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이송하의 타이틀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BLACK COMBAT 라이트급 챔피언)] [include(틀:DEEP 라이트급 챔피언)]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피에로리.jpg|width=100%]]}}} || ||<-2> '''싸비 MMA''' || ||<-2> '''{{{#000 {{{+2 이송하}}}[br]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 피에로}}}}}} | Lee Song-Ha}}}''' || ||<|2> '''출생''' ||[[1994년]] [[5월 21일]] ([age(1994-05-21)]세)|| ||[[충청북도]] [[음성군]]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신체''' ||'''키''' 186cm, '''체중''' 70.4kg || ||'''리치''' 190cm, '''혈액형''' O형|| || '''종합격투기 전적''' ||[[https://www.sherdog.com/fighter/Song-Ha-Lee-387630| 6전 4승 2패]] || || '''승''' ||{{{-1 3 SUB, 1 판정 }}} || || '''패''' ||{{{-1 2 판정 }}} || || '''스타일''' ||웰라운더 || || '''등장곡''' ||Jagwar Twin - Happy Face || || '''학력''' ||[[음성고등학교]] {{{-2 (졸업)}}} || || '''병역''' ||'''[[대한민국 해병대]]''' [[병장]] [[전역]]{{{-2 (병 1188기)}}} || || '''주요 타이틀''' || '''【 [[블랙컴뱃]] [[블랙컴뱃 프로 오디션2|프로오디션2]] 라이트급 1위 】''' [br] '''【 [[블랙컴뱃]] 2대 라이트급 챔피언 】'''[br]'''【 DEEP 11대 라이트급 챔피언 】''' || || '''방어전''' || '''【 [[블랙컴뱃]] 라이트급 타이틀 방어전 2회 】''' || || '''데뷔''' ||[[종합격투기]] : [[2021년]] [[종합격투기|프로]] 《AFC 16》[br]{{{-2 (데뷔일로부터 '''[dday(2021-05-31)]'''일)}}} || || ''' SNS ''' ||[[https://www.instagram.com/dlthdgkdl/|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 現 [[블랙컴뱃]] [[종합격투기|라이트급]] 챔피언, DEEP 라이트급 챔피언으로 한국-일본 두단체 챔피언이다. 친동생 이성은 선수도 종합격투기 선수이다. == 파이팅 스타일 == '''186cm'''라는 큰 키와 '''190cm'''의 긴 리치를 이용한 스트라이킹과 그래플링을 통한 운영과 서브미션 이라는 두가지 선택지가 존재하는 '''웰라운더'''라고 보는게 적절하다. 광남 신승민, 야차 최준서와 같이 진성 타격가라고 보기엔 조금 그렇고 스트라이킹과 그래플링을 적당히 결합한[* 타격:그래플링 비율이 4:6~3:7 정도 된다.] 침착한 경기운영이 최고 장점이다. 그래플링 비율이 확실히 크긴하기 때문에 웰라운더가 아니라 그래플러로도 볼 수도 있다. 체급내에서 압도적으로 큰 키, 긴 리치는 킥싸움, 앞손 싸움에서 이송하를 유리하게 만든다. 장신의 다리에서 나오는 킥은 사정거리가 엄청나다. 이 긴리치는 스트라이킹 뿐만 아니라 그래플링 상황에서도 긴 리치로 순식간에 그립을 만들어 서브미션을 따낼 수 있게 만든다. 타격에서는 리치를 이용해 킥싸움, 잽싸움으로 거리 싸움을 하는 것이 주 전략이다. 카운터 니킥 또한 요긴하게 사용한다. 하지만 깔끔한 타격공방을 선호하는 장신의 타격가에게 필요한 두 요소인 거리조절 능력과 카운터를 하이 레벨로 갖추고 있지는 않다. 그 때문에 큰 공격을 허용하기도 하고 긴다리를 이용하지 못하고 킥싸움에서 오히려 맞기도 한다. 타이틀전에서 김정균에게 묵직한 주먹을 얻어맞고 위험한 그림이 나오기도 했지만 뒤에 언급될 그래플링으로 위기 모면을 하기도 했다. 그래플러로 볼 수 있을 정도로 타격보다 그래플링 능력이 상당히 부각된다. 레슬링, 주짓수의 비중이 상당히 크고 기량 모두 우수하다. 더블G FC 헤비급 챔피언 김명환과 오디션에서 노기 주짓수를 해서 승리를 따내기도 할 정도로 우수한 기량을 자랑한다. 김정균과 경기에서도 타격을 허용하고 그래플링 운영으로 위기를 모면하는 모습이 많이 보였고, 백포지션에서 깊은 초크를 걸기도 했다. 박종헌과 경기 당시 리치가 짧은 선수들이라면 풀렸을 암바와 트라이 앵글을 긴 팔과 다리를 이용해 묶어 경기에서 승리를 거머쥐었다. 스트라이커 성향도 있지만 서브미션 승리도 아마추어부터 프로까지 4번이나 있기 때문에 오히려 그래플링 기량이 타격보다 우수해 보이기도 한다. 게다가 십수년동안 갈고닦은 그래플링 방어를 가진 딥의 라이트급 챔피언 오하라 주리를 레슬링 테이크다운과 백컨트롤-하체관절기로 잡아내며 높은 수준의 그라운드를 보여줬다. 긴 리치와 큰 키도 장점으로 작용하지만 가장 큰 장점은 '''침착함'''. 김정균에게 뜻밖에 사커킥을 맞고도 당황하지 않고 견뎌내며 테이크다운까지 시켰고, 방어전인 박종헌과 경기에서는 슬립으로 넘어졌으나 곧바로 트라이앵글 - 암바를 잡으며 혼란스러운 상황에서도 서브미션 캐치에 성공했다. 이렇듯 이 침착함이 변수를 쉽게 제어할 수 있게 만들고 전략 수행능력, 타격과 레슬링 같은 우수한 스킬을 더욱 빛나게 만든다. 체력과 맷집도 출중한 것으로 보인다. 곰주먹 김정균과 승부에서도 치고박는 명승부를 펼쳤으나 3라운드까지 기세가 이어졌고 레슬링과 타격을 번갈아 하면서도 끝까지 집중력을 잃지 않았다. == [[종합격투기]] == === [[아마추어]] === ||<-5> {{{#fff '''종합격투기 아마추어 전적 【 6전 4승 2패 】'''}}} || ||
'''{{{#white 순서}}}''' || '''{{{#white 경기일}}}''' || '''{{{#white 대회명}}}''' || '''{{{#white 상대}}}''' || '''{{{#white 경기결과}}}''' || || 1 || 2016.11.26 || 【 Road FC Central League 33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이현우 ||2R Armbar 승 || || 2 || 2017.06.03 || 【 Road FC Central League 36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누리 ||1R 2:50 Armbar 패 || || 3 || 2017.09.09 || 【 Road FC Central League 37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윤재원 ||2R 2:55 TKO 승 || || 4 || 2017.11.18 || 【 Road FC Central League 38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박정민 ||2R 판정패 || || 5 || 2018.03.03 || 【 Road FC Central League 4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박준현 ||Anaconda Choke 승 || || 6 || 2018.04.28 || 【 Road FC Central League 41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임용주 ||1R 2:47 Head Kick 승 || === [[프로]] === ||<-5> {{{#fff '''종합격투기 프로 전적 【 6전 4승 2패 】'''}}} || ||
'''{{{#white 순서}}}''' || '''{{{#white 경기일}}}''' || '''{{{#white 대회명}}}''' || '''{{{#white 상대}}}''' || '''{{{#white 경기결과}}}''' || || 1 || 2021.05.31 ||【 AFC 16 】Angel's Fighting Championshi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상욱]] ||2R 판정패 || || 2 || 2021.09.11 ||【 TBC 02 】The Beast Championship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성혁 ||1R 3:22 리어 네이키드 초크 승 || || 3 || 2022.01.07 ||【 TBC 03 】The Beast Championship 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홍성찬(종합격투기)|홍성찬]] ||3R 판정패 || || 4 || 2022.12.31 ||【 BLACK COMBAT 04 】THE ERA OF NEW KING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정균 ||3R 판정승 [* 블랙컴뱃 라이트급 2대 타이틀 획득] || || 5 || 2023.04.15 ||【 BLACK COMBAT 06 】THE FINAL CHECKMAT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박종헌 ||1R 1:11 암바 승 [* 블랙컴뱃 라이트급 타이틀 1차 방어전 성공] || || 6 || 2023.09.18 ||【 BLACK COMBAT 08 】THE LAST SAMURAI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오하라 주리 ||2R 2:37 니바 승 [* 딥 라이트급 챔피언, 블랙컴뱃 라이트급 타이틀 2차 방어전 성공] || ==== [[김상욱(종합격투기)|vs. 김상욱]]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ccCTQYak_Uk)]}}} || || '''vs. 김상욱 (팀스턴건)''' || ==== [[최성혁(종합격투기)|vs. 최성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AmyAv98RcH0)]}}} || || '''vs. 최성혁 (팀한클럽)''' || ==== [[홍성찬(종합격투기)|vs. 홍성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LCegmMO3PnA)]}}} || || '''vs. 홍성찬 (코리안탑팀)''' || === 타이틀전 === ==== [[김정균(종합격투기)|vs. 김정균 (곰주먹)]] ==== ||<-3> [[파일:블랙컴뱃 로고.jpg|height=70]][br]'''{{{#ffd700 {{{+1 Ⅳ. THE ERA OF NEW KINGS}}} [br] BLACK COMBAT 04 }}}''' || ||<-3> '''{{{#fff 2022. 12. 31 / 인천 파라다이스시티 크로마 클럽 }}} ''' || ||<-3>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블랙컴뱃 2대 라이트급 타이틀 획득'''}}}}}}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Fm4EBq9jfY)]}}} || ||<-3> '''{{{+1 {{{#000 {{{#!html COMAIN EVENT}}}}}}}}}''' || || '''{{{#fff 이송하}}}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fff 피에로}}}}}}''' [br]{{{#fff (3R 만장일치 판정승)}}} || '''{{{-2 {{{#fff 주심[br]배기성}}}}}}''' || '''{{{#fff 김정균}}}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fff 곰주먹}}}}}}'''[br]{{{#fff (패)}}} || ||<-3> '''{{{#ffd700 "박종헌(헌터) 선수와 라이트급 타이틀 방어전 매치 약속"}}}''' || ==== [[박종헌(종합격투기)|vs. 박종헌 (헌터)]] / (1차 방어전) ==== ||<-3> [[파일:블랙컴뱃 로고.jpg|height=70]][br]'''{{{#ffd700 {{{+1 Ⅵ. THE FINAL CHECKMATE}}} [br] BLACK COMBAT 06 }}}''' || ||<-3> '''{{{#fff 2023. 04. 15 / 인천 파라다이스시티 스튜디오파라다이스 }}} ''' || ||<-3>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블랙컴뱃 라이트급 타이틀 1차 방어 성공'''}}}}}}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0jYLfD48w)]}}} || ||<-3> '''{{{+1 {{{#000 {{{#!html MAIN EVENT}}}}}}}}}''' || || '''{{{#fff 이송하}}}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fff 피에로}}}}}}''' [br]{{{#fff (1R 1:11 암바 승)}}} || '''{{{-2 {{{#fff 주심[br]배기성}}}}}}''' || '''{{{#fff 박종헌}}}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fff 헌터}}}}}}'''[br]{{{#fff (패)}}} || ||<-3> '''{{{#ffd700 "일본격투단체 딥 2001 라이트급 선수인 오하라 주리 선수와 매치를 언급"}}}''' || ==== vs. 오하라 주리 / (딥 라이트급) ==== ||<-3> [[파일:블랙컴뱃 로고.jpg|height=70]][br]'''{{{#ffd700 {{{+1 Ⅷ. THE LAST SAMURAI [br] BLACK COMBAT 08 / DEEP 115 IMPACT}}}}}}''' || ||<-3> '''{{{#fff 2023. 09. 18 / 일본 도쿄 고라쿠엔홀}}} ''' || ||<-3>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BLACK COMBAT / DEEP 라이트급 더블 타이틀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dHsQ_5Z-ws, width=100%)]}}} || ||<-3> '''{{{+1 {{{#000 {{{#!html Double Title Match}}}}}}}}}''' || || '''{{{#fff 오하라 주리}}}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 아이언 스파이더}}}}}}''' [br]{{{#fff (패)}}} || '''{{{-2 {{{#fff 주심[br]후쿠다 마사토}}}}}}''' || '''{{{#fff 이송하}}}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 피에로}}}}}}'''[br]{{{#fff (2R 3:38 Suloev Stretch[* 니바] 승)}}} || ||<-3> '''{{{#ffd700 ㅡ}}}''' || 2라운드 2분 37초 만에 서브미션(술로에브 스트레치)로 승리였다. 이번 승리로 전적을 4승 2패로 끌어올렸으며 블랙 컴뱃 라이트급 챔피언 자리의 2차 방어를 해냄과 동시에 딥 라이트급 챔피언에 등극하였다. 거의 모든 팬들이 오하라 주리의 압도적인 승리를 예상하던 상태에서 이번 대회 최대의 이변을 일으켰다. 또한 이 승리로 블랙컴뱃 vs DEEP 2차 대항전의 승리를 확정지었다. == 여담 == * 프로필 사진에도 나와있는 신사적인 인사는 피에로의 시그니처 포즈이고 이미지와 상당히 잘맞는다는 평을 받고 있다. 잘생기고 모델같은 비율과 시너지를 낸다는 듯. [[분류: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해병대 출신]][[분류:1994년 출생]][[분류:블랙컴뱃 챔피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