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SK 와이번스의 야구선수, rd1=이상백(야구선수), other2=동명이인으로 1886년에 태어난 독립유공자, rd2=이상백(1886))] ---- [include(틀: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 [include(틀:이달의 문화인물)] ---- [include(틀:국민훈장 무궁화장)] ---- [[파일:/image/002/2013/06/14/50130614061739(0)_59_20130614072105.jpg]] 李相佰 [[1904년]] ~ [[1966년]] [목차] == 개요 == [youtube(gINRIUkxqCs)]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독립운동가]], 체육인, 사회학자, 사학자이다. 호는 상백(想白), 백무일재(百無一齋)이다. == 생애 == 1904년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군]] 서상면(현 [[대구광역시]] [[중구(대구)|중구]] 서문로2가)에서 태어났다. 맏형은 중국에서 독립운동에 헌신한 [[이상정]](李相定), 둘째 형은 민족 저항시인 [[이상화(시인)|이상화]](李相和), 바로 밑의 막내동생은 수렵인 이상오(李相旿)이다. 1915년 [[경북고등학교|대구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에 유학하여 [[와세다대학]] 문학부 사회철학과에서 사회학과 동양학을 연구하였다. 와세다대학 재학 당시 농구선수로 활동하면서 전일본 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하고, 미국 순회 원정경기를 추진하여 성사시켰다. 이 일로 일본 체육계의 주목을 받아 일본체육협회 임원이 되었고, [[손기정]], [[남승룡]] 등 조선인 선수들의 [[1936 베를린 올림픽]] 출전을 관철시켰다. 1939년 [[베이징]]으로 떠난 후 일제강점기 말기에는 [[여운형]]의 비밀결사 독립운동 단체인 [[조선건국동맹]]에 참여, 활동하였다.[* 주로 [[옌안]]에 있던 [[김두봉]], [[김무정]]의 [[조선의용군]] 쪽과 연락하는 역할이었다.] 해방 직후 [[조선건국준비위원회]]에서 치안대 활동을 이끄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945년 11월에는 조선체육회를 재건하고 여운형을 회장으로 추대하였다. 1946년 국내 최초로 개설된 [[경성대학]] 문리과대학 사회학과의 첫 교수로 부임하였다. 1947년 한국올림픽위원회를 조직하여 [[1948 런던 올림픽]]에 선수단을 출전시켰다. 1964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66년 심근경색으로 타계했다. 이후 그를 기려서 "[[한일전|이상백배 한일(韓日) 대학농구 대회]]"가 열리고 있다. 1974 테헤란 아시안게임부터 1990 히로시마 아시안게임까지 6개 대회에서 [[아시안게임]] 최우수선수에게 '이상백배(杯)'를 수여했다. 1998 방콕 아시안게임부터는 삼성전자가 공식스폰서로 나서면서 대회 최우수선수에게 '삼성 MVP 어워드'가 수여되고 있다. == [[정도전]] 연구 == 1935년 진단학보에 '삼봉인물고(三奉人物考)'라는 [[정도전]]에 대한 첫 논문을 발표하여 정도전 연구의 초석을 놓았으며, 진단학회 소속으로 을유문화사가 출판한 '한국사' 중에서 '조선 건국 부분'을 기술하였고, 문교부 산하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정도전의 '삼봉집' 편집과 발간을 맡아 하였으며, 국사 교과서 편찬에도 참여하여 정도전에 대한 인식을 크게 개선시켰다. 정도전 연구의 대부라고 할 수 있는 인물이다. [[분류:동명이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사회학자]][[분류:한국의 역사학자]][[분류:중구(대구) 출신 인물]][[분류:1904년 출생]][[분류:1966년 사망]][[분류:경주 이씨]][[분류:와세다대학 출신]][[분류:경북고등학교 출신]][[분류:심근경색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