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당 비정통 황제 및 반란 지도자)] ||<-2> {{{#ece5b6 '''당 비정통 황제'''}}}[br]{{{+1 {{{#ece5b6 '''廣武王 | 광무왕'''}}}}}} || || '''[[묘호|{{{#ece5b6 묘호}}}]]''' ||<(> 없음 || || '''[[시호|{{{#ece5b6 시호}}}]]''' ||<(> 없음 || || '''[[작위|{{{#ece5b6 작위}}}]]''' ||<(> 광무군왕(廣武郡王) || || '''[[성씨|{{{#ece5b6 성}}}]]''' ||<(> 이(李) || || '''[[휘|{{{#ece5b6 휘}}}]]''' ||<(> 승굉(承宏) || || '''{{{#ece5b6 재위 기간}}}''' ||<(> [[763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당나라|당]]의 임시 황제. [[763년]], [[토번]]이 장안을 점령하였을 때 황제로 세워졌다. == 생애 == [[장회태자]] 이현의 차남 이수례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광무군왕(廣武郡王)으로 봉해졌다. 어머니는 누구인지 기록이 남지 않았다. 빈왕(邠王) 이수례의 서자일 가능성이 있는데, 741년 이수례가 죽은 뒤 빈왕 작위를 동생 이승녕(李承寧)이 계승한 것을 보면 서자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토번의 왕 [[적송덕찬]](赤松德贊)은 당 서부의 하서, 농우 지역을 침공하여 6개의 주를 점령하였고 10월에는 [[다짜뤼공]] 산하의 20만가량의 대군을 보내 대진관을 점령하고 당나라의 수도 장안을 공격하였고, 황제 [[당대종|대종]]이 도망치는 바람에 토번군은 장안을 쉽게 점령하였다. 그리고 [[토번]]은 이승굉을 황제로 세우고 연호를 대룡으로 변경하고 한림학사 우가봉을 재상으로 삼아 조정을 구성하였으나 토번군에 전염병이 돌고 [[곽자의]]가 이끄는 당군이 토번군을 압박해오자 상황이 갑작스럽게 불리해진 토번군은 15일 만에 철수하였다. 갑작스럽게 상황이 변경되어 이승굉은 도주하다 곽자의가 이끄는 군대에 잡힌 후 화주로 유배됐고 그 곳에서 사망했다. [[분류:수당시대/황제]][[분류:비정통 황제]][[분류:수당시대/황족]][[분류:농서 이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