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스라엘의 대외관계)] [include(틀:카타르의 대외관계)]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100%]]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100%]] || || [[이스라엘|{{{#ffffff '''이스라엘'''}}}]] || [[카타르|{{{#ffffff '''카타르'''}}}]]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스라엘]]과 [[카타르]]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양국은 옛날부터 지금까지 갈등을 겪고 있으며, 당연히 외교 관계도 맺지 않았다. 그리고 [[팔레스타인]] 문제를 둘러싸고 갈등도 존재한다. == 역사적 관계 == === 21세기 === ==== 2000년대 ==== 2000년 11월 9일에 카타르는 사우디의 압력을 받아 이스라엘 무역대표부를 폐쇄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36503?sid=104|#]] 2001년 5월 21일에 카타르는 이스라엘과 외교관계를 단절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75802?sid=104|#]] 2004년에 이스라엘은 카타르, 모리타니 주재 대표부를 폐쇄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602091?sid=104|#]] 2005년에 카타르는 이스라엘에 축구 경기장을 건설할 수 있는 금액을 지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0586312?sid=104|#]] 2006년 10월 29일에 이스라엘 외무부는 치피 리브니 외무장관이 카타르 방문을 취소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0219446?sid=104|#]] 2008년 7월 15일에 미국 국방부는 이스라엘, 카타르, 호주, 독일 등 7개국에 총42억 달러 규모의 무기를 지원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2192082?sid=104|#]] 2009년 1월 16일에 모리타니, 카타르는 이스라엘과의 모든 관계를 단절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2482612?sid=104|#]] 1월 18일에 카타르 정부는 이스라엘 무역대표부의 직원들에게 일주일내에 카타르에서 출국할 것을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2484682?sid=104|#]] 2월 3일에 이스라엘은 카타르의 제재에 대한 보복차원으로 [[알자지라]]를 제재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483604?sid=104|#]] ==== 2010년대 ==== 2010년 5월 18일에 이스라엘은 카타르의 조건부 외교 복원에 대해 거절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283026?sid=100|#]] 2012년 5월 18일에 카타르의 세이크 하마드 빈 칼리파 알 타니 국왕은 [[아랍의 봄]]이 이스라엘에게 하나의 큰 손실이라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4510874?sid=104|#]] 2014년에 터키, 카타르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하마스에 대한 중재에 나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021785?sid=104|#]] 2017년 7월 1일에 이스라엘의 여배우가 영화 원더우먼에 출연하자 카타르는 영화 원더우먼의 상영을 금지시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377349?sid=104|#]] 8월 7일에 이스라엘은 알자지라를 이스라엘에서 퇴출시킨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457998?sid=104|#]] 2018년 11월 11일에 카타르가 [[가자 지구]]에 1,500만 달러를 지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8906952?sid=104|#]] ==== 2020년대 ==== 2020년 8월 31일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하마스는 카타르의 중재로 휴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029969?sid=104|#]] 9월 2일에 카타르는 이스라엘과의 수교에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858317?sid=104|#]] 10월 11일에 이스라엘은 미국이 카타르에 F-35를 팔면 안 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119417?sid=104|#]] 10월 25일에 카타르가 이스라엘의 반대에도 F-35 스텔스 전투기를 도입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이스라엘 고위 관리의 전망이 나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148934?sid=104|#]] 아브라함 협약이 체결된 때에 카타르는 이스라엘을 인정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4982748?sid=104|#]] 2021년에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를 봉쇄하자 카타르에서 지원한 금액이 막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477025?sid=104|#]] 그리고 이스라엘이 카타르에서 보내온 구호자금 등의 송금을 허용하고, 일부 품목에 대한 통관 제한도 풀었지만, 가자 지구에서 시위는 멈추지 않았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1144894?sid=104|#]] 2022년 6월 10일에 이스라엘 정부는 이스라엘인들이 2022 카타르 월드컵 기간에 카타르 입국을 허용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237157?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696752?sid=104|#2]] 또, 카타르를 오가는 국제선 항공기에 영공을 개방하기로 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0616118000079?section=international/all|#]] 12월 6일, 알자지라가 알자지라 소속 기자에게 총격해 사망한 사건에 대해 이스라엘 군인을 ICC에 제소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05195?sid=104|#]] == 관련 문서 == * [[이스라엘/외교]] * [[카타르/외교]]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 [[분류:이스라엘의 대국관계]][[분류:카타르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