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사)] ---- [목차] [clearfix] 李璹 ? ~ [[1131년]]([[인종(고려)|인종]] 9) == 개요 == 고려의 관료. [[문하시중]]을 역임한 [[배향공신]] [[이정공]]의 장남이고, 마찬가지로 문하시중을 역임했으며 공신 칭호를 받은 [[이위(고려)|이위]]의 형이다. 고려사 이숙열전에 따르면 성격이 탐욕스럽고 야비하여 행실이 나빴다고 하며, 참지정사를 지냈으나 [[무고죄]]로 관직에서 파면당한다. == 생애 == 본관은 부평. [[문종(고려)|고려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한[[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KM_5COb_9999_000150|#]] 뒤 문하시중에 오른 부친 이정공의 세력에 의지해 [[예종(고려)|예종]]과 [[인종(고려)|인종]]을 섬긴다. 예종 원년(1106) 낭장으로 시랑 김보성을 따라 [[요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온다. 예종 13년(1118) 예종이 회경전에서 장경도량을 베풀며 향을 드리는 자리에서 시신 [[박승중]], 홍관 등과 웃고 떠들었다. 이 소리는 왕이 있는 곳까지 들렸다고 하며, 대간들은 이들을 탄핵해 파직을 청한다. 인종 6년(1128) 3월 검교사도 수사공 좌복야 판예부사에 임명된다. 인종 시기 [[이자겸]]과 그 당파가 숙청된다. 이숙의 처 김씨는 이자겸 당파인 [[김인규(고려)|김인규]](金仁揆)[* [[경주 김씨]]]의 누나였는데, 김인규는 이자겸이 실각할 때 수령으로 좌천된다. 이숙은 주인이 없는 틈을 타서 김인규의 집에 살며 처가의 재산과 노비를 빼앗는다. 그러나 좌천됐던 김인규는 곧 다시 소환됐고, 돌아온 김인규는 이숙을 책망한다. 부끄럽고 두려웠던 이숙은 아들 이온경과 함께, '김인규가 반란을 꾸미고 있다'고 무고한다. 아들이 투서를 써서 [[어사대]]에 던지려다 순검에게 붙잡혔으며, 이숙은 유배보내질 뻔했으나 동생의 외손녀가 인종비 [[공예태후|왕비 임씨]]였으므로 파면에 그쳤다. 관직이 참지정사(參知政事)에까지 올랐던 이숙은 인종 6년(1128) 7월에 파면됐고, 인종 9년(1131) 죽는다. [[분류:고려의 인물]][[분류:부평 이씨]][[분류:1131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