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445년 출생]][[분류:1504년 사망]][[분류:조선의 문관]][[분류:조선의 자살한 인물]][[분류:광주 이씨]][[분류:질식사한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객사한 인물]] 李世佐 [[1445년]] ~ [[1504년]] [[4월 4일]] [목차] == 개요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 이씨|광주]]. 자는 맹언(孟彦), 호는 한원(漢原). == 생애 == 1445년 [[이극감]](李克堪)의 아들로 태어나, 1477년([[성종(조선)|성종]] 8년) 식년문과에 급제한 뒤 사간원 대사간, 부제학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1485년 이조참판으로 사신단을 이끌고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귀국 후 호조참판, 형조참판, 경기도 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1495년 성종이 승하하자 그의 국장 의례 및 [[능]]의 축조를 총괄하였다. 1497년 이조판서에 임명된 이세좌는 이듬해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연산군]]에게 직접 [[김종직]] 및 그의 제자들을 극형에 처해야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이후 예조판서, 지경연사 등을 역임하며 출세가도를 달렸다. 그러나 1503년 경복궁의 인정전에서 열린 양로연에 참석하였다가 연산군이 하사한 술을 실수로 엎질러 곤룡포를 적셨는데, 이 일로 연산군의 노여움을 사 유배에 처해졌다. 이듬해인 1504년 다시 석방되어서 조정에 복귀하는 듯 했지만 [[갑자사화]]로 궁궐에 피바람이 몰아치는 무렵, 유배 중이던 이세좌는 과거 연산군의 생모 [[폐비 윤씨|윤씨]]를 폐위할 때 말리지 않음은 물론, 그녀에게 [[사약]]을 직접 전달하였다는 죄목[* 당시 이세좌는 좌승지였다.]으로 체포되었고, [[거제]]로 이배되던 중 양포역[* 현재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목을 메어 [[자결]]하였다.[* 왕과 나에서는 이경영이 맡았는데 연산군이 참수에 처하라고 어명을 내렸으나 거역하고 목을 매 자결을 해 시신을 파내고 그 목을베어 어명을 받들게 함은 물론, 가산을 몰수하여 왕실에 귀속시키고, 그 식솔들은 노비로 전락하게 하였다.] == 여담 == [[1477년]] 예궐[* 궐에 들어가는것.]할때 말을타고 행하여 [[사헌부]]에서 율에 장(杖) 80대에, 고신(告身) 3등(等)을 빼앗으라고 전교하였는데 다행히 [[좌천]]에 그쳤다. == 미디어에서 == * 1994년 [[한명회(드라마)|한명회]]에서는 배우 박건식이 연기했다. * [[왕과 비]]에서는 [[김영기(배우)|김영기]][* [[불멸의 이순신]] 및 [[징비록(드라마)|징비록]]에서 [[권율]] 역할, [[광개토태왕(드라마)|광개토태왕]]에서 해모월 역할.]가 연기했다. * [[대장금]]에서는 이종래가 연기했다. * 드라마 [[인수대비(드라마)|인수대비]]에서는 [[김윤태(배우)|김윤태]]가 연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