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페미니즘)] [[영어]]:'''Islamic feminism'''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40px-Islamic_Feminism_Symbol.svg.png|width=200]] || ##사진 출처:위키백과 [목차] [clearfix] == 개요 == [[페미니즘]]을 [[이슬람]]과 타협시키려는 사상이다. [[이슬람]]권에도 페미니즘 운동가들이 있다. 무슬림들에게는 절대적인 진리이자 불변하지 않는 계시라고 믿어지는 [[쿠란]]을 근거로 '''원래 이슬람은 [[성평등]]을 추구하는 종교인데 [[여성혐오]]적인 전통주의자들(이슬람 이전의 토착풍습을 옹호하는 사람들)이 이상하게 해석하고 이슬람 이전의 악습들을 비판없이 받아들여서 이 모양이 됐다'''고 주장하는 무슬림 페미니스트가 생겼으니, 이들의 사상이 바로 이슬람 페미니즘인 것이다. == 역사 == 20세기 초반 이슬람 사회는 서구문명의 유입과 동시에 탈아입구 사상을 기반으로 중동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을 배제하고 서구 페미니즘 담론을 비판 없이 수용하기 시작했다.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같은 인물들이 주창한 급진 세속주의는 [[터키]]와 [[이집트]]에서 [[민족주의]]와 결합해 반제국주의적 의식 각성에 기여한 바가 있다. '''이를테면 중혼금지, [[종교]]와 [[정치]]의 분리, 남녀보통선거, [[여성]]의 사회진출에 있어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이슬람권 페미니즘 운동가들은 오늘날에도 많은 흔적을 남겨놓았다.''' 문제는 세속주의 공화국 정권 하에서도 제국주의적 침탈이 가속화되면서, 전통적인 이슬람 문화가 억압당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보수주의]]자들이 보다 과격하게 변하고, 이들이 세속주의를 지지하는 소수의 도시민에 비해 그 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농촌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함에 따라 페미니즘은 민주주의, [[세속주의]]와 마찬가지로 서구에서 온 타락한 사상일 뿐이며 이들은 이슬람의 윤리적 관점에서 볼때 타락했다고 여겨지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서구의 영향을 받은 기존의 페미니즘 운동은 [[터키]]를 제외하고는 딱히 설 자리를 잃게 되었다. == 성향 == 이슬람 페미니스트들은 쿠란의 재해석을 통해 남녀평등을 쿠란에서 찾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 또한 쿠란을 해석함에 있어서 텍스트 그 자체가 아니라, 그 텍스트가 쓰여진 당시의 시대적, 역사적, 문화적 상황을 고려해서 해석해야 한다고 본다. * 이를테면 전통적인 해석에서 이슬람이 [[일부다처제]]를 용인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는 장인 "전쟁으로 부모를 잃은 고아들을 돌보고 그들의 재산을 관리하되, 제대로 관리할 자신이 없으면 그들중 하나와 결혼하라. 둘이든, 셋이든, 넷이든 좋다." 라는 구절이 [[무함마드]]의 시대 당시 메카군에게 어려움을 겪던 시기에 쓰여진 구절임을 들어 이것은 당시 유목민의 풍습상 한 집안 혹은 부족의 재산이 분열되는 것을 막기 위해 형사취수를 하던 관습이 있었고, 여성과 아이들은 남성이 없는 가정을 꾸리고는 도저히 살아갈 수 없던 전근대 사회에서 전쟁으로 인해 과부와 전쟁고아가 너무 많이 생겨나자 이들을 구제하기 위해 경제력 있는 남성이 과부를 거두어 먹여살리는 것을 장려하던 당시 시대상을 반영해 나온 구절이지 '''남자가 다수의 여자를 소유하라고 써 있는 구절이 아니다.''' 라고 해석하는 것이다. * [[히잡]] 또한 당시의 시궁창같은 여성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던 것이지 오늘날에는 성폭력방지를 위한 각종 법적장치가 있고, 사람들의 인식도 당시보다는 개선된 상태이므로 굳이 히잡을 강제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쿠란에서 hijab이라고 분명히 명시된 장에서는 히잡이 오늘날같은 머릿수건이 아니라, 장막, 커튼을 의미하고 있다.], 히잡이나 니캅 등을 쓰는 것은 여성의 자유라고 보는 해석도 있다. 이들은 이슬람권에서는 강제로 입히는 사회 분위기와 싸우고, 서구권에서는 강제로 벗기려고 하는[* 이슬람 페미니스트들은 대부분 일상 생활에서 히잡을 안 쓰는 케이스가 많지만(쓰는 경우도 있다.) 서구 페미니즘이 이슬람 여성들을 히잡으로부터 구원해 줄 것이라고 여기는 일종의 우월의식, 그리고 자신의 종교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을 금기시하는 강경한 세속주의([[라이시테]])에 반대하는 것이다. 특히나 라이시테가 장착된 프랑스 같은 곳의 히잡 혐오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생각하는 영미권 수준의 세속주의와는 차원을 달리하는데, 히잡 뿐 아니라 눈에 띄는 십자가 목걸이 같은 것도 금지되고, 경찰이 해변에서 수영하던 여성에게 남들 다 보는 앞에서 억지로 [[부르키니]]를 벗겨서 해외 토픽감이 되기도 하는 등 영미권식 세속주의에 익숙한 사람들의 눈에는 꽤 과격한 형태이다.] 사회 분위기와 싸운다. == 학자 == 현재까지 완성된 이론도 아니고, 이 이론을 주창하는 학자들이 거의 대부분 [[파키스탄]], [[미국]] 등 비 아랍권출신이라는 점이 상당한 걸림돌이 되고 있지만 이러한 움직임 또한 존재한다. 잘 알려진 운동가로 [[https://en.wikipedia.org/wiki/Mukht%C4%81r_M%C4%81%27%C4%AB|무크타르 마이(Muhktar Mai, 1972~ )]], [[말랄라 유사프자이]], [[https://en.m.wikipedia.org/wiki/Nawal_El_Saadawi|나왈 사아다위]] 등이 있다. == 관련 문서 == * [[이슬람 자유주의]] == 둘러 보기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페미니즘, version=3036, paragraph=4.15)] [각주] [[분류:페미니즘]][[분류:이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