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화 이글스/간략(투수))] ||
'''{{{#ffffff 이승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질롱 코리아/2022-23 시즌 엔트리)] ---- ||
'''{{{#ffffff 이승관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PLAYERS_CHOICE_AWARDS_LOGO_1.png|width=65]]'''2021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s-2.8]] 퓨처스리그 우수투수상(한화)''' ||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97번}}}''' || || [[박영태]][br](2015~2017) || {{{+1 →}}} || '''이승관[br](2018)''' || {{{+1 →}}} || [[문재현]][br](2019)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104번}}}''' || || [[임종찬]][br](2020~2020.7.12.) || {{{+1 →}}} || '''이승관[br](2020.8.27.~2020)''' || {{{+1 →}}} || [[김민기(1999)|김민기]][br](2021)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48번}}}''' || || [[장웅정]][br](2020.10.17.~2020) || {{{+1 →}}} || '''이승관[br](2021~2022)''' || {{{+1 →}}} || [[허관회]][br](2023) || ||<-5> '''{{{#fff [[질롱 코리아|{{{#ffffff 질롱 코리아}}}]] 등번호 4번}}}''' || || 결번 || {{{+1 →}}} || '''이승관[br](2022-23)''' || {{{+1 →}}} || 팀 해체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4번}}}''' || || [[황영국]][br](2022.8.3.~2022) || {{{+1 →}}} || '''이승관[br](2023~)''' || {{{+1 →}}} || 현역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4 이승관 프로필.png|width=100%]]}}} || ||<-2> '''한화 이글스 No.4''' || ||<-2> '''{{{+2 이승관}}}[br]李承官 | Lee Seunggwan''' || ||<|2> '''출생''' ||[[1999년]] [[12월 1일]] ([age(1999-12-01)]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도신초[* 대영초에서 전학] - [[개군중학교|개군중]][* 영남중에서 전학] - [[야탑고등학교 야구부|야탑고]] || || '''신체''' ||182cm, 95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 입단''' ||[[KBO 리그/2018년/신인 드래프트#s-3.2|2018년 2차 1라운드]] (전체 4번, [[한화 이글스|한화]]) || || '''소속팀''' ||[[한화 이글스]] (2018~) ---- [[질롱 코리아]] (2022/23) ||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br]{{{-2 (2019년 1월 21일~2020년 8월 27일)}}} || || '''연봉''' ||2024 / 3,100만원 {{{-2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000,#fff 동결}}}}}}}}}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화 이글스]] 소속 좌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야탑고등학교 야구부|야탑고등학교]] 3학년 시절부터 연고지팀인 [[SK 와이번스]]의 1차지명 후보에 오르면서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비록 1차지명에서는 [[동산고등학교 야구부|동산고등학교]]의 투수 [[김정우(야구선수)|김정우]]에 밀리며 받지 못하였지만,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에서 팀의 주축선수로 활약하면서 대활약을 했다. === [[한화 이글스]] === ==== 2018 시즌 ==== 봉황대기에서 엄청난 활약을 하면서 [[KBO 리그/2018년/신인 드래프트|KBO리그 2018년 신인드래프트]] 에서 전체 4순위로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게 되었다. 연습경기에서 계투로 나와 2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현재 147~148km에 이르는 구속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정훈(1963)|이정훈]] 스카우트 팀장에 말에 의하면 '엄청난 놈이다' 라는 평가를 받았다고 한다. 8월 11일 2군 경기에 선발로 나와 4이닝 2실점 했다. 특히 볼넷을 하나밖에 내주지 않으며 삼진 6개를 잡아낸 것은 인상적. 아프리카TV에서 [[강산]] 기자가 후반기 한화의 성적이 고정되면 선발로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시즌이 끝나고 뜬금없이 상무에 지원했다. 그리고 [[한화 이글스]] 소속으로는 유일하게 최종 합격했다. 같이 지원했던 [[강상원(야구선수)|강상원]], [[이도윤]]은 불합격했다. [[NC 다이노스]] [[이도현(야구선수)|이도현]]의 말에 따르면 원래 9명 정도 뽑을 생각이었는데 다들 지레 겁을 먹었는지 지원자가 생각보다 적어 1차 서류전형에 8명만 합격했다고 한다. 실제로 이 8명의 [[투수]]가 '''전부''' 최종 합격했고 이승관과 이도현 역시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59&aid=0000000356|최종 합격 명단에 들게 된 것.]] ==== 2019 시즌 ==== 상무에서 활동하는 시즌이라 소식이 없을 줄 알았으나, 두산이 한국시리즈를 대비하여 펼친 상무와의 연습경기에서 상무의 선발투수로 등판하여 3이닝 1실점의 피칭을 선보였다. 만 19세에 불과한 투수가 두산의 주전급 선수들을 상대로 3이닝 1실점으로 막아냈다는 점에서 한화 팬들에게 기분 좋은 소식이 되었다. ==== 2020 시즌 ==== 전역 후 서산 재활군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면서 [[자가격리]]에 들어갔는데, 개인 SNS에 의하면 생각보다 잘 먹고 있는 듯하다. ==== 2021 시즌 ==== 5월 11일에 [[장시환]]이 말소되었고, 그를 대신해서 프로 데뷔 이후 처음으로 1군에 등록되었다. 5월 12일 [[NC 다이노스]]를 상대로 데뷔 첫 등판을 가졌고, [[노진혁]]을 상대로 데뷔 첫 탈삼진을 잡아내는 등 1이닝을 2탈삼진 1볼넷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이날 직구, 슬라이더, 커브, 체인제업 등 4가지 구종을 던졌고, 최고 구속 139km/h까지 찍혔다.[* 다만, 이 구속은 [[MBC SPORTS+]] 중계에서 구속이 4km/h 정도 느리게 나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5월 15일 [[키움 히어로즈]]를 상대로 1군 선발 데뷔전을 치렀지만, ⅔이닝 6실점(4자책점)을 기록하며 강판되었고[* 단, [[이지영(야구선수)|이지영]] 타석에서 주심 김정국이 4번째 공을 명백한 스트라이크임에도 볼로 판정을 하는 판정 문제도 있었다. 물론 반대 투구가 되어서 몸 쪽으로 공이 들어갔다. 포수 미트가 흔들렸는데 이 때문에 심판은 포수가 프레이밍을 과도한 게 한 줄 알았을 수도 있다.] 팀이 1점밖에 내지 못하면서 패전을 맛보았다. 5월 23일 [[kt wiz]]를 상대로 두 번째 선발 등판을 가졌다. 그러나 1회부터 4사구 4개를 내주는 등 제구가 되지 않아 결국 ⅓이닝 만에 빠르게 강판되었고, 이어 등판한 [[배동현]]이 승계주자를 모두 실점하면서 평균자책점은 36.00까지 치솟았다. [[이순철]] 해설위원이 쉬운 투수라고 디스해버릴 정도로 실망스러운 피칭이었고 팀이 패하며 패전을 맛보았다. 강판 전 칰갤의 아이돌인 [[허관회]] 포수에게 자기가 볼질한 건 생각 안 하고 되레 성을 내는 듯한 모습을 보여 칰갤러들에게 많은 욕을 먹었다. 어차피 1선발 [[오드리사머 데스파이네]]가 나오는 경기라 이길 경기는 아니었지만[* 여기서 데스파이네는 [[한나쌩 클럽]] 회원이다.] 선발이 1회도 못 채우다 보니 불펜 8명이 나머지 8⅔이닝을 소화해야 했으니 '''당장 2군 가도 할 말 없을 피칭'''이었다. 5월 28일 대전 SSG전에 [[정인욱]]에 이어 4번째 투수로 등판했고, 선두 타자로 나온 [[김성현(1987)|김성현]]에게 솔로 홈런을 맞았다. 이후 [[이재원(1988)|이재원]]을 중견수 플라이 아웃으로 잡아냈지만, [[김찬형]]-[[최지훈]]-[[제이미 로맥|로맥]]을 모두 볼넷으로 출루시키며 만루의 위기를 만들었고, [[최주환]]에게 싹쓸이 3타점 2루타를 맞으며 강판되었다. 이후 올라온 [[오동욱]]이 승계주자인 최주환을 들여보내는 실점을 하며 5실점이 되었고, 평균자책점도 '''50.14'''가 되었다. 구위 이전에 제구력에서부터 큰 난조를 보이는 상황이라 무언가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강판되며 내려오고 난 후 덕아웃에서 크게 패닉에 빠진 모습이 비춰지며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결국 다음날인 5월 29일에 [[오동욱]]과 함께 말소되었다. 6월 22일 대구 삼성전에 앞서 [[김민우(1995)|김민우]]가 말소되면서 다시 1군에 등록되었다. 당일 0:7로 지고 있던 7회초 등판해 7회는 무실점으로 막았으나, 8회에도 올라왔다가 볼넷-3루타를 맞고 강판당했다. 후속 투수 [[오동욱]]이 승계주자를 들여보내며 이승관의 이날 성적은 1⅓이닝 2실점을 기록했지만, ERA는 36.82로 내려갔다. 하지만, 이틀만에 다시 2군으로 가게 되었다. [[김민우(1995)|김민우]]와 [[닉 킹험]]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잠시 1군에 올려서 가능성과 잠재력을 체크해보고자 했다고 한다. 선수생활 하루이틀 하고 말 것이 아니니, 꾸준히 고쳐나가면 좋은 선수가 될 것이다. 8월 20일 두산전에 등판했으나 ⅓이닝 1자책을 기록하면서 ERA은 '''30.60''', WHIP는 '''4.80'''을 찍었다. 심지어 저 방어율도 자책점을 기록했는데도 오히려 내려갔다. 10월 8일 SSG전에서 오랜만에 구원 등판했다. 선두 타자로 나온 [[추신수]]를 볼넷과 도루를 내주었고, [[최정]]을 삼진으로 처리했지만, [[한유섬]]에게 또 볼넷을 내주었다. 이후 [[오태곤]]을 중견수 플라이 아웃으로 잘 잡았지만, 이 과정에서 2루수 [[김태연(야구)|김태연]]의 포구 실책로 실점을 하고 말았다. 다음 타자인 [[박성한]]에게 3번째 볼넷[* 이 볼넷으로 한화는 이 경기에서 무려 '''12개'''의 사사구를 내주었다.]을 내주고 결국 [[김도현(2000)|김이환]]과 교체되었다. 결국 첫 등판에서 팬들의 기대를 조금 높였던 모습과 달리 암울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시즌을 마무리했다. ==== 2022 시즌 ==== 퓨처스리그에서 시즌을 시작하였다. 9월 12일 1군에 콜업되었다. 9월 17일 LG전에서 8회 시즌 첫 등판하여 첫 타석 [[오지환]]에 볼넷을 내주었으나 이후 세 타자를 범타로 처리하였다. 9월 21일 롯데전에서 9회 등판하여 첫 타석 [[장두성]]을 땅볼로 아웃시키고 후속 타자들을 안타와 몸에 맞는 볼을 내주어 [[류희운]]으로 교체되었고 계속되는 안타 행진으로 승계주자까지 모두 홈으로 불러들었다. ⅓이닝 4실점(4자책)을 기록하여 불펜진 방화의 화룡점정을 찍었다. 오프시즌에 [[질롱 코리아]]에 합류하였는데 11월 12일 첫 등판에서 1구 사구, 2구 피홈런을 기록하면서 좋지 않은 출발을 했다. [[질롱 코리아]]에서 6라운드까지의 일정을 마치고 조기 복귀했다. 최종 성적은 10경기 11이닝 1승 1홀드 9실점 5K 7사사구 3피홈런 평균자책점 7.36 WHIP 1.45로 만족스럽지만은 않은 기록이다. ==== 2023 시즌 ==== 등번호를 질롱 코리아에서 사용했던 4번으로 바꿨다.[* 이렇게 되어 한화는 등번호가 1자리인 투수를 3명 보유하게 됐다. 1번 [[문동주]], 4번 이승관, 5번 [[윤대경]].] 4월 11일 외조부상을 당했다. 4월 28일 오랜만에 1군 엔트리에 등록했지만 등판 없이 4월 30일 [[문동주]]의 1군 복귀를 위해 말소되었다. 1군에 단 한 번도 콜업되지 못했다. 퓨처스 리그에서 12경기 12⅓이닝 3승 4홀드 ERA 3.65를 기록했다. 5월 14일을 마지막으로 8월까지 등판이 없었던 것으로 보아 부상을 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 2024 시즌 ==== 1월 31일 육성선수로 전환 공시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승관직구.gif|width=100%]]}}} || || 이승관의 포심 패스트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승관슬라이더.gif|width=100%]]}}} || || 슬라이더 || == 연도별 성적 == ||<-17>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00]]]] {{{#FFFFFF '''이승관의 역대 KBO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sWAR || || 2018 ||<|6> [[한화 이글스|한화]] ||<-15> 1군 기록 없음 || || 2019 ||<-15> 군 복무([[상무 피닉스 야구단]]) || || 2020 ||<-15> 1군 기록 없음 || || 2021 || 8 || 0 || 2 || 0 || 0 || 5⅔ || 27.00 || 11 || 1 || 16 || 0 || 5 || 4.76 || 16.2 || -1.04 || || 2022 || 7 || 0 || 0 || 0 || 0 || 5⅓ || 10.13 || 8 || 0 || 4 || 1 || 3 || 2.25 || 40.0 || -0.14 || || 2023 ||<-15>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br](2시즌)''' || 15 || 0 || 2 || 0 || 0 || 11 || 18.82 || 19 || 1 || 20 || 1 || 8 || 3.55 || 22.4 || -1.18 || == 여담 == * 봉황대기에서 최고 147km/h를 찍었다. 모 팀 스카우트 측정 기준으론 151km/h라고 한다. * 2018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2차 지명된 직후 실시한 인터뷰에서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08&aid=0002644983|송은범 같은 투수가 되고 싶다]]'''라고 답하여 한화팬들을 식겁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이는 기자가 기사를 자극적으로 쓴 것일 뿐, 롤모델은 [[클레이튼 커쇼]]라고 한다. '''정확히는 [[송은범]]의 부드러운 투구폼을 닮고 싶다고 한 것이라고 한다.''' 2018 시즌이 진행될 수록 송은범이 마구급 투심을 구사하며 언터쳐블급 모습을 보이면서 이 발언이 재평가되고 있다.] * 이미 팬들 사이에서는 [[지금 이 순간]]으로 등장곡이 정해진 상태. * 투구폼이 롤모델인 [[클레이튼 커쇼]]와 [[https://www.facebook.com/story.php?story_fbid=1983183598597886&id=100007187953771|엇비슷했었는데]], 다시 [[https://www.youtube.com/watch?v=H7fgTRn6hoE&t=47s|폼을 바꾼 듯하다]]. 추가적인 폼 수정을 거쳐 2021 시즌을 앞두고는 2루 쪽으로 몸을 한 번 비틀었다 나오는, [[펠릭스 에르난데스]] 혹은 [[자니 쿠에토]], [[구대성]]과 같은 선수들이 했던 투구 폼을 팀 내 연습경기에서 보여주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한화 이글스/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9년 출생]][[분류:2021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야탑고등학교 출신]][[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상무 피닉스 야구단/전역]][[분류:한화 이글스/현역]][[분류:등번호가 한 자리인 투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