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의 육군 중장(학군28기), rd1=이상철(학군28기))] ||<-5><:>{{{+1 [[청와대|[[파일:청와대 로고.svg|height=40]]]] [[국가안보실|{{{#003478 '''국가안보실'''}}}]] [[국가안보실 차장|{{{#003478 '''제1차장'''}}}]]}}}|| ||<-2><:>[[박근혜 정부|{{{#FFFFFF '''박근혜 정부'''}}}]]||<-3><:>[[문재인 정부|{{{#FFFFFF '''문재인 정부'''}}}]]|| ||<:>2대[br][[조태용]]||<:>→||<:>''' 초대[br]이상철 '''||<:>→||<:> 2대[br][[김유근]] || ||<-2> '''대한민국 초대 국가안보실 제1차장[br]{{{+1 이상철}}}[br]李尙撤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image.edaily.co.kr/PS17052400709.jpg|width=100%]]}}} || ||<|2> '''출생''' ||<(> [[1957년]] || ||<(> [[전라남도]] [[나주시]] || || '''최종 학력''' ||<(> [[중경고등학교]] {{{-2 (졸업)}}}[br][[육군사관학교]] {{{-2 (38기)}}}[br][[경남대학교]] {{{-2 (정치학 / 박사)}}} || || '''최종 계급''' ||<(> [[준장]] ([[대한민국 육군]]) || || '''약력''' ||<(> 국방부 군비검증통제단장[br]6자회담 국방부 대표[br]국방부 남북군사실무회담 수석대표[br]국방부 남북장성급 군사회담 대표[br][[성신여자대학교]] 안보학 교수[br][[국가안보실]] 1차장[br][[전쟁기념사업회]] 회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의 전 [[군인]], 전 정무직 공무원. 군 복무시절 최종 계급은 [[준장]]이다. [[문재인 정부]]의 [[국가안보실]]에서 안보전략, 국방개혁, 군비통제 등을 관장하는 제1차장(차관급)으로 임명되었다. 2019년 12월 전쟁기념사업회(전쟁기념관)회장으로 취임했다. == 생애 == [[파일:external/img.etoday.co.kr/20170524044400_1068442_200_296.jpg]] 전라남도 나주 출신으로 1978년 [[육군사관학교]] 38기로 입교했고 1982년에 졸업과 동시에 [[소위]]로 임관했다. 주로 대북관련 부서에서 근무했으며, [[조영길]]의 뒤를 이으며 [[김도균(1965)]], [[조용근]]의 선배 대북전문가로 볼 수 있다. 국방부 군비검증통제단장을 지냈고, [[노무현 정부]] 당시 6자회담 국방부 대표, 국방부 남북군사실무회담 수석대표, 국방부 남북장성급 군사회담 대표 등을 지내어 국방부 내에서는 대표적인 북한, 협상 전문가로 명성을 얻었다. 특히, 군비통제 등의 분야에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있다. 2006년 9월 준장으로 예편했다. [[이명박 정부]]에서도 이어 요직을 맡아 북한과 접촉을 가졌다.[* 준장 진급은 참여정부에서 했다.] 이 사실은 되게 특이한 경로로 알려졌다. [[이명박]]과 [[박근혜]]의 정부 인수인계 과정에서 "MB정부 말기, 북측과 세 차례 접촉"을 했다는 기밀을 그대로 [[최순실]]에게 전해줬고 이것이 [[JTBC]]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입수했던 태블릿에 그대로 담겨]]있었다. 2012년 [[판문점]]에서 리선권 당시 북한 국방위원회 대좌를 만나 남북한 현안을 논의한 바 있다. === [[문재인 정부]] === [[문재인 정부]]의 첫 국가안보실 1차장을 맡게 되었다. [[국가안보실장]]에 임명된 [[정의용]]이 외교관 출신인 점을 고려하여, 군 출신인 이상철을 임명하므로써 조화를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면서도 작전, 전력건설보다는 군비통제, 협상 부문을 담당했던 군 인사를 임명하여 문재인 정부의 청와대 외교안보 라인이 전반적으로 대화, 협상파의 성격을 띠고 있음을 재확인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현역 시절이었던 2002년, '한미동맹의 비대칭성'을 주제로 쓴 경남대 정치학 박사 논문에서는 [[전작권]] 환수, [[한미연합군사령부|한미연합사령부]]에서 한국군의 역할 강화를 주장하기도 했다. 이 점에서 '임기 내 전작권 전환'을 공약으로 내건 문재인 대통령의 의중을 적극 반영할 것이라는 전망을 받는다. 2019년 2월 28일, 제1차장 자리에서 물러났다. 2019년 12월, 전쟁기념사업회(전쟁기념관)회장으로 취임했다. == 여담 == * 육사 38기 동기생으로는 [[임호영]], [[김용현(군인)|김용현]], [[정연봉]], [[최병로]], [[조현천]] 등이 있다. * 동명이인인 군인 [[이상철(학군28기)]]이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1957년 출생]][[분류:나주시 출신 인물]] [[분류:중경고등학교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국가안보실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