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BC의 성우)] ||<-2>
{{{#ffffff '''{{{+1 이선호}}}'''[br]Lee Sun-h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kbau.co.kr/1890292918_a36f1ddf_3EB82A8EC9E90EC84B1EC9AB0.PDF+-+Adobe+Acrobat+Pro+Extended.jpg|width=100%]]}}} || ||<-2> '''{{{#ffffff 입사 직전의 사진}}}'''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kbau.co.kr/738687432_39170c9e_EC9DB4EC84A0ED98B8%2BEC84B1EC9AB0%2BEBB380EAB2BD.jpg|width=100%]]}}} || ||<-2> '''{{{#ffffff 비교적 최근의 사진}}}''' || || '''출생''' ||[[1960년]] [[5월 5일]] ([age(1960-05-05)]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소속''' ||[[MBC 성우극회]] 9기 ([[프리랜서]]) || || '''활동 시기''' ||전속: [[1983년]] ~ [[1985년]][br]프리랜서: [[1986년]] ~ 현재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성우]]. 1983년 [[MBC 성우극회]] 9기로 입사했으며 1985년부터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 [[김관철(성우)|김관철]], [[박영화]], [[황윤걸]], [[이우신]], [[이종혁(성우)|이종혁]], [[김정신]], [[김혜경(성우)|김혜경]]과 동기. == 연기 == 허스키하면서도 착착 감기는 개성 강한 목소리가 특징으로, 같은 방송사의 [[이미자(성우)|이미자]], [[이선주]], 그리고 [[KBS 성우극회]]의 [[박영남]], [[손정아]], [[최수민]]과 더불어 '''[[소년]] 캐릭터 연기의 [[본좌]] 중 한 명이다.''' 주로 어리고 밝은 소년을 맡으며, 이 중 열혈 소년 역할이 많지만 [[시이네|빙빙]], 남궁열처럼 차분한 엘리트 역도 종종 맡는다. 가끔 [[덱스터의 실험실]]의 [[덱스터(덱스터의 실험실)|덱스터]] 같은 정신 나간(...) 연기를 선보이기도 한다. 극히 드물게 소녀 역할을 맡기도 한다. 이선호와 비슷한 소년 전문 성우들이 으레 그렇듯 목소리 특유의 개성이 있어서 맡는 배역이 제한적인 편이며, 중복 캐스팅과는 상성이 좋지가 않다. 그래서 경력과 인지도치고는 맡은 배역이 그렇게 많지는 않은데, 대신 한 번 맡으면 보통은 주인공으로 낙점되며 장기적으로 맡는 배역이 많다. [[김상현(성우)|김상현]], [[김필진]], [[박영남]], [[안경진]], [[안정현]], [[이명호(KBS 성우)|이명호]], [[최성우]] 등과 마찬가지로 이름만 들으면 남자 성우로 착각할 수 있는 여자 성우이기도 하다. 활동하지 않은 성우도 포함하면 [[이연승]]도 있다. == 연기력 == 이선호 성우 본인의 말로는 첫 프리랜서 작품이 톰소여의 모험 베키인데, 그 당시에는 오히려 소년 연기 본좌는 [[이미자(성우)|이미자]] 성우였고 자신은 소년 역할보다 소녀 역할을 더 많이 했다고 한다. 세월이 지난 지금으로서는 소년 역할이 훨씬 잘 어울린다.[* 정 반대 케이스로 히로인 전문 성우로 유명한 [[정미숙]]은 커리어 초창기 단역으로는 소년 연기가 오히려 많았다고 한다. 다만 현재는 소녀 연기에 대한 평가가 미묘한 이선호와 달리 [[신태일(디지몬 시리즈)|신태일]]와 같은 소년 연기로도 호평을 받고 있다.] 몇 안 되는 소녀 배역으로 [[톰 소여의 모험]]의 베키, [[로봇수사대 K캅스]]의 토모나가 쿠루미(최예나),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의 [[마리 앤 레벤브로이|마리]], 헬로 스팽크의 장유나, [[기파이터 태랑]]의 티플[* [[임은정(성우)|임은정]] 성우였다가 중반부터 배정되었다.]이 있다. 또한 [[트라이건]]의 [[메릴 스트라이프]] 같은 [[아가씨]] 역할의 경력도 있~ 그리고 진짜 오랜만에 소녀 연기를 보여주게 되는데 바로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의 프리티의 [[채경(꿈의 보석 프리즘스톤)|재경]]. SBS에 초창기에 방영했던 애니 [[축구왕 슛돌이]]에서도 단역으로 소녀 연기를 한 적이 있다. [[EBS]]판 [[심슨 가족]]에서 [[바트 심슨]]을 맡았을 때 바트 특유의 장난스러움을 잘 살려서 호평을 받았다. 이 외에도 [[티미의 못말리는 수호천사]]의 [[티미 터너]], [[덱스터의 실험실]]의 [[덱스터]], [[파워퍼프걸]]의 미치, 달콤살벌 미스터 캣의 쿠프등 미국 만화에서 초등학생 남아역을 많이 맡아 '''미국 초딩 전문성우'''로 불린다. [[포켓몬스터 AG]]부터 이민을 간 [[최덕희]]의 뒤를 이어 한지우를 맡게 되었고, 완결편인 [[내 꿈은 포켓몬마스터]]까지 맡았다. 그래서인지 지우의 일본판 성우인 [[마츠모토 리카]]와 겹치는 배역이 많다. 나중에 [[디지몬 크로스워즈]]에서 [[강태성]]을 맡게 되면서 '''주인공 배역으로서 [[포켓몬스터|포켓몬]]과 [[디지몬 시리즈|디지몬]] 둘 다''' 경험했다.[* [[포켓몬스터 DP]]의 [[나빛나]]를 공동 주인공으로 간주하면 [[신태일(디지몬 시리즈)]]과 나빛나를 모두 맡은 [[정미숙]]도 포함된다.] 인간 외에도 동물이나 요정 같은 마스코트 격 축생도 많이 맡았는데, [[이누야샤]]의 [[싯포]]나 [[난다 난다 니얀다]]의 [[야고]]가 대표적이다.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소닉 X]], [[록맨 에그제 시리즈]], [[별의 커비(애니메이션)|별의 커비]], [[구슬동자]] 등 다른 성우들과 비교했을 때 [[게임 원작 기반 영상물|게임 원작 기반 애니메이션]]의 커리어는 상당히 탄탄한 편이지만 의외로 게임 출연은 거의 없다. == 여담 == * [[박영남]], [[안경진]] 등과 마찬가지로 남성으로 오인할 수 있는 이름과 주로 맡는 배역 때문에 남성으로 종종 오인되는 경우가 있다. 뉴타입 보이스링크 인터뷰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성우 데뷔 초기에 MBC 보도국에 동명이인 남성 기자가 있어 우편물이 서로 뒤바뀌어서 오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고 한다. * 극회에서는 비슷한 소년 계열을 많이 연기하는 [[이미자(성우)|이미자]], [[이선주]], 그리고 [[박영희(성우)|박영희]] 성우와도 같이 출연한 작품이 많다. * 특히 [[KBS 성우극회|옆 동네 성우극회]] 선배인 '''[[김정애]]''' 성우와는 같이 출연했거나 콤비로 나온 작품들이 많다. 김정애 성우와는 이후로도 아직도 친하게 지내는 듯. 대표적으로 '''[[우리는 챔피언]]'''이 있다. 이전에도 같은 작가의 작품인 [[피구왕 통키]]에도 같이 출연했다. 그리고 두 성우 모두 [[포켓몬스터]]와 [[디지몬 시리즈]]에 출연했단 공통점도 있다.[* 김정애는 [[디지몬 테이머즈]], 이선호는 [[디지몬 크로스워즈]]에 출연했다.] [[파일:20201017_225807.jpg|width=300]] * 2020년 5월 5일에 60세 생일을 맞이했는데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상당한 동안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qcokVDN2s9w|극장판 포켓몬스터 뮤츠의 역습 EVOLUTION" 성우 랜선 팬미팅!!]]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강희선]], [[이선주]]와 동갑이며, 타사 후배 [[홍시호]]보다 데뷔는 3년 빠르지만 나이는 1살 어리다. * 배우쪽에선 [[이경영(1960)|이경영]],[[강신일]],[[천호진]], 일본성우 [[나카 히로시]]와도 60년생 동년배인데 생일도 이들 보다 빠르다. * 웬만한 성우들이라면 다 출연한다는 [[명탐정 코난]]과 [[몬스터(만화)/애니메이션|몬스터]]에 둘 다 출연하지 못했다. 캐스팅이 들어갔는데 거절을 했거나 아니면 아예 들어가지 못한 듯하다.[* 이것은 [[KBS 성우극회]] 선배인 [[박영남]]과 [[김정애]]도 마찬가지이다. 이쪽도 똑같이 소년 연기로 유명하다는 공통점은 덤이다.] == 주요 출연작 == ※ 굵은 글씨는 주인공/메인 캐릭터 ※ ★ 장갑 낀 캐릭터 ※ @ [[김정애]]와 콤비로 나왔거나 같이 출연한 작품 === 애니메이션 === * [[YAIBA|검용전설 야이바]](비디오) - '''[[쿠로가네 야이바|야이바]]'''[* 대교방송판은 같은 극회 선배인 [[이선주]].] * [[격부술사 요역문]] - '''태현우''' * [[고대왕자 공룡킹/애니메이션|공룡킹 어드벤처]] - '''[[고다이 류타|맥스 테일러]]'''★ * [[구슬동자]] - '''[[화이트봉]]''' * [[꼬마거북 프랭클린]] - [[프랭클린#s-4.1.1|비버리]] * [[꼬마마법사 레미 시리즈|꼬마마법사 레미]] - 맹호[* 3기 포르테에서는 [[문남숙]], 4기 비바체에서는 [[김서영(성우)|김서영]]으로 변경.] * [[기파이터 태랑]] - 티플 [* 중반부터 맡게 된다.] * [[꽃의 마법사 메리벨|꽃의 천사 메리벨]] * [[난다 난다 니얀다]] - '''[[야고(난다 난다 니얀다)|야고]] / [[니얀다]]'''★, [[삐빼]] 엄마 * [[달려라 부메랑]] - 깨비(휴우가 아오이) * [[꿈별의 버튼노즈|딸기공주 버튼노즈]] - 플라워 왕자 * [[미유키(만화)|내 사랑 유미]] - '''[[미유키|강유미]]''' * [[닥터 슬럼프]] - 원시소년, 간다맨 * [[달콤 살벌 미스터 캣]] - 쿠프 * [[덱스터의 실험실]] - '''[[덱스터(덱스터의 실험실)|덱스터]]'''★ * [[도깨비캡처 보물산의 전설]] - 봉발 * [[드래곤볼]] - '''[[크리링]]'''(Z 비디오판 중반/투니버스판), [[인조인간 18호]](Z 비디오판 초반)[* 앞서 서술된 크리링과는 부부관계가 되는 캐릭터다.], [[오룡(드래곤볼)|오룡]](Z SBS판) * [[마신영웅전 와타루|드래곤 파이터]]([[투니버스]]) - '''[[이쿠사베 와타루|라이건]]'''[* KBS판은 [[박영남]].] * [[디어 브라더]] - [[디어 브라더#s-2|아리쿠라 토모코]] * [[디지몬 크로스워즈]] - '''[[강태성]]'''★ * [[라이브온 카드리버]] - [[가람]], 홍동익, 나하란 * [[로비&케로비]] - '''[[로비]]''' * 로빈후드의 모험 * [[용자경찰 제이데커|로봇수사대 K캅스]] - [[드릴보이]], [[용자경찰 제이데커/기타 등장인물#s-1.2|최예나]] * 로코왕국의 전설: 엘프킹을 찾아서 - '''드래곤스타''' * [[록맨 에그제 시리즈]] - '''[[히카리 넷토|네트]]''' * [[리틀 네모]] - [[네모]] * [[레츠고!! MBA]] - '''한여름''' * [[마법기사 레이어스]] - 아스코트, 저스 * [[만능 비리몽]] - [[만능 비리몽 #s-3.1|'''비리몽''']] * [[무적용사 사자왕]] - [[로카]] * [[무인도에서 살아남기]] - '''[[레오]]''' * [[미래전사 그레이트 건더]]([[SBS]]) - 나기찬 * [[바우와우(만화)|바우와우]] - '''단비'''[* 본인 커리어에서 아주 드문 소녀 연기다.] * [[별의 커비]] - [[붕|텁]] * 보글 쿡 시리즈 - 요요 * [[보거스는 내친구]] - 브라투스 * [[빨간망토 차차/애니메이션|빨간망토 차차]] - '''[[시이네|빙빙]]'''[* MBC판과 SBS판 모두 같은 배역을 맡았다. 국내 성우진 중 유일한 케이스.] * 뽀글아 사랑해 - 깨돌이, 쏭글이 외 각종 단역 * [[샘샘은 꼬마 슈퍼맨]] 2기 - '''샘샘'''[* 1편은 [[양정화]]가 맡았다.] * 샤머닉 프린세스 - 쟈포로 * [[샤먼킹(2001년 애니메이션)|샤먼킹 (2001)]] - [[오야마다 만타]] *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 [[마리 앤 레벤브로이]], [[네오 이콘 에피파네스]] * 소공자 세디 - '''세드릭 에롤(세디)''' * [[소닉 X]] -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 * [[슈퍼와이]] - '''와이엇''' * [[슬레이어즈]]([[SBS]]) - 동네 꼬마 * [[심슨 가족]]([[EBS]], [[디즈니+]]) - '''[[바트 심슨]]''', 어린 [[호머 심슨]] * [[쌍둥이 맑음]] - '''지누시 준이치로(주니)''' * [[씽씽씽! 동요나라]] - 하봇 * 악동클럽 - 스카티 * [[러그래츠|야! 러그래츠]]([[EBS]]) - 토미 * 오! 패밀리 - '''[[휘]]''' * 왕후 심청 - 가희 * [[요술소녀]] - 최수창의 여동생 * [[폭주형제 렛츠&고!!|우리는 챔피언]] - '''남궁열'''★ * 우리집 큰애기 - [[중구(울산광역시)|큰애기]] * [[YAT 안심! 우주여행|우주 여행사 야트]] - '''[[호시와타리 고로|롤로]]'''★ * [[우주에서 온 모자코]]([[투니버스]]) - '''[[모자코]]'''[* 애니맥스 재더빙판은 같은 극회 후배인 [[박신희]].] * [[용용나라로 떠나요]]([[EBS]]) - 맥스 * [[은하영웅 사이버트론]]([[SBS]]) - 카를로스 * [[은하철도 999(TVA)|은하철도 999]](1996년 MBC 재더빙판) - [[마이크]], 트로, 쉐프린, [[키라]], [[에이미]] * [[이누야샤(애니메이션 1기)|이누야샤]] 시리즈 - '''[[싯포]]''' 전담 * [[이누야샤: 시대를 초월한 마음]] * [[이누야샤: 거울 속의 몽환성]] * [[이누야샤: 천하패도의 검]] * [[이누야샤: 홍련의 봉래도]] * [[이누야샤 완결편]] * [[반요 야샤히메(애니메이션 1기)|반요 야샤히메 1기]] * [[반요 야샤히메(애니메이션 2기)|반요 야샤히메 2기]] * [[잠의 요정 나일러스]]([[EBS]]) - 거스 * [[에이스를 노려라!|정상을 향하여]] - '''[[오카 히로미|강유미]]''' * 오키도키 올리는 내친구 - 올리 * [[짱이와 깨모]]([[SBS]]) - 짱이 * [[천공전사 젠키]] - 안쥬, 자키, 혜미 * [[축구왕 슛돌이]] - [[마리오]], [[소피아]] * [[카츠마타 토모하루 삼국지]] - 황수란 * [[쾌걸 조로(아시 프로덕션)|쾌걸조로]] - '''베르나르도''', 세라 * [[맥스와 루비|토끼네 집으로 오세요]] - [[버찌]] * [[톰 소여의 모험]] - 베키 * [[트라이건]] - [[메릴 스트라이프]] * [[티미의 못말리는 수호천사]]([[니켈로디언|NICK]]) - '''[[티미 터너]]'''[* EBS 한정으로 [[정미숙]]이 담당.] * [[파워퍼프걸]] - 미치 외 단역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포켓몬스터 AG|AG]]~) - '''[[한지우]]'''★,[* 무인편에선 [[최덕희]]. 대원 구 3~5기 극장판은 [[안현서]]가 맡았다가, 구 6부터~ AG시점이라서 이선호가 그대로 맡았고, 포켓몬코리아가 설립된 뒤엔 지우 성우로 고정되었다.] 웅이의 다섯째 동생, 옷갈아입기 피카츄 영화의 엑스트라 피카츄 * [[프리티 시리즈]] *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 - 래비치[*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에서는 [[최옥희]].], '''[[채경(꿈의 보석 프리즘스톤)|재경]]'''★[* K캅스 이후 참 오랜만의 소녀 연기. 실제 모델은 방영 당시 우리나라 아이돌 걸그룹 퓨리티의 멤버였던 [[윤채경]].], 미키[*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에서는 [[정옥주]].] *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 - '''[[모모(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모모]]''', [[스즈노 유우|강얼]][* [[킹 오브 프리즘 시리즈]]에서는 [[탁원정]].], 김아람의 할머니 * [[프리즘스톤 올스타 셀렉션]] - 재경 * [[플랜더스의 개/애니메이션|플랜더스의 개]]([[EBS]]) - 네로 * [[피구왕 통키]] - 현진영, 손병태, 이한빛, 용 * [[피그마리오]] - 레온[* TV판. 비디오판에서는 [[쿠르트(피그마리오)|쿠르트]]를 맡았는데, TV판으로 넘어오면서 선배 [[이미자(성우)|이미자]]가 맡게 되었다. 비디오판의 레온은 뜻밖에도 TV판 꼬마 [[올리에]]를 맡은 선배 [[박영희(성우)|박영희]]. 한지우와 더불어 [[마츠모토 리카]]와 겹치는 배역 중 하나이다.] * [[하얀마음 백구]] - 태운 * [[학교괴담]] - '''[[장영빈]]''' * [[한국사 시간여행]]([[EBS]]) - 만화가 할머니 * [[헬로! 스팽크]]([[투니버스]]) - '''장유나''' * [[BBB 삼총사의 모험]] - 물고기 남동생 === 게임 === * [[헬로키티/게임#s-7|헬로우키티]](신라음반) - [[키티 화이트]] * [[날아라 호빵맨]](게임) - [[호빵맨]]★ * [[블레이드 앤 소울]] - [[블레이드 앤 소울/등장인물#s-11.1.3|일심]] * [[알피게임 시리즈]][* 전설의 레모네이드 팔기 게임은 물론이요 한번쯤 플래시로 본 적이 있는 그 알피 맞다.] - 알피 * [[아이엘]] - 토토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마일라 하이마운틴]] * [[용기전승 2]] - 에밀리 알젠트, 루카 암바르 === 외화 === * 개 같은 내 인생([[MBC]]) - 싸가(멜린다 킨나만) * 굿바이 뉴욕 굿모닝 내 사랑([[SBS]]) - 미치의 딸(린제이 크리스탈) / 에드의 아내(워커 브랜트) / 낸시(야들리 스미스) * [[나 홀로 집에]]([[SBS]]) - 풀러([[키에란 컬킨]]) * [[나 홀로 집에 2]]([[SBS]]) - 풀러([[키에란 컬킨]]) / 숙모(테리 스넬) * [[나 홀로 집에 3]]([[SBS]]) - [[알렉스 프루이트]](알렉스 D. 린즈)[* [[MBC]] 방영판에서는 [[윤성혜]].] * 내 이름은 브루스 2([[SBS]]) - 빌리(데이비드 멘덴홀) / 코니(디나 콘린) * 다저스 몽키([[MBC]]) - 마크(애덤 래보나) / 애니(조 챔바) * 도학위룡 3([[SBS]]) - 일본 하녀(주월미) * 돌아온 링고([[MBC]]) - 링고의 딸(모니카 수그라네스) * [[라스트 사무라이]]([[SBS]]) - 마구지로(아오이 미나토) * [[람보(영화)|람보]]([[SBS]]) - 소년(대니 워즈나) * 레알([[SBS]]) - 맥시(길레르모 헤레라) * [[매트릭스 2]]([[SBS]]) - 캐스(지나 토러스) * [[매트릭스 3]]([[SBS]]) - 캐스(지나 토러스) * [[맨 인 블랙 1]]([[SBS]]) - 레직의 아내(베키 앤 베이커) * [[미세스 다웃파이어]]([[SBS]]) - 크리스(매슈 로런스) * 벽혈남천([[SBS]]) - 어린 엄동 * [[블레이드: 트리니티]]([[SBS]]) - 행인(샤논 파웰) * 블루 스틸([[SBS]]) - 매춘부(토니 달링) * 소림오조([[SBS]]) - 마대인의 아들(부패) * [[소림축구]]([[SBS]]) - 만두가게 주인(서미나) * 아버지와 어머니 그리고 형제자매들([[SBS]]) - 빅토르(피에르-장 셰리) * [[언더시즈]]([[SBS]]) - 조단 테이트(에리카 엘레니악)[* [[KBS]] 방영판에서는 [[정경애]].] * 언제나 마음은 태양([[MBC]]) - 조세프(아드리엔 포스타) * [[언터처블(미국 영화)|언터처블]]([[MBC]]) - 여자 아이의 엄마(콜린 베이드) / 여자 아이(아디트라 콜) * 예수라 불리는 아이([[SBS]]) - 남자 아이(자크 루이스 아르놀드) * 용재변연([[SBS]]) - 비룡와 데이지의 아들(진석) * 은빛 안장([[MBC]]) - 토마스(스벤 발세키) * [[이터널 선샤인]]([[SBS]]) - 어린 조엘(라이언 휘트니) * [[쥬만지]]([[SBS]]) - 피터 셰퍼드(브래드리 피어스)[* [[KBS]]에선 불명. [[EBS]] 방영판에서는 [[전숙경]].] / 부동산 중개인(질리언 바버)[* [[KBS]]에선 불명. [[EBS]] 방영판에서는 [[이영아(성우)|이영아]].] * [[진주만(영화)|진주만]]([[SBS]]) - 마샤(세라 루) * 총잡이 링고([[MBC]]) - 멕시코 아이(파블리토 알론소) * [[취권|취권 2]]([[SBS]]) - 분(하영방) * [[파워 오브 원]]([[MBC]]) - PK 7세(가이 위처) * 풀 프루프([[SBS]]) - 장난감 음성 * 허리케인([[MBC]]) - 마코(레인 톰 주니어) * 형사 스타크([[MBC]]) - 킴(데니즈 크로즈비) * 흑인 오르페([[MBC]]) - 베네디또(호르헤 도스 산토스) === 기타 === * '''[[방귀대장 뿡뿡이]]([[EBS1]]) - [[뿡뿡이]]''' * [[친구(영화)|친구]] - 광고 음성 * Yoon's New Basic Phonics - 샘 * [[포켓몬스터W]] 오프닝 - FLY HIGH (With [[송하림]]) * 포켓몬 퀴즈배틀 - 진행자 == 관련 문서 == * [[성우/한국]]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이선호,version=49)] [[분류:한국 여성 성우]][[분류:1960년 출생]][[분류:1983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