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스타팅 포켓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FFFFFF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2> [[파일:icon0001_f00_s0.png|width=40]] '''0001 이상해씨''' || [[파일:icon0002_f00_s0.png|width=40]] 0002 [[이상해풀]] || ||<#389a02><-3> {{{#FFFFFF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1><-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1세대#관동도감 목록|{{{#FFFFFF 관동도감}}}]] || ||<-2> [[파일:이상해씨 도트.png]] '''001 이상해씨''' || [[파일:이상해풀 도트.png]] 002 [[이상해풀]]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2세대#성도도감 목록|{{{#FFFFFF 성도도감}}}]] || || [[파일:잠만보 도트.png]][br]230 [[잠만보]] || [[파일:이상해씨 도트.png]] '''231 이상해씨''' || [[파일:이상해풀 도트.png]] 232 이상해풀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3세대/비노출 호연도감|{{{#FFFFFF 호연도감(비노출)}}}]]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386MS.png]][br]211 [[테오키스]][*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ORAS]] 호연도감 기준. 이상해꽃 계열은 ORAS 호연도감에 등재되어있지 않으므로, 이전 순서는 테오키스가 맞다.] || [[파일:이상해씨 도트.png]] '''203 이상해씨''' || [[파일:이상해풀 도트.png]] 204 [[이상해풀]]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6세대#센트럴칼로스도감|{{{#FFFFFF 센트럴칼로스도감}}}]]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301MS.png]][br]079 [[델케티]] || [[파일:이상해씨 도트.png]] '''080 이상해씨''' || [[파일:이상해풀 도트.png]] 081 [[이상해풀]]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가라르도감 목록|{{{#ffffff 가라르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갑옷섬도감(DLC)|갑옷섬]] || || [[파일:589스위치아이콘.png]] 067 [[슈바르고]] || [[파일:이상해씨 도트.png]] '''068 이상해씨''' || [[파일:이상해풀 도트.png]] 069 [[이상해풀]] || }}}}}}}}} || }}} ||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진화|진화]][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2> [[파일:001 이상해씨.png|width=50%]] || || 이상해씨 || [anchor(앵커-기본 정보)] ||<-6> {{{#FFFFFF 기본 정보}}} || || 이름 || 도감 번호 || [[포켓몬스터/타입|{{{#FFFFFF 타입}}}]] || || [[파일:icon0001_f00_s0.png|width=40]][br]'''이상해씨''' [br] フシギダネ(후시기다네) [br] Bulbasaur || 전국: 0001[br]성도: 231[br]호연: 203^^RSE^^[br]센트럴칼로스: 080[br]가라르: 068^^갑옷섬^^ || [include(틀:풀타입)][br][include(틀:독타입)] || [anchor(앵커-특성)] ||<-3> [[포켓몬스터/특성|{{{#FFFFFF 특성}}}]]{{{#FFFFFF ([[포켓몬스터/특성#s-1.1|{{{#FFFFFF 숨겨진 특성}}}]]은 *)}}} || || [[포켓몬스터/특성/ㅅ#심록|심록]] || HP가 ⅓ 이하일 때 풀 타입 기술의 위력이 1.5배가 된다. || || *[[포켓몬스터/특성/ㅇ#엽록소|엽록소]] || 날씨가 [[쾌청(포켓몬스터)|쾌청]] 상태일 때 스피드가 2배가 된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FFFFFF 세부 정보}}} || || 포켓몬 || 분류 || 신장 || 체중 || 포획률 || || 0001 이상해씨 ||<|4> 씨앗 포켓몬 || 0.7m || 6.9kg || 45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카운트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87.5% [br] 암컷: 12.5% || 괴수, 식물 || 20 || 1,059,860 || [anchor(앵커-진화)] ||<-6> [[포켓몬스터/진화|{{{#FFFFFF 진화}}}]] || ||<#389a02> {{{#FFFFFF 진화}}} || [[파일:Bulbasaur_EpE.gif|width=45]][br]0001 이상해씨 || 레벨 16[br]→ || [[파일:Ivysaur_EpEc.gif|width=90]][br]0002 [[이상해풀]] || 레벨 32[br]→ || [[파일:Venusaur_EpEc.gif|width=120]][br]0003 [[이상해꽃]] || [anchor(앵커-방어 상성)] ||<-4>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2배 || 1배 || 0.5배 || 0.25배 || ||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악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풀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 [[종족치|{{{#FFFFFF 종족치}}}]] || || 포켓몬 || HP || 공격 || 방어 || 특수공격 || 특수방어 || 스피드 || 합계 || || [[파일:icon0001_f00_s0.png|width=40]][br]이상해씨 || 45 || 49 || 49 || 65 || 65 || 45 || 318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icon0001_f00_s0.png|width=40]][br]{{{#FFFFFF 이상해씨}}}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 [[파일:icon0001_f00_s0.png|width=40]][br]{{{#FFFFFF 0001 이상해씨}}} || || 레드/그린/FR ||<|2>태어났을 때부터 등에 식물의 씨앗이 있으며 조금씩 크게 자란다. || || 소드 || || 블루/LG ||<|2>태어났을 때부터 등에 이상한 씨앗이 심어져 있으며 몸과 함께 자란다고 한다. || || X || || 피카츄 ||<|2>며칠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아도 건강하다![br]등에 있는 씨앗에는 많은 영양분이 있어서 문제없다! || || 레츠고! 피카츄/이브이 || || 금/HG ||등의 씨앗 안에는 영양이 가득하다. 씨앗은 몸과 함께 커진다. || || 은/SS ||태어날 때부터 등에 씨앗을 짊어지고 있다. 몸이 크게 성장함에 따라 씨앗도 커진다. || || 크리스탈 ||<|2>태어나서 얼마 동안 등의 씨앗에 담긴 영양을 섭취하며 자란다. || || 실드 || || RSE/ORAS ||<|2>양지에서 낮잠 자는 모습을 볼 수 있다.[br]태양의 빛을 많이 받으면 등의 씨앗이 크게 자란다. || || 포켓몬 GO || || DPPt/BDSP ||<|3>태어나서부터 얼마 동안은 등의 씨앗으로부터 영양을 공급받아서 크게 성장한다. || || BW/BW2 || || Y || ||<-2>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 소개 == 전국도감의 '''첫 장'''에서 '''1번'''으로 배정되었으며 '''최초'''의 풀 포켓몬이자 '''1세대''' 즉 '''최초의 풀 타입 [[스타팅 포켓몬/1세대|스타팅 포켓몬]]'''이라는 기념비적인 포켓몬이다. 초기 모습인 이상해씨만 [[니시다 아츠코]]가 디자인했다.[* [[https://www.pokemon.com/us/pokemon-news/creator-profile-the-creators-of-pikachu/]]] 1세대 레드/그린/[[포켓몬스터 블루|블루]]/[[포켓몬스터 피카츄|피카츄]]와 3세대 [[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리프그린|파이어레드/리프그린]]의 [[주인공(포켓몬스터)|주인공]] [[레드(포켓몬스터)|레드]]가 스타팅으로 [[거북왕|꼬부기]]를 고르면 [[라이벌(포켓몬스터)|라이벌]]이자 이후 [[챔피언(포켓몬스터)|챔피언]]이 되는 [[그린(포켓몬스터)|그린]]이 이상해씨를 고른다. 이상해씨 진화군의 일칭은 모두 [[일본어]]식 말장난으로, 순서대로 보면 * 이상해씨: ふしぎ種 - ふしぎだね - 不思議種(이상한 씨/이상하네) * 이상해풀: ふしぎ草 - ふしぎそう - 不思議草(이상한 풀/이상한 것 같아) * 이상해꽃: ふしぎ花 - ふしぎばな - 不思議花(이상한 꽃/이상한 이야기) == 모티브 == 모티브가 [[단궁류]]인 [[디키노돈]]이라는 주장은 루머로, * 영칭에 공통적으로 ~saur가 들어간다는 점 * 두상을 제외하면 파충류에 가까운 디자인[* 이빨이 있고 피부가 거칠고 다리가 짧고 굵다는 점에서 파충류가 모티브이며, 여기에 귀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 포유류형 파충류일 거라는 추측이었다.] * 역대 풀 스타팅이 모두 고생물을 모티브로 했다는 가설 이 세 가지가 절묘하게 맞물려 공식 모티브로 와전된 것이다. [[스기모리 켄]]에 의하면 [[개구리]]라고 한다.[* 따라서 1세대의 [[강챙이|올챙이]]가 끝끝내 [[왕구리|개구리]]로 진화하지 못했던 이유도 성립이 된다. 이상해씨 라인과 모티브가 중복되니까. 이상해꽃의 경우 피부가 다소 울퉁불퉁한 등 개구리보다는 [[두꺼비]]의 이미지가 더 많은 것으로 보아 두꺼비 역시 어느정도 참조한 듯하다.] 물론 대략 3~4세대까지만 해도 국내 일반인 중에는 공룡 이외의 고생물에 대해 아는 사람이 많이 없었기 때문에 이상해씨 라인의 모티브를 개구리 내지는 두꺼비로 여기는 편이었다. 사실 자세히 생각하면 [[모크나이퍼]]의 모티브가 하스트독수리라는 등 처음부터 어느 정도 허술함이 있었다. 여하튼 파충류가 아닌 개구리가 모티브인 것이 확실해짐에 따라 풀 스타팅 고생물 모티브설은 거짓으로 판명날 가능성이 높다. 애초에 [[토대부기]]의 모티브가 [[에드몬토니아]]라거나 [[고릴타]]의 모티브가 [[기간토피테쿠스]]라거나 하는 것들도 이 설에 알맞게 끼워맞춰진 것이지, 실제로는 처음부터 그냥 현생 대형 육지거북과 고릴라가 모티브였을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고지라 시리즈의 악역 괴수 [[비오란테]] 또한 참조한 것으로 보인다. 최초로 만들어진 포켓몬부터 [[울트라 시리즈]]의 [[해일괴수 시고라스]]를 닮은 [[코뿌리]]의 경우에서 알 수 있듯 포켓몬에 괴수물과 관련된 케이스가 많은 점을 고려하면, [[안기라스]]-[[마기라스]], [[고지라]]-[[그란돈]], [[모스라]]-[[불카모스]], [[킹기도라]]-[[삼삼드래]], [[바라곤]]-[[니드킹]], [[에레킹]]-[[액스라이즈]], [[라돈(고지라 시리즈)|라돈]]-[[리자몽]] 등 괴수를 모티브로 한 포켓몬은 매우 많다. 실제로 아시노 호수에서 첫 등장했을 때 비오란테의 꽃봉오리 모양이 이상해풀 배부의 꽃과 매우 닮았다. ==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 무인편 10화에서 첫 등장. 본래는 포켓몬 보육원 소속인 동료 포켓몬들을 지키는 보디가드격 포켓몬이였으나 [[한지우]]가 잡았다. 성별은 수컷으로 시크한 성격이다. 도중에 이상해풀로 진화할 기회가 있었지만 이상해씨들의 단체 진화 의식을 거부하고 스스로의 가치관을 지키기 위해 이상해씨로 남는다.[* 이 클리셰는 [[나빛나]]의 [[팽도리]]에게 이어진다.] 226화에서 오박사의 연구소 포켓몬들을 돌보기 위해 하차하였으나, 성도리그가 시작될 때 예선전에서 쥰이치의 [[메가니움]]과 배틀하였다. 여기서의 성우는 [[타라 제인 샌즈]]. 무인편 20화 '''유령 포켓몬과 여름 축제!!''' 에피소드에서는 이족보행하는 이상해꽃이 등장했다. 해당 화는 [[고오스]]가 처음 나온 에피소드이기도 한데, 지우의 꼬부기와 이상해씨 앞에서 '후시기바나(이상해꽃)+카메쿠스(거북왕)=후시기쿠스(이상해왕)'라는 포켓몬의 환각을 보여주어 기죽게 만들었다. AG 73화에서 [[봄이(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봄이]]가 이상해씨를 잡았다. 성별은 암컷이며 어려서 철이 없다. 그동안 이상해씨는 다른 스타팅인 파이리와 꼬부기에 비해 인상이 다소 날카로워보이고, 지우의 이상해씨의 시크한 성격 때문에 1세대 스타팅 3마리 중 귀여움은 가장 떨어진다는 평가가 많았는데, 봄이의 이상해씨가 등장하면서 이상해씨도 한껏 애교를 부리면 굉장히 귀엽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후에 지우가 연구소에서 데려온 이상해씨와 만났으며, 이 때부터 지우의 이상해씨가 일종의 선배 노릇을 하게 된다. 배틀프런티어 편에서는 지우가 배틀피라미드 브레인 기선과의 3차전에서 리자몽, 꼬부기, 피카츄와 함께 보냈다. 이후 DP 182화, BW 마지막화, SM 관동편 때 짧게나마 등장하였다. DP에서 포켓몬 콘테스트 윤진컵이 열렸을 때 봄이의 이상해씨가 이상해꽃으로 진화한 모습으로 나온다. XY에서는 [[사나(포켓몬스터)|사나]]가 이상해씨를 데리고 있었으며, 이상해풀로 진화시켰다. 67화의 오박사 도감 홀로캐스터 코너에서는 이상해씨 소개 도중에 이상해씨가 채찍을 휘둘러 오박사를 '''벽치기한다.''' 메가이상해꽃은 메가거북왕처럼 최강 메가진화에서 알랭의 상대 포켓몬으로 등장했다.키스톤과 메가스톤을 건 시합의 첫번째 트레이너의 포켓몬으로 등장했다.여기서,리자몽의 화염방사를 특성으로 견뎌내고,베놈쇼크로 리자몽을 중독시키고 덩굴채찍(추정)으로 붙잡고 내동댕이 치고 씨폭탄으로 공격했지만 드래곤크루에 당해 리타이어됐다. AG에 나온 배틀팰리스의 브레인인 [[우근]]과 SM에 나온 [[쿠쿠이박사(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쿠쿠이박사]]가 이상해꽃을 데리고 있다. W 3화에서는 갈색시티 거리에 대량의 이상해풀과 이상해씨가 어딘가로 이동한다. 이동 도중 지우와 고우가 다른 길로 샌 이상해풀 한 마리를 쫓다보니 포켓몬 지부로 향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상해풀 무리는 태양 에너지를 받아 진화하기 위하여 지부 옥상으로 향하는데 로켓단이 이들을 잡으려 했지만 지우의 활약으로 이상해풀 무리는 안전하게 이상해꽃으로, 이상해씨는 이상해풀로 진화할 수 있었다. 이로 미루어보면 애니판 한정으로 이상해씨 계열은 진화를 위해서는 레벨업 외에도 또다른 별도의 조건을 갖춰서 진화하는 듯하다.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 1세대 스타팅답게 마그나 게이트를 제외하고 모든 시리즈에서 스타팅으로 고를 수 있다. 이는 1세대 동문인 파이리, 꼬부기나 2, 3세대 후임인 치코리타, 브케인, 리아코, 나무지기, 아차모, 물짱이에게도 모두 해당된다. 탐험대 시리즈에서는 풀 타입 충전형 고위력기인 솔라빔을 배우는 데다가 지능그룹이 F여서 다재다능으로 PP도 늘리고, 모으기 필요 없음 덕분에 턴 낭비 없이 솔라빔을 막 쏘아댈 수 있는 무시무시한 녀석. 거기다 요령이 좋아까지 터지면 모으기 필요 없음의 엄청난 PP 소모도 어느 정도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디버프기인 각종 가루 기술들과 회복기인 광합성, 방 전체기인 지진과 직선기인 오물폭탄, 기관총, 잎날가르기 등 부가무장도 충실하다. 거기에 스타팅 포켓몬 중 미진화 상태로도 유일하게 복합 타입이기 때문에[* [[나몰빼미]]는 아직 불가사의 던전 시리즈에 등장하지 않았다.] 구미를 먹었을 때의 지능상승도도 다른 스타팅에 비해 높다. 스타팅 포켓몬들의 특혜로 말미암아 시간/어둠의 탐험대부터 전용아이템이 존재했다. 이상해씨 3성 전용아이템인 리프미산가는 체력을 10 증가시켜 주며 이상해꽃 3성 전용아이템인 솔라밴드는 [[대짱이]]의 머드뱅글처럼 불꽃 타입 기술을 무효로 하고 체력을 회복시키는 유용한 아이템. 하지만 이중 특기할 만한 효과를 지닌 것은 이상해풀 3성 전용아이템인 플랜트링이다. [[흡수(포켓몬스터)|흡수]] 계열 기술들의 회복 효율을 증폭시키는 효과가 있어서, 입힌 데미지를 고스란히 회복으로 돌릴 수 있다. [[기가드레인]]을 카테킨으로 강화하고 마음껏 써보자. 날씨 때문에 회복률이 불안한 광합성 대신 플랜트링을 장만하고 흡수 기술들을 부가무장으로 선택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다. 초 불가사의 던전에서는 지능그룹이 사라져 더 이상 1턴만에 발사하는 솔라빔은 기대할 수 없지만, 대신 자력으로 배우는 기술 가운데 [[꽃보라]]가 방 전체기로 등장했다. 메가진화는 덤이다. === [[포켓몬 셔플]] === 타입: 풀 포획률: 기본 75% 등장 스테이지: 2([[포켓몬 셔플#s-4.1.1|블랑코 하버]]) 추천도: X 엑스트라 스테이지 7에서 획득 가능하다. 기본 공격력은 60으로 양호하며 맥스레벨업도 최대 20개까지 줄 수 있으나, 능력이 하필 최대 체력에 비례한 데미지를 주는 파워드레인인데다 스킬체인지를 적용할 수도 없어 서브로는 쓸모가 없다. 메가스톤은 과거에는 랭킹 스테이지에서 획득 가능했고, 미션 카드 업데이트 이후에는 미션 카드 15에서 별 7개(맨 마지막의 [[대짱이]] 미션 이외의 모든 미션 클리어) 성공 시 획득할 수 있다. 메가진화 효과는 좌우의 포켓몬 5마리(=가로줄)를 전부 없애는 것으로 그렇게 좋다고 보긴 힘들다. 다만 풀 타입에서 메가진화가 가능한 포켓몬이 이상해꽃과 [[나무킹]] 뿐이고, 나무킹의 메가진화 효과는 자신을 비롯한 풀 타입 포켓몬을 자신으로 바꾸는 것이라 운을 심하게 타므로 풀 타입 리더를 써야 한다면 울며 겨자먹기로 이 녀석을 써야 한다. 메가스킬업을 3개까지밖에 줄 수 없지만 그래도 다 먹여두면 메가진화를 빠르게 할 수 있다는 것이 위안거리. === [[Pokémon GO]] === 100CP는 레벨15기준447, 레벨20기준637, 레벨25기준796, 레벨40기준1115이다. ===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포켓몬 트레이너(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중간 진화체인 이상해풀이 포켓몬 트레이너의 포켓몬으로 나온다. 스피릿으로도 등장한다. === 포켓몬 퀘스트 === 처음에 고를 수 있는 포켓몬 중 하나로 나온다. 극초반에 탱커로 활용할 수 있고 중반에도 그럭저럭 괜찮게 쓸 수 있다. === [[Pokémon UNITE]] === [include(틀:Pokémon UNITE 플레이어블 포켓몬)]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상해꽃(Pokémon UNITE))] == 기타 == * [[파일:attachment/리프/b01.jpg|width=250px]] [[포켓몬스터 레드·그린|레드·그린]] 발매 당시의 공식 일러스트엔 항상 [[레드(포켓몬스터)|레드]]의 포켓몬으로 나왔다. 기념비적인 도감번호 1번과 함께, [[나몰빼미]]가 나올 때까지 20년간 시작부터 두 타입을 동시에 갖고 있는 유일한 스타팅 포켓몬이었던 것도 이런 보정이 었었던 듯. [[포켓몬스터 레츠고]]에서 나오는 레드도 이상해꽃을 쓴다. 또한 [[포켓몬스터 스페셜]]의 주인공 [[레드(포켓몬스터 SPECIAL)|레드]]도 이상해꽃 사용자. * 첫 번째 스타팅이지만 이례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바로 단일 타입인 파이리, 꼬부기와 달리 혼자만 시작부터 풀 + 독의 복합 타입이라는 것. 의외로 이 특이점은 7세대의 [[나몰빼미]]가 나오기 전까지 유일한 케이스였다. * [[포켓파를레]]에서 이상해씨, 이상해풀 시절에는 등의 식물을 만지면 싫어하고 얼굴 쪽을 좋아하는데, 이상해꽃이 되면 반대가 된다. * [[닌갤]]의 10회 닌자대전에서 모 용자가 이상해씨를 라인업에 넣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해당 갤러는 16강에서 탈락하였다. * 영문 포켓몬 위키 중 가장 큰 사이트인 [[불바피디아]]는 이상해씨의 영문 이름인 Bulbasaur에서 따왔다. * 2017년 1월에 명명된 디키노돈류 [[단궁류]] 중에 학명이 이상해씨의 영칭과 비슷한 단궁류가 Bulbasaurus phylloxyron이라고 명명되었다. [[https://peerj.com/articles/2913/|#]] 비록 저자들은 포켓몬을 염두에 두고 이 이름을 짓지 않았다고 하며 부정하지만 종명 phylloxyron을 해석하면 이상해씨 계열이 구사하는 잎날가르기의 영문명(Razor Leaf)과 동일한 뜻이라, 의도적인 작명일 것이라고 확신되는 상황이다. * 대형 봉제인형이면 몰라도 가방고리 인형을 구하기 어려운 편이다. * [[파일:레츠고 시리즈 이상해꽃.gif]] 일반적으로 의식하고 있지는 않지만 어쨌든 [[양서류]] 계열이라 폴짝폴짝 뛰어서 이동한다. 반면 불가사의 던전 시리즈에서는 엉금엉금 기어서 이동한다. [[파일:이상해씨 헬스장.jpg]] * 포켓몬스터 W에 나온 이상해씨가 이상해꽃들한테 둘러싸인 애니 짤이 헬린이를 보는 헬스 고인물이라는 헬스장에서 흔한 상황을 묘사하는 짤방으로 쓰이고 있기도 하다(...) * [[세대 차]]를 알 수 있는 포켓몬이기도 하다. 하필 이름이 이상해+씨인 바람에 원로 코미디언&방송인 [[이상해]]로 혼동되기도 한다. [[김보경(1990)|김보경]]의 이상해씨 성대모사[* 본인이 가장 좋아하는 포켓몬인 듯.]를 중년 이상 연예인들은 개그맨 이상해의 성대모사라고 착각하기도(...)... 역으로 이상해에 대한 설명 중 이상해씨라고 소개해 젊은 세대에게 혼동을 부르기도 한다. * 이상해씨가 '이상해氏'라는 의미인 줄 알고 있는 사람이 은근 있다. [include(틀:2021 포켓몬 데이 총선거)] [include(틀:2021 포켓몬 데이 총선거/관동)] * 2021년 총선거에서는 이상해씨가 전체 27위, 관동 부문 5위를 기록했고, 이상해꽃이 관동 부문 7위를 기록했다. 지난 선거에 비해서 선전했다고 볼 수 있다. * [[배스킨라빈스]]에서 2022년에 펼친 포켓몬 콜라보에서 더블 사이즈 패키지 디자인으로 나왔다. * [[소드실드]]에서 플레이어가 [[꼬부기]]를 골랐을 경우 [[반디나]]가 이상해씨를 사용한다. == 삽화 == ||<-2> '''{{{#fff 레드·그린·블루·피카츄}}}''' || || [[파일:001Bulbasaur_RB.png|width=150]] || [[파일:001Bulbasaur_RG.png|width=150]] || ||<-2> '''이상해씨''' || == 관련 문서 == [include(틀:포켓몬스터 시리즈 챔피언들의 에이스 포켓몬)] * [[스타팅 포켓몬]] == 둘러보기 == [include(틀:포켓몬스터/챔피언들의 에이스 포켓몬)]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상해꽃, version=1084, title2=이상해씨(포켓몬 셔플),version2=4)] [[분류:1세대 포켓몬]][[분류:스타팅 포켓몬]][[분류:풀타입 포켓몬]][[분류:독타입 포켓몬]][[분류:짤방/애니메이션]][[분류:이상해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