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명이인]][[분류: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분류:조선의 문관]] [목차] == 개요 == 성씨가 [[이(성씨)|이]], 이름이 [[수정]]인 인물의 목록. [[대한민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여성]] 인명이다. 가끔 이 이름을 가진 [[남성]]도 볼 수 있다. == 실존 인물 == === [[조선]] 초기의 문신 === 李守貞, [[1477년]] ~ [[1504년]]. [[1477년]] 당시 [[사간원]] 대사간 [[이세좌]]의 아들로 태어났다. [[1501년]]([[연산군]] 7)에 [[생원]]시의 장원이 되었으며[[http://sillok.history.go.kr/id/kja_10702024_001|#]], 같은 해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을 지냈다.[[http://thesaurus.itkc.or.kr/search/view?dataId=5552|#]] [[1503년]](연산군 9) [[5월 10일]] [[홍문관]] 부수찬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아버지 이세좌 및 형들(이수원·이수의·이수형)과 함께 [[참형]] 후 [[효수]]를 당하였다.[[http://sillok.history.go.kr/id/kja_11005013_002|#]] [[연산군일기]]를 보면 형벌 구형이 [[태형|태]](笞) 40대에서 출발하여 [[장형|장]](杖) 80대가 되더니 결국 참형까지 올라가게 되는 과정이 묘사되고 있다.[[http://sillok.history.go.kr/id/kja_11003016_007|#]][[http://sillok.history.go.kr/id/kja_11003017_003|#]] 가족 관계로 아내 가이(加伊)가 있었는데, 남편의 형 집행 이후 장숙용(張淑容, 장녹수)의 노비 신세가 되었다. 아들로 이준경(李浚慶)이 있다. === 조선 후기의 문신 === 李守貞, [[1709년]] ~ [[1795년]]. [[자(이름)|자]]는 '계고'(季固)이고 '경담'은 [[아호|호]]이다. [[1762년]](영조 38) [[천거]]를 통해 [[목릉]] 참봉이 되었다. [[사옹원]] 주부를 거쳐 영춘현의 현감이 되었는데, 이때 선정을 베풀어 현의 백성들이 송덕비를 세웠다. 문집인 『경담집』의 저자이다.[[https://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252A_0110_030_0020&jusokId=D023&wordHL=%E6%9D%8E%E5%AE%88%E8%B2%9E|#]] === 조선 후기의 의사 === 李壽鼎, 생몰년 미상. [[여주시|여주]]의 선비로 점 보는 데 정통한 한편 [[천연두]]의 치료까지 겸하여 사대부 집안에서 효과를 본 사람이 많았다고 전해진다.[[https://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e?dataId=ITKC_ST_U0_A13_02A_20A_00100&solrQ=query%E2%80%A0%E6%9D%8E%E5%A3%BD%E9%BC%8E$solr_sortField%E2%80%A0$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ST_AA$solr_toalCount%E2%80%A07$solr_curPos%E2%80%A01$solr_solrId%E2%80%A0BD_ITKC_ST_U0_A13_02A_20A_00100|#]] [[1737년]](영조 13)에 의약동참(議藥同參)[* 일종의 [[어의]]이다.]이 되었으며 부사용(副司勇)이 되었다.[[https://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e?dataId=ITKC_ST_U0_A13_02A_26A_00150&solrQ=query%E2%80%A0%E6%9D%8E%E5%A3%BD%E9%BC%8E$solr_sortField%E2%80%A0$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ST_AA$solr_toalCount%E2%80%A07$solr_curPos%E2%80%A03$solr_solrId%E2%80%A0BD_ITKC_ST_U0_A13_02A_26A_00150|#]][[https://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e?dataId=ITKC_ST_U0_A13_02A_29A_00180&solrQ=query%E2%80%A0%E6%9D%8E%E5%A3%BD%E9%BC%8E$solr_sortField%E2%80%A0$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ST_AA$solr_toalCount%E2%80%A07$solr_curPos%E2%80%A04$solr_solrId%E2%80%A0BD_ITKC_ST_U0_A13_02A_29A_00180|#]] [[1737년]] 이후로는 기록에서 등장하지 않는다. === 조선 말기의 성서 번역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수정(1842))] === 독립운동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수정(1887))]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수정(1890))] 2명의 독립운동가가 존재한다. === 대한민국의 전 [[문화부장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수정(1940))] === 대한민국의 범죄심리학 교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수정(교수))] === 가수 [[엘수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엘수정)] === [[러블리즈]]의 멤버 [[이수정(가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수정(가수))] === [[1993년]]생 가수 [[CHAI]]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CHAI)] === 트로트 가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수정(트로트 가수))] === 대한민국의 2001년생 농구 선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수정(농구선수))] === 전직 레이싱모델, 방송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수정(1987))] === 대한민국의 배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수정(배우))]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수정(뮤지컬배우))] === 중국 [[오대십국시대]]의 인물 === 李守貞/Li Shouzhen, 생년 미상 ~ [[949년]]. [[오대십국시대]]의 호국[[절도사]]로, [[후진]]의 [[석중귀]] 밑에 있다가 [[거란]]에 투항하였으며 이후 거란을 배반하여 [[후한(오대십국시대)|후한]]에 귀부한 전적이 있다. 이후 두중위(杜重威)의 사망 소식을 접한 후 또 다시 역모를 꾸몄다. 역사서 《[[치평요람]]》에 따르면 승려인 총륜(摠倫)의 말을 믿고, 항상 자신이 천자가 될 운명이라고 생각하고 다녔다고 한다. [[거란]]과도 자주 내통하였으며, 군사를 정비하는 데에 밤낮을 쏟았다고 한다. 조사관(趙思綰)이 [[장안]]을 점거하고 자신에게 [[어의]]를 올리자 하중(지금의 [[산서성]] [[윈청시]]이다.)에서 스스로 '진왕'을 칭하고 장수 왕계훈(王繼勳)에게 동관(퉁관)을 점령하도록 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유승우(후한)|후한 은제]]가 백문가(白文珂)와 왕준(王峻)을 보내어 이수정을 토벌케 하였는데, 뜻대로 되지 않자 [[곽위]]를 서면군전초위안무사로 삼고 총괄 지휘를 맡겼다. 같은 시기에 다른 지역에서도 조사관과 왕경숭이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 둘은 모두 이수정을 주군으로 섬기고 있었다. 곽위는 이 점을 이용하여 이수정이 있는 하중을 먼저 치기로 하였고, 도시를 포위하였다. 이수정은 포위망을 돌파하려 하는 한편 [[남당]]에 구원을 요청하였는데, 남당은 원군을 보냈으나 정작 군사들이 싸움을 싫어하였으며 하중이 남당의 영토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관계로 근처도 못 가보고 철군하였다.[* 지금의 [[장쑤성]] [[롄윈강시]]에 해당하는 곳까지밖에 도달하지 못하였다고 한다.] 결국 이수정은 붙잡혔고 남당에서는 이수정의 사면을 요청하였으나 조정은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이수정은 후진을 배신한 뒤 거란을 배신하고 다시 후한을 배신한 셈이므로 만약 여기서 사면되고 [[남당]]에 귀부했다고 해도 어떻게 됐을지는 뻔한 일. 물론 잦은 배반과 별개로 사람은 좋았다고 평가된다. 은혜를 베풀기 좋아하였으며 반란을 일으킬 때에도 군사와 축성 등에 밤낮을 쏟을 만큼 철두철미했다고. 여담으로 [[곽위]]는 이수정의 반란 사건을 통해 명망을 얻고 당대의 유망한 정치 권력자로 떠올랐으며 이후 [[950년]] 군사를 일으켜 은제를 죽이고 [[후주]]를 개창한다.[* 그런데 곽위는 이때 자식이 모두 살해된 관계로 양자 [[시영]](柴榮)에게 제위를 잇게 하였고, 따라서 후주의 황족은 시(柴)씨 가문이 되었다.] ==== 참고 문헌 ==== * 《[[치평요람]]》(정인지 등, 1516)[[https://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483A_1020_010_0020&solrQ=query%E2%80%A0%EC%9D%B4%EC%88%98%EC%A0%95$solr_sortField%E2%80%A0$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64$solr_curPos%E2%80%A058$solr_solrId%E2%80%A0BD_ITKC_BT_1483A_1020_010_0020|#]] === 기타 인물 === * [[조선]]의 인물 * 李守楨 - [[1456년]]([[세조(조선)|세조]] 2)에 흉모를 품고 일을 벌이다가 발각되어 박수량(朴遂良)과 함께 참형에 처해진 인물이다.[[http://sillok.history.go.kr/id/kga_10204001_004|#]] * 李水精 - [[인종(조선)|인종]] 시기의 사알[* 정6품의 잡직으로, 임금의 명령을 전달하는 일을 맡았다.]이다. * 李壽禎 - [[영희전]]의 고지기이다. [[고종실록]]에 등장한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2912021_004|#]] * [[TBC]] 전 기상캐스터 [[https://youtu.be/msLRFp-HcS0|#]], TBC [[http://www.tbc.co.kr/fm/?mid=3_77_78|달콤한 오후 이수정입니다]] DJ == 가상 인물 == * [[이수정(발리에서 생긴 일)]] - SBS 드라마 [[발리에서 생긴 일|발리에서 생긴 일]] 등장인물 * [[이수정(가족의 탄생)]] - SBS 드라마 [[가족의 탄생(드라마)|가족의 탄생]] 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