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기한=2024-03-22 14:39:46)]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이서현(동명이인))] [include(틀:삼성그룹 경영진)] ||<-2> '''삼성복지재단 이사장[br]리움미술관 운영위원장[br]삼성글로벌리서치 CSR연구실 고문[br]{{{+1 이서현}}}[br]李敍顯 | Lee Seohyun'''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79CB63C-177A-45FD-A3B0-DC22CBF8B047.jpg|width=100%]]}}} || ||<|2> '''출생''' ||[[1973년]] [[9월 20일]] ([age(1973-09-20)]세) || ||[[서울특별시]] [[용산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거주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 || || '''본관''' ||[[경주 이씨]] (慶州 李氏)[* 중시조 41세. '''재(在)○''' 항렬이나 항렬자를 쓰지 않았다. 판전공파(判典公派)-사정공파(司正公派). 파조(派祖) 이강(李[[파일:한자 강(康+羽)(각주용).png|height=26]])이 전객시(典客寺)의 판사(判事), 즉 판전객시사(判典客寺事)를 역임하였기에 줄여서 판전공(判典公)이라고 한 것이다. 다만 의미상 판사공(判事公)으로 해야 옳다는 의견도 있다. 전객시는 예빈성(禮賓省)이라고도 하며 고려시대 외국의 빈객을 맞이하고 접대하는 일을 하던 관청이다. 전객시의 장(長)은 정3품 판사로 하였다. 사정(司正)은 조선시대 5위(五衛)의 정7품 관직이다.] || || '''직업''' ||[[기업인]] || || '''현직''' ||[[삼성복지재단]] 이사장[br][[리움미술관]] 운영위원장[br][[삼성글로벌리서치]] CSR연구실 고문 || || '''학력''' ||[[경기초등학교]] {{{-2 (졸업)}}}[br][[예원학교]] {{{-2 (미술과 / 졸업)}}}[br][[서울예술고등학교]] {{{-2 (미술과 / 졸업)}}}[* 여담으로 1살 아래의 [[조승연(기업인)|조현아]]와 초•중•고 동문에 대학은 미국으로 간 것까지 똑같다.][br][[파슨스 디자인 스쿨]] {{{-2 (패션디자인학 / 학사)}}} || || '''부모''' ||아버지 [[이건희]][br]어머니 [[홍라희]] || || '''친인척''' ||조부 [[이병철]][br]외조부 [[홍진기]][br]시증조부 [[김성수(1891)|김성수]] || || '''형제자매''' ||오빠 [[이재용]][br]언니 [[이부진]][br]여동생 [[이윤형]] || || '''배우자''' ||[[김재열]] || || '''자녀''' ||장녀 김지이^^(2001년생)^^[br]차녀 김지수^^(2003년생)^^[br]삼녀 김지후^^(2006년생)^^[br]장남 김성준^^(2007년생)^^ || || '''수상''' ||[[포브스]] 주목해야 할 아시아 여성 기업인 15인 {{{-2 (2012)}}}[br]비즈니스 오브 패션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글로벌 패션인 500인 {{{-2 (2014)}}} || || '''재산''' ||'''32억 달러 (한화 약 4조 2,300억원)'''[* 2023년 9월 [[포브스]] 기준. [[한국 부자 순위]] 9위.]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기업인]].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1973년 9월 20일 [[이건희]](李健熙) [[삼성]] 선대회장의 차녀로 태어났다. 조부는 [[이병철]](李秉喆) 삼성 창업회장, 외조부는 [[홍진기]](洪璡基) 초대 [[중앙일보]] 회장이며, 시증조부는 [[김성수(1891)|김성수]](金性洙) 제2대 [[대한민국 부통령|부통령]]이다. 사립 초중고인 [[경기초등학교]] · [[예원학교]] · [[서울예술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파슨스 디자인 스쿨]](Parsons School of Design)에서 패션디자인학 학사 학위를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98314|졸업했다.]] == 경력 == * 2002. ~ 2005.1. [[제일모직]] 패션연구소 부장 * 2005.1 ~ 2009.12. 제일모직 패션부문 기획담당 상무보 * 2009.12. ~ 2010.12. 제일모직 전무 '''·''' [[제일기획]] 기획담당 전무 * 2010. 미국 패션디자이너협회 이사 * 2010.12. ~ 2013.12. 제일모직 패션부문 기획담당 부사장 '''·''' 제일기획 부사장 * 2013.12. ~ 2014.7. [[삼성물산 리조트부문|삼성에버랜드]] 패션부문 경영기획담당 사장 '''·''' 제일기획 경영전략부문장 * 2014.7. ~ 2015.8. 제일모직 패션부문 경영기획담당 사장 '''·''' 제일기획 경영전략부문장 * 2015.9. ~ 2015.12. [[삼성물산]] 패션부문 경영기획담당 사장 '''·''' 제일기획 경영전략담당 사장 * 2015.12. ~ 2018.12. 삼성물산 패션부문장 사장 * 2018.12. ~ '''현재''' [[리움미술관]] 운영위원장 * 2019.1. ~ '''현재'''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 '''현재''' [[삼성글로벌리서치]] CSR연구실 고문 == 경영 능력 == 이서현이 추진한 사업 중 가장 유명한 건 [[삼성물산 패션부문]](舊 제일모직)의 [[SPA(패션)|SPA]] 브랜드 '[[에잇세컨즈]]'의 런칭을 기획한 것이지만, 성적이 저조했다. 영업이익이 마이너스인 역마진 구조였다. 그도 그럴 것이 [[동대문시장]]이나 [[남대문시장]]에서 파는 보세 의류 디자인을 베껴다가 자기네 상표 붙여서, 삼성의 명성에 맞지 않는 구린 원단을 쓰면서 가격은 삼성 산하 브랜드 평균 수준으로 받으니 실패를 한 것이다. 아무리 SPA 브랜드라 해도 삼성 네임 밸류가 있는 만큼 그 수준엔 어울리게 했어야 하는데 이서현의 패착이라 볼 수 있다. 다만 비판을 받고 난 후 2010년대 중반부턴 패션 트렌더들과의 콜라보 협업 등을 전개하고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에잇세컨즈]] 항목 참조하자. 2018년 12월 삼성 내부 인사를 통해 삼성재단 이사장과 [[리움미술관]] 운영위원장으로[* 사실상의 관장 역할이나 다름없다. 리움 관장은 2017년 3월까지 어머니 [[홍라희]] 여사가 맡았으나 이모 홍라영 총괄부관장과 함께 물러났다.] 자리를 옮긴 것이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서현 사장이 주도하던 에잇세컨즈는 물론 삼성물산에서 매출 비중이 5% 내외로 규모가 작던 삼성물산 패션부문이 아예 정리되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재계에서 돌기도 했다.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105500|이서현 떠난 삼성물산 패션 사업의 앞날은 어떻게 될까]]. 다만 기우였는지 이후에도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전문경영인 체제로 유지되고 있다. 되려 2022년 들어서 기나긴 적자를 뒤로하고 흑자 전환에 성공하기까지 했다.[* 굳이 사업정리를 할 필요는 없는게, 어차피 삼성물산은 (순)이익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쪽은 [[삼성생명]]과 [[삼성전자]]의 대주주''', 즉 [[지주회사]]로써의 역할이 강하다 보니 굳이 정리할 필요성이 없다.--동생들꺼는 그래도 남겨줘야지--] == [[범삼성가|가족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범삼성가)] == 여담 == * 목소리를 듣기 어렵다. 오빠 [[이재용]]과 언니 [[이부진]]은 대외적인 활동을 하지만 이서현은 말이 없고 조용한 성격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신비로운 이미지가 있다. * 눈썹 모양이 아치형이다. 패션은 글로시하게 입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파슨스 디자인 스쿨]] 출신이다. 이 대학은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Central Saint Martins), 벨기에의 안트베르펜 왕립예술학교(Antwerp Royal Academy of Fine Arts)와 더불어 세계 3대 패션스쿨으로 불리며, 문재인 제19대 대통령의 아들 문준용씨도 다닌 유명 대학교다. * 삼성가 4남매 중에서 유일하게 결혼 생활을 하고 있다. 오빠 [[이재용]]과 언니 [[이부진]]은 나란히 이혼했고 동생인 [[이윤형]]은 안타깝게도 20대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서현 사장의 남편은 [[동아일보]] [[김병관(언론인)|김병관]] 전 회장의 차남인 [[김재열]] [[제일기획]] 스포츠사업총괄 사장이다.[* 김재열은 이재용의 중학교 친구라고 한다. 즉 오빠의 친구와 결혼하게 된 셈.] [[동아일보]]와 [[채널A]]는 형인 [[김재호(언론인)|김재호]] [[고려중앙학원]] 이사장이 경영하고 있다. * 그래서인지 자녀 숫자는 [[이재용|오빠]], [[이부진|언니]]의 자녀들을 합한 숫자보다 더 많다.[* 이재용은 1남 1녀, 이부진은 외동아들을 두고 있다.] 보통 3세대 재벌들은 자녀들을 많이 두는 편이 아닌데, 이서현은 '''무려 4명'''이나 되는 자녀들을 두고 있는 다둥이 엄마다. 그리고 이서현의 자녀들 중에는 오빠, 언니네 자녀들보다 나이가 많은 경우가 꽤 있다.[* 이서현의 딸인 김지이 양(2001년생)과 김지수 양(2003년생)의 사촌 중에서 그녀들보다 연장자는 이지호 군(2000년생) 뿐이며, 외사촌인 이원주 양은 2004년생으로 지이-지수 자매보다 어리고 김지후 양보다는 연상이다. 이종사촌인 임동현 군은 2007년생으로 이서현의 막내아들인 김성준 군과 동갑이고 이서현의 삼녀인 김지후 양은 이 둘보다 한 살 연상인 2006년생. 정리하면 이건희 - 홍라희 부부의 손자녀를 나이 순으로 정렬하면 이지호 > 김지이 > 김지수 > 이원주 > 김지후 > 김성준 = 임동현.] * 2008년 [[삼성]]의 비자금을 폭로하였던 [[김용철(1958)|김용철]] 변호사의 저서 [[삼성을 생각한다]]를 보면, [[이건희]] 가족이 서민들의 실물경제에 얼마나 둔한지 이야기하면서 이서현을 예시로 한 짧은 일화를 언급하는데, "100만원 짜리 옷을 만들어봤자 누가 사 입겠어?"라는 말을 했다는 부분이다. 이 발언은 "100만 원씩이나 나가는 옷을 누가 사 입겠어?"라는 뜻이 아니라 "100만원밖에 안 하는 옷을 누가 사서 입겠어?"라는 뜻이다.[* 아무리 재벌가 자녀로 자랐어도 이 정도로 개념이 없다는 것은 이상한 부분이 있는데, 애초부터 이서현이 부유층을 타겟으로 정했다는 가정 하에 이렇게 말한 것일 수는 있다. 물론 저 말은 2000년대 초반 당시의 물가 수준으로 100만원이라는 말이다. 지금의 100만원에 해당하는 가치가 아니다.] 그 외 저서를 보면 “이서현과 김재열이 결혼할 당시, 김재열의 결혼 예물 시계는 세계 3대 명품 시계 가운데 하나인 [[바쉐론 콘스탄틴]]이었다. 입고 다니는 양복은 소매까지 모두 수작업으로 스티치(바느질)된 수제 양복이었다”고 언급된 구절도 있다.[* 단, 김용철이 순수하게 내부 고발자인가는 이론이 분분하고 책 자체도 과장이나 오류가 있다는 정황이 밝혀지고 있어서 다 믿기는 어렵다.] * 2017년 5월, 미국의 연예매체인 '트렌드 체이서'에서 아름다운 여성 억만장자 10인을 뽑았는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06/0200000000AKR20170506003500075.HTML?input=1195p|이서현도 그 중 한 명으로 뽑혔다]]. 아시아인으로서는 유일했다. * 오빠 이재용이 할아버지 [[이병철]]을 닮고 언니 [[이부진]]은 아버지 [[이건희]]를 닮은 반면 이서현은 어머니 [[홍라희]]를 닮았다. * 2020년 4월 오빠인 [[이재용]] 삼성 회장 소유의 주택을 매입했다.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주택이고 매입하기 2년전 건물은 철거되어 빈터만 남은 상태라서, 새 주택 건축을 위해 기초공사를 하던 중에 무덤이 발견되었다. 문화재청의 의뢰로 한 업체에서 발굴조사를 한 결과 무덤이 무려 61기나 발견되었다. MBC의 보도에 의하면, 해당 주택이 위치한 서울 용산구 일대에 조선시대 중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거대한 공동묘지가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375939_35744.html|#1]] [[https://imnews.imbc.com/newszoomin/newsinsight/6375796_29123.html|#2]]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376335_35744.html|#3]] 사실 신도시, 유원지, 공원 등을 짓다가 무덤이나 시신이 발견되는 일은 종종 일어난다. 멀리는 삼국시대 고분부터 가깝게는 6.25 당시 사망한 사람의 시신까지 발견되곤 한다. 이 경우는 유명 재벌가의 주택 자리에서 무덤이 수십 기가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사람들 관심이 더 쏠릴 뿐이다. * 브랜드 '알라이아'의 가방을 좋아해서 들고 다니는 모습이 자주 포착된다. [[https://tv.news1.kr/video/?17281&cid=82|#]] [[분류:대한민국의 여성 기업인]][[분류:1973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경주 이씨 판전공파]][[분류:삼성]][[분류:범삼성가]][[분류:경기초등학교 출신]][[분류:파슨스 디자인 스쿨 출신]][[분류:기업인 자녀]][[분류:한국의 정치인 자녀]][[분류:서울예술고등학교 출신]][[분류:예원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성 대기업 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