터뷰에서 슬라이더의 비중을 높이거나 커브와 같은 3번째 변화구를 익힐 것을 조언하기도 했다.] 그리고 주자가 나간 뒤 셋포지션에서 던질 경우 패스트볼 구속의 차이가 난다는 점 등이 있다. 다만 2021년에 오른손 중지에 건초염이 걸리며 공의 구속이 130km/h 중후반까지 떨어졌다. 특히 건초염은 근지구력을 약화시키고 완치가 되는 것이 아니라 언제든 재발 가능성이 있는 염증인지라 사실상 2020년 시절 위력적인 강속구를 뻥뻥 뿌려대던 이승헌의 모습은 더 이상 보기 힘들다고 봐도 무방하다.[* [[선동열]] 역시 투수로서 민감한 부위인 어깨 건초염에 걸린 이후 어깨의 근지구력이 약해지며 마무리 투수로 전향했고 커리어 끝까지 선발로 던지지 못하고 마무리 투수로 활약했다.] 그 대신 특유의 타고난 무브먼트를 더 갈고닦아 상대를 맞춰잡는 피칭으로 변환시켰다. 구속 또한 조금씩 다시 오르고 있으나 중지 손가락 건초염의 여파로 인한 적은 이닝소화와 제구력이 발목을 잡고 있다. 2020년 깜짝 활약 이후 그 시절의 위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떨어진 구속과 제구력에서 헤메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윤성빈(야구선수)|윤성빈]]의 길을 따라가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 여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000301472_001_20170911150729662.jpg|width=100%]] [[파일:DB3B61FB-4D12-4DF1-84F1-858D7535ACA9.jpeg.jpg|width=100%]]}}} || * 남녀노소 취향을 가리지 않는 서글서글한 호감형 인상인 데다 피지컬도 매우 좋아 야구만 잘하면 될 듯하다.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에선 [[김원중]] 이후로 간만에 미남형 투수가 나왔다면서 환호 중이다. [[야구에 산다]] 폰터뷰에 출연했을 때도 [[정우영(아나운서)|정우영]] 캐스터로부터 ‘비디오형 인재’라고 칭찬을 받았다. 사직 [[남주혁]]이라는 별명은 덤. * 원래 학원을 다니는 여느 초등학생들과 다를 바 없는 평범한 생활을 하다가 친구와 함께 주말 야구를 시작하면서 야구를 시작했다고 한다. * [[롯데 자이언츠]]가 2017년 신인 드래프트 2차 1라운드에서 [[나균안]]을, 2018년 신인 드래프트 2차 1라운드에서 이승헌을 지명하면서 [[마산용마고등학교 야구부|마산용마고]] 선수가 2년 연속으로 1라운드 3순위에서 [[롯데 자이언츠]]에 지명되는 특이한 이력을 배출하게 되었다. * 고등학교 시절 배터리를 이룬 [[나균안]]과는 친한 친구라고 한다.[* 입단은 [[나균안]]이 한 해 먼저지만 이승헌은 유급을 해서 뒤늦게 들어왔기 때문이다.] SNS에서 이승헌이 보고 싶다고 하자 [[나균안]]이 [[롯데 자이언츠]]로 오라고 했는데,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진짜로 왔다!]]''' 그러나 정작 둘이 1군에서 배터리를 이룬 적은 단 한 번 뿐으로, 2020 시즌 도중 [[나균안|나종덕]]이 이름을 [[나균안]]으로 개명하는 과정에서 포지션까지 투수로 전업하고 2군에서 선발 로테이션을 돌면서 본의아니게 서로 선발 로테이션 자리를 다투는 라이벌 사이가 되었다. 물론 이 구도에서 우위에 있는 것은 이승헌였으나 2022시즌 나균안이 팀의 마당쇠로 자리잡고, 2023시즌 KBO리그 4월 월간 MVP를 수상하는 미친 활약을 보여주는 것에 비해 이승헌은 결국 기회를 살리지 못했다. * 어렸을 때부터 [[롯데 자이언츠]]의 열렬한 팬이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지명을 받고 난 다음 싱글벙글 웃는 모습이 잡혔고 [[롯데 자이언츠]] 팬들은 7년 전에 1라운드에 지명받고 똥씹은 표정을 지은 [[김명성(1988)|김명성]]과는 다르다며 좋아했다. * 뛰어난 피지컬을 지닌 [[마산용마고등학교 야구부|용마고등학교]]의 유급한 우완 에이스라는 점에서 [[한화 이글스]]의 [[김민우(1995)|김민우]], [[kt wiz]]의 [[이정현(1997)|이정현]]과 여러모로 닮았다. 게다가 이들 모두 2차 1라운드에 지명을 받았다.[* [[김민우(1995)|김민우]]는 2015년 전체 1번, [[이정현(1997)|이정현]]은 2017년 1번, 이승헌은 2018년 3번으로 지명됐다.] 맞선배인 [[이정현(1997)|이정현]]과 비교했을 때 하드웨어는 이승헌이 더 뛰어나지만 경기 운영 능력은 [[이정현(1997)|이정현]]보다는 아쉽다고 평가를 받기도 한다. * 롤모델은 [[손승락]]이라고 한다. * 편식이 있는 듯하다. [[오이]]를 못 먹는다고 한다. * [[떡볶이]]를 굉장히 좋아하는데 본인이 말하길 일주일에 한 번은 꼭 먹어야 할 정도라고 한다. * 고등학교 3학년 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에서 7이닝 퍼펙트 행진을 이어가다가 8회에 안타를 맞았는데 그때가 가장 기억에 남았다고 한다. * 인터뷰에 따르면 생각을 많이 하지 않는 성격이라고 한다. 그 덕분에 머리부상을 당한 후에도 트라우마보단 지난 일은 잊고 새롭게 다시 시작하자는 마음뿐이었다고 한다. * 상술했듯이 [[마산용마고등학교 야구부|용마고]] 입학 당시만 해도 176cm였던 키가 유급으로 체격을 만들면서 2년 사이에 190cm를 훌쩍 넘겨버렸는데 체격을 키우기 위해 점심 저녁으로 냉면 그릇 정도의 큰 사발에 밥을 가득 채워 담아 하루도 빠짐없이 매일 먹었다고 한다. * 투수조에서 막내급인지라 또래인 [[최준용(야구선수)|최준용]]과 거의 붙어다닌다. 아예 자기들끼리 신발과 신발끈이라고 서로 별명을 지어서 부를 정도다.[[https://youtu.be/R1IiHxU3GWQ|#]][* 대충 서로 없으면 안 되는 단짝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퇴근길에서도 둘이 같이 다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 [[롯데 자이언츠]] 팬들이 ‘승헌이 점마가 나오면 안심이 되네. 편안하게 본다.’ 이렇게 말하는 투수가 되고 싶다고 한다. * 자타공인 포텐셜이 있는 선수로 평가받는 선수인데다 안타까운 사고로 1군 주전이 될 기회를 놓친 적이 있기 때문인지 부상 복귀 이후 2020시즌 선발 등판일에 중계했던 해설위원들에게 귀여움을 받았다. [[이순철]]은 경기 후 이승헌과의 인터뷰에서 이승헌이 자신에 대해 잘 알지 못하자 '''[[이순철]] 자신의 이름을 기억해달라'''며 일부러 말하기까지 하고, 좋은 투구를 보여줬다고 찬사를 보내는 한편 구종 배합에 대한 질문을 하기도 했고,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은 자신이 프로일 때 같은 시대에 뛰었던 [[한화 이글스]]의 [[정민철]] 단장을 생각나게 하는 투수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허구연]]은 이승헌의 등판일에 중계한 적이 없으나 이승헌이 프로 1군 첫 퀄리티스타트를 하고 [[허구연]]이 [[베이스볼 투나잇]]에 출연한 날 방송에서 [[허구연의 남자들|새로운 허구연의 아들]]이라는 자막이 달렸다. * [[NC 다이노스]]에 동명이인 투수 [[이승헌(1995)|이승헌]]이 있다. 흥미롭게도 본인은 창원시 출생이다. * 2021 시즌 중 사촌 동생 [[정대혁]]이 [[롯데 자이언츠]]의 육성선수로 입단하게 되며, 사촌 동생과 한 팀에서 뛰게 되었다. 다만, 군 문제가 이미 해결된 사촌동생과 달리 자신은 미필이라 병역특례를 받지 않는 이상 군 복무를 할 수밖에 없었는데 결국 2022년 8월 1일에 현역 입대하며 사촌 동생과는 떨어져 있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롯데 자이언츠/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8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창원시 출신 인물]][[분류:마산동중학교 출신]][[분류:마산용마고등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롯데 자이언츠/현역]][[분류:육군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