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이수악}}}'''[br]'''李壽岳'''}}}}}} || || '''자''' ||치숭(致崇, 穉崇) || || '''호''' ||우헌(于軒) || || '''본관''' ||[[재령 이씨]][* 영해파(寧海派)-호군공파(護軍公派) 22세 수(壽) 항렬.] || ||<|2> '''출생''' ||[[1845년]] || ||[[경상도]] [[영덕군|영해도호부]] 오서면 오촌동[br](現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오촌리 234번지) || || '''사망''' ||[[1927년]] [[9월 29일]][* 재령이씨영해파보 권3 333쪽에는 8월 30일에 별세한 것으로 등재돼 있다.] || || '''묘소''' ||[[경상북도]] [[청송군]]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3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숙종(조선)|숙종]] 때 [[이조(조선)|이조]] [[참판]]을 지낸 [[이현일(조선)|이현일]]의 형 존재(存齋)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6649&docId=536692&categoryId=46649|이휘일]](李徽逸)의 8대 주손(胄孫)이다. == 생애 == 1845년 경상도 영해도호부 오서면 오촌동(現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오촌리 234번지)에서 아버지 이담영(李聃榮, 1820 ~ 1848. 6. 8)과 어머니 [[고성 이씨]](1816 ~ 1868. 12. 26)[* [[이암(고려)|이암]]의 후손으로, 이정백(李庭百)의 딸이다.] 사이에서 1남 3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1878년([[고종(조선)|고종]] 15) 1월 25일 [[서원 철폐|철폐된 서원]]을 복구해 설립하라는 명을 내려 주기를 청하는 상소를 올리는 데에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15_01A_25A_00350_2004_071_XML|참여했고]], 1886년(고종 23) [[흥선대원군]]의 유폐와 관련된 상소를 올렸다가 [[함경도]] [[명천군|명천도호부]](現 [[함경북도]] [[명천군]]을 거쳐 [[길주군|길주목]](現 [[길주군]])에 유배되었고, 1890년(고종 27) 1월 29일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27_01A_29A_01050_2003_137_XML|석방되었다]]. 1895년(고종 32) [[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가 시해되자 여러 고을에 통문을 돌려 의병을 일으킬 것을 촉구하였다. 1896년 1월 22일에는 [[안동시|안동부]] [[영덕군|영해군]](現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에서 집강소(執綱所)를 조직했고, 2월 11일 집강소를 의병부대로 전환해 [[의병장]]에 추대되고 이른 바 영해의병진을 창설했다. 이후 영해군과 영덕군을 거쳐 [[안동군]]에 집결했으나 2월 18일 고종의 [[https://sillok.history.go.kr/id/kza_13302018_001|의병 해산 조령]]에 따라 의병진을 해산했다. 이후 은거하다가 1927년 9월 29일 별세했다. 199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조선 의병장]][[분류:영덕군 출신 인물]][[분류:재령 이씨]][[분류:1845년 출생]][[분류:1927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