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B1F26 0%, #DB1F26 20%, #DB1F26 80%, #DB1F26)" '''{{{#ffffff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br]{{{#ffffff {{{+1 이상규}}}[br] 李相揆 | Lee Sang Kyu}}}'''}}}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상규(1953).jpg|width=100%]]}}}|| ||<|2> '''{{{#FFFFFF 출생}}}''' ||<(> [[1953년]] [[11월 26일]] || ||[[경상북도]] [[영천시]] || || '''{{{#FFFFFF 학력}}}''' ||<(> [[대구고등학교]] {{{-2 (졸업)}}}[br][[경북대학교 인문대학]] {{{-2 (국어국문학 / [[학사]])}}}[br][[경북대학교 대학원]] {{{-2 (국어국문학 / [[석사]] ·[[박사]])}}} || || '''{{{#FFFFFF 약력}}}''' ||<(>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학부/인문대학|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br]제7대 [[국립국어원]]장[br]국어정책학회 회장[br]제6대 [[대구광역시의회]] [[교육의원]][br][[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br][[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방언조사연구원 || [목차] [clearfix] == 소개 == [[대한민국]]의 전 [[국립국어원]]장이자 국어학자, [[시인(문학)|시인]], [[교수]]. == 생애 == [[1953년]] [[11월 26일]] [[경상북도]] [[영천시]]에서 태어났다. [[대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72년부터 1982년까지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 방언조사연구원을 지냈으며, 1982년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임용되었다가 [[1983년]]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2019년 3월까지 재직하였다. 2006년 1월부터 2009년 1월까지 3년간 제7대 [[국립국어원]] 원장을 지냈다. 2010년에는 제6대 [[대구광역시의회]] 교육위원회 [[교육의원]]에 당선했으나 이내 사직하였다. 이밖에 경상북도 문화재위원, 대구세계육상경기대회 자문위원, 국어정책학회 회장, KBS한국어위원회 자문위원, [[국립국어원]] 방언조사위원장, [[MBC|문화방송]] 우리말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 교육 및 연구활동 == 주요연구 분야는 ‘방언학’이다. === 단행본 === * 『이상정과 이여성』(민속원, 2021) * 『경세훈민정음』(역락, 2018) * 『직서기언』(경진출판, 2018) * 『방언학 연습과 실제』(한국문화사, 2018) * 『오르간』(지혜, 2017) * 『13월의 시』(작가와비평, 2016) * 『포산 들꽃』(작가와비평, 2015) * 『인문 지식, 정보의 미래』(박문사, 2015) * 『한글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 사람들의 삶』(경진, 2014) * 『한글공동체』(박문사, 2014) * 『민족의 말은 정신, 글은 생명』(역락, 2013) * 『한글 고목과 배자』(경진, 2013) * 『한글 고문서 연구』(경진, 2011) * 『문학속의 경상 방언』(글누림, 2010) * 『둥지 밖의 언어』(생각의나무, 2008) * 『한국어 규범성과 다양성』(태학사, 2008) * 『연변, 조선족 그리고 대한민국』(토담미디어, 2008) * 『경북 상주 지역의 언어와 생활』(태학사, 2007) * 『방언의 미학』(살림, 2007) * 『한국어방언학』(학연사, 2007) * 『언어지도의 미래』(한국문화사, 2006) * 『위반의 주술, 시와 방언』(경북대학교출판부, 2005) * 『현대문학』(사회평론, 2004) * 『국어방언학』(학연사, 2003) * 『거대한 낡은 집을 나서며』(포엠토피아, 2002) * 『경북방언사전』(태학사, 2000) * 『경북방언 문법연구』(박이정, 1999) * 『내일을 위한 방언연구』(경북대학교출판부, 1996) * 『방언학』(학연사, 1995) * 『명리학 원론』(명문당, 1994) * 『대답없는 질문』(둥지, 1992) * 『방언연구방법론』(형설출판사, 1992) * 『방언학 개설』(경북대학교출판부, 1986) == 상훈 == * 2012년, 봉운학술상 * 2011년, 제33회 외솔상(문화부문) * 2004년, 대통령표창 * 1989년, 국어학회 일석학술장려상 [각주] [[분류:1953년 출생]][[분류: 영천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문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언어학자]][[분류:대구고등학교 출신]][[분류:경북대학교 출신]][[분류:경북대학교 재직]][[분류:무소속 광역의회의원]][[분류:참여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