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민중당(2017년) 대표)]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관악구 을|{{{#cfa547 관악구 을}}}]])'''}}} || || 제18대[br][[김희철(정치인)|김희철]] || → || '''제19대[br]이상규'''[* [[통합진보당 해산]] 으로 인한 의원직 상실.] || → || 제19-20대[br][[오신환]]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0020 0%, #E60020)" {{{#ffffff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br]{{{+1 '''이상규'''}}}[br]'''李相奎 | Lee Sang-ky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00137792.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65년]] [[1월 7일]] ([age(1965-01-07)]세) || ||[[충청북도]] [[제천시]] || || {{{#ffffff '''학력'''}}}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2 (공법학 / [[학사]])}}} ||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진보당(2020년))] || || {{{#ffffff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 || {{{#ffffff '''의원 선수'''}}} ||'''1''' || || {{{#ffffff '''의원 대수'''}}} ||[[제19대 국회의원|'''19''']] || || {{{#ffffff '''약력'''}}} ||[[제19대 국회의원]] {{{-1 ([[관악구 을|서울 관악 을]])}}} || || {{{#ffffff '''외부 링크'''}}} ||[[https://www.facebook.com/whitefire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whitefireg, 크기=24)] | [[https://www.youtube.com/user/jinbos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전형적인 [[NLPDR]] 계열 인사다. 과거 학생운동/노동운동에서는 범민족해방파 혹은 자/민/통으로 불렸고 민주노동당에서는 자주파, 통합진보당에서는 당권파로 불렸던 라인. 외부에서는 진보정당에 참여한 [[NLPDR]]계 중에서도 서울연합을 대표한다고 본다. 하지만, 서울연합이 2010년대부터 [[경기동부연합]]의 하위 동맹 파트너로 굴러가기 때문에 이제는 사실상 경기동부의 방계 라인으로 분류된다. == 생애 == 1965년, [[충청북도]] 제천군(현 [[제천시]])에서 태어났다. 북성초 - 대동중 - [[용문고등학교(서울)|용문고등학교]]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공법학과를 졸업하였다. 학교 재학 당시 학생운동에 앞장섰으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생회장을 지냈다. 졸업 후에 노동 현장으로 투신해 인쇄소, 건설 현장 등에서 노동하면서 노동운동을 하였다. === 정계 입문과 국회의원 당선 === [[민주노총]] 산하 민간서비스연맹 정책국장을 하다가 1997년 제15 대 대통령 선거에 민주노총 위원장 [[권영길]]이 [[국민승리21]] 후보로서 출마하자 선거 유세를 맡으면서 현실 정치에 입문했다. 민주노동당에서 줄곧 자주파(NL) 계열에서 활동했고 2010년 서울특별시장 후보로서 출마했으나 민주당 후보 [[한명숙]]과의 단일화 후에 사퇴하고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다. 2012년 [[민주노동당]]이 [[국민참여당]], [[진보신당]]과 통합해 [[통합진보당]]으로 거듭나자 여기에 동참했다. 이적단체 [[민족민주혁명당 사건]]에서 자수한 인사들과 하영옥에 따르면 이상규는 수도권 남부지역사업부를 이끌었다고 한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의 야권 연대에서 통합진보당 몫으로 할당된 [[서울특별시]] [[관악구 을]]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그 후 [[국정원 댓글 사건]] 당시 경찰의 증거은폐 의혹과 군 사이버사령부의 개입 등을 맨처음으로 밝혀내며 진상규명에 앞장섰다. 그러나 2014년 [[통합진보당 해산|소속 정당인 통합진보당이 헌법재판소의 위헌정당심판으로 강제 해산당하며]] 국회의원직을 상실했다. === 의원직 상실 이후 === 위헌정당 해산결정으로 당이 해산되며 의원직을 잃었고, 이로 인해 치러진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였다가 중도에 사퇴하였다. 서울 지역의 역대 국회의원들 중 2021년 기준 마지막으로 진보정당 당적을 보유하던 국회의원이기도 하다. 같은 선거에서 같은 당 소속으로 당선된 [[노회찬]]이 2013년에 국회의원직을 상실한 후[* 노회찬은 1년 후 재보궐선거에서 동작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나 새누리당 후보 나경원에게 패했고 그 후 창원시 성산구로 활동 무대를 옮겼다.] 통합진보당 당적으로 2014년 12월 자당의 해산 시까지 계속 관악구 을 지역구의 국회의원직을 맡았다. [[20대 총선]] 당시에는 서울특별시 내에서 진보당 소속으로 당선된 사람이 없었다. 국회의원직 상실 후에는 배관공으로서 일했다고 한다.[[http://www.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artid=201703281644101&code=115|#]] 다만 정치를 완전히 떠난 것은 아니라고 한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다시 한번 서울 [[관악구 을]] 지역에 [[민중연합당]] 공천을 받아 출마했으나 득표율 1.91%인 4위로 낙선했다. 이윽고 2년 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중당(2017년)|민중당]] 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 후보 경선에 출마하여 같은 당의 후보 김진숙과 경선을 치렀으나, 경선 결과 득표율 44.0%로서 후보 김진숙의 득표율 56.0%에 밀려 끝내 당의 공천을 받지는 못하였다. 2018년 8월에 진행되는 민중당 당직 선거에서 상임대표 후보로 단독 출마했고 9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2019년 재보궐선거]] 후보 등록 현장에서 만난 [[자유한국당]] [[강기윤]] 후보의 어깨를 주무르는 장면이 포착됐다. [[파일:54256961_2375808829137911_4024846254314881024_n.jpg|width=65%]] 보면 알겠지만, [[국공합작|구도가 상당히 묘한지라]] 정의당이 더불어민주당과 단일화하는 것을 맹비난해 온 민중당이 한국당 후보와 친목질이나 하는 게 아니냐는 비아냥이 나왔다. 동등한 위치가 아니라 미묘하게 강기윤이 상석처럼 보이는 것도 그렇고. [* 실은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진보당]]계 인물하고 [[대한민국의 보수정당|보수당]]계 인물하고 친하게 지내는 일은 예전에도 있었다. 그 대표로 [[노회찬]]은 [[늘푸른한국당]] 창당대회 당시 참석한 적이 있으며 늘푸른당 전 대표 [[이재오]]는 노회찬 사망 당시 빈소를 방문한 적이 있다. 그리고 새누리당 7선의원이자 현대중공업 회장인 [[정몽준]]과 통합진보당 소속 노동자 출신 의원인 [[김선동(1967)|김선동]]은 노선이 전혀 다르지만 친하게 지냈다.비록 일반인들의 눈에는 생경하게 보일지 모르겠지만, 당적이 서로 다른 정치인이라 하더라도 사석에서는 살갑게 지내는 예가 잦다. 정당이나 성향이 다른 정치인들끼리 사석에서까지 으르렁대는 경우는 어지간히 사이가 안 좋은 게 아닌 이상 그리 많지 않다. 정치하는 사람이기 이전에 인간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같은 정당이라도 계파가 다를 때 상상 이상으로 험악한 사이인 경우가 많다.] [[2019년 보궐선거]]에서 같은 당 소속 [[손석형]] 후보 대신 [[정의당]]의 [[여영국]] 후보 지지를 선언한 전 [[민주노동당]] 대표 [[권영길]]에게 '''"정신 차려라, 선배로 취급하지 않겠다"'''고 발언했다. 노동계 진보당의 원로와도 같은 인물을 선배로서 취급해 주지도 않는다는 말에 관해 일각에서는 PD계와 완전한 결별을 선언한 것이라는 말도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권영길은 몸만 정의당에 있을 뿐 주로 NL 계열 인사로 분류된다.] 하지만 권영길의 선거를 도우며 권영길의 국회의원 당선에 큰 공헌을 한 입장에선 그럴만도 하다. 2020년 4월 15일 치루어진 21대 총선에서 민중당 비례대표 4번을 배정받아 출마하였으나 민중당이 1% 남짓 득표했기 때문에 원내에 진출하지 못했다. 2020년 6월에 상임대표직을 사퇴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민중당은 [[진보당(2020년)|진보당]]으로 당명을 변경했다. 2023년 1월 25일 진보당 서울시당의 [[제22대 국회의원 선거|2024년 총선]] 지역구 후보자 2차 선출 경선에 [[서울특별시|서울]] [[관악구 을|관악구(을)]] 선거구 예비후보로 등록하였고, 2월 10일에 관악구(을) 선거구 후보로 결정되었다. == 논란 및 사건사고 == === 100분 토론 답변 논란 === 국회의원 당선 직후인 2012년 5월 12일 [[100분 토론]]에서 시민 패널이 [[주체사상]]과 북한의 정권 세습, 인권 침해를 주제로 질문하자 "북한을 가본 느낌은 회색빛이었다. 콘크리트가 색깔이 없어 회색빛이었는데 이런 광경이 충격적이었다."면서 북한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느낌을 피력했지만 사실상 말돌리기로 답변을 거부하는 것으로 비춰지면서 시민 패널에게 심히 비판받았다. 당시 토론에 패널로서 참여했던 [[진중권]]은 '''공직자라면 자신의 사상을 명확하게 국민에게 알려야 할 의무가 있다'''라고 했다. 그런데도 답변을 거부했다.그것 때문에 [[국회의원]]으로서 기본 자질을 망각한 행위라고 비판받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Pkhw1GHYd7A|100분토론 돌직구녀]] 영상을 참조하기 바란다. 하지만 이후 [[http://mn.kbs.co.kr/mobile/news/view.do?ncd=2479818|북한의 핵 보유와 3대 세습을 명백히 비판하였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 - 2011 || 입당 || || [include(틀:통합진보당)] || 2011 - 2015 || 합당[* [[국민참여당]], [[새진보통합연대]]와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4 - 2016 || 정당해산 || || [include(틀:민중연합당)] || 2016 - 2017 || 창당 || || [include(틀:민중당)] || 2017 - 2020 || 합당[* [[새민중정당]]과 합당] || || [include(틀:진보당(2020년))] || 2020 - 현재 || 당명 변경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95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구로 신도림동 || [include(틀:무소속)] || 2,484 (43.12%) || 낙선 (2위) || || || 2002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구로구 제2선거구|구로 2]] ||<|3> [include(틀:민주노동당)] || 3,369 (8.01%) || 낙선 (3위) ||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 973,445 (5.68%) || 낙선(8번) || || || 2010 || [[2010년 재보궐선거#s-2|상반기 재보궐선거]][br]([[제18대 국회의원|국회의원]]) || [[은평구 을|서울 은평 을]] ||<-2> 후보 사퇴[* [[민주당(2008년)|민주당]] [[장상(1939)|장상]] 후보와 단일화로 인한 후보직 사퇴.] || [* 전임자 [[문국현]] 의원직 상실.]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3> [[관악구 을|서울 관악 을]] || [include(틀:통합진보당)] || '''43,158 (38.24%)''' || '''당선 (1위)''' || '''초선'''[* 야권단일후보, 2014.12.19 통합진보당 위헌정당해산 결정으로 의원직 상실.] || || 2015 ||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상반기 재보궐선거]][br]([[제19대 국회의원|국회의원]]) || [include(틀:무소속)] ||<-2> 후보 사퇴 || [* 전임자 [[이상규(정치인)|이상규]] '''본인''' 의원직 상실.]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민중연합당)] || 2,354 (1.91%) || 낙선 (4위) ||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 [include(틀:민중당)] || 295,612 (1.05%) || 낙선 (4번) || ||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19대 국회의원]][[분류:통합진보당 국회의원]][[분류:제천시 출신 인물]][[분류:1965년 출생]][[분류:민주노동당 출신]][[분류:당 대표/대한민국]][[분류:용문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건설국민승리21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진보당(2020년)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