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기타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클래식 기타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음악가]][[분류:1965년 출생]][[분류:한국음악저작권협회 정회원]][[분류:남성 클래식 기타리스트]] ||<-2><#000000> {{{+1 {{{#FFFFFF '''이병우'''}}}}}}[br] {{{#ffffff 李丙雨}}}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newsimg.sedaily.com/2017/08/31/1OJYRERWJD_1.jpg|width=100%]]}}} || ||<|2> '''출생''' ||[[1965년]] [[1월 22일]] ([age(1965-01-22)]세)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 '''데뷔''' ||[[1986년]] [[12월 10일]] [[어떤날]] - [[어떤날 I 1960 · 1965]] || || '''링크''' ||[[http://byeongwoole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5WoltGM52dp1UNUprYAJL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클래식 기타]] 연주자 겸 영화음악 감독. 11세부터 [[기타]]를 치기 시작했으며,[* 단지 기타가 집에 있어서 시작했다고 한다. 스스로 수동적인 성격이라 말하며 회고한 부분.] [[1984년]] 겨울에 친구를 통해 [[베이시스트]] [[조동익]]을 만나 금방 친해졌으며 얼마 안 돼서 함께 그룹 [[어떤날]]을 결성해 기타리스트로 대중음악 활동을 했다.[* '어떤날' 1, 2집은 각종 한국 대중음악 명반평가에서 무조건 10위안에 들어가 있다. 90년대 이후 대다수의 뮤지션들이 영향을 받은 음반으로 [[들국화(밴드)|들국화]] 1집과 함께 빠지지 않는다.] 이후 활동을 중단하고 [[오스트리아]] 빈 국립음악대학에 진학하여 대학에서 클래식 기타를 전공했다. 이후 1990년도에 대학을 수석으로 졸업했다. 이후 미국 존스홉킨즈대학 피바디 음악원에서 전문기타연주자 과정을 거쳐 1998년 예일 콩쿠르에서 클래식 기타 연주자로는 처음 우승하는 영광을 안았다. 1989년 솔로 1집 '내가 그린 기린 그림은'을 시작으로 국내에서 활동하였으며 1996년에 영화 '그들만의 세상'의 음악감독을 시작으로 '''[[마리이야기]]''', '''[[장화, 홍련]]''', [[스캔들 - 조선남녀상열지사]], '''[[왕의 남자]]''', [[호로비츠를 위하여]], '''[[괴물]]''', [[그놈 목소리(영화)|그놈 목소리]], '''[[마더]]''', '''[[해운대]]''', '''[[국제시장(영화)|국제시장]]''' 등의 인지도 높은 국내 영화의 음악을 맡아 유명해졌다. 보통 넓은 스펙트럼을 기반으로 강렬한 드라마적 장르의 사운드트랙을 뽑아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2011년 기준으로 정규 앨범은 5집 '흡수'(2003) 까지 나온 상태이다. 2013년 평창동계스페셜올림픽 개폐막식의 예술감독을 맡았다. 2002년 제1회 대한민국영화대상 음악상을 받은 것을 비롯해 상하이국제영화제 음악상(2004), 제27회 청룡영화상 음악상(2006), 2010 한국대중음악상 등 여러 상을 받았다. 그가 작곡한 영화음악은 전반적으로 유럽 스타일의 작법과 한국적 정서가 혼재된 고풍스럽고 섬세한 느낌의 곡이 많으며[* 실제로 영화 '[[왕의 남자]]'의 OST 중 한 곡인 '꿈꾸는 광대들'은 그 특유의 분위기로 [[롯데월드타워]]의 CF에 사용되기도 하였다.], 영화의 내용과 분위기와 환상적으로 어우러져 많은 사람들에게 찬사를 받는다. 클래식 기타리스트와 별개로 장르를 마음대로 넘나드는 굉장한 [[크로스오버]]적 영역을 갖고 있고 장화홍련이나 괴물등에서 보여주었던 서정적이면서 힘찬 선율로 표현되는 웅장한 음악들은 영화의 깊이를 더해준다는 평을 받는다. == 사용 악기 == [youtube(E244Db-Cd5I)] 자신의 기타를 직접 제작하는 걸로 유명하다. 보통 기타도 만들지만 실험적인 형태의 기타를 많이 제작한다. 기타바(guitarbar)[* 바디를 최소화하고 넥만 남긴 형태의 기타. [[야마하]] 사일런트 기타 모델에서 헤드와 받침대를 없앤 형태. 픽업만으로 소리를 증폭하여 연습에 편하게 만든 모델이라는데 공연할 때도 사용한다. 이하나의 페퍼민트에서 이 모델을 이하나에게 선물로 줬다.]와 위 사진에서 보이는 더블 기타[* 바디 하나를 공유하고 앞면은 나일론 기타, 뒷면은 스틸 기타로 제작한 뒤 헤드는 양 쪽으로 만들어 이은 형태. 후판은 바디 중심에 삽입되어 있어 두께로 본다면 세미 할로우 두 대를 붙인것 같은 형태가 된다.]등 특이한 기타를 만든다. 음악에 있어서도 악기폭이 굉장히 넓어 [* 명함은 클래식 기타리스트지만 기타의 종류를 가리지 않는다. '자전거'에 사용한 악기 중에 현 대신 지판에 버튼이 나열된 기타 모양 [[신디사이저]]라던가. 이병우가 공연에서 사용하는 [[일렉트릭 기타]]인 '[[Roland]] G-707'도 [[MIDI]]를 내장하고 있어 다른 음색을 보여준다.] 다양한 장르를 구사할 줄 알고, 이를 통해 이병우의 음악을 표현해낸다. == 정규 앨범 == === 1집 내가 그린 기린 그림은 - 航海^^[* 항해.]^^ (1989) === [include(틀:음악취향Y Best 100)] ||<-3><#fefbf4> [[파일:내가 그린 기린 그림은 항해(1989).jpg|width=100%]] || ||<-3><#fefbf4> {{{#22a6f6 '''1989년 7월 발매'''}}} || || 1 || 새[* [[봉준호]] 감독의 단편영화 '백색인'의 엔딩곡으로 쓰였다.] || 3:33 || || 2 || 내가 그린 기린 기린 그림은 - 航海 || 7:54 || || 3 || 사랑했지만 || 7:36 || || 4 || 비 || 4:00 || || 5 || 머플리와 나는 하루종일 바닷가에서 || 6:25 || || 6 || 4月 || 6:04 || || 7 || 이젠 안녕 || 3:22 || === 2집 혼자 갖는 茶시간을 위하여 (1990) === ||<-3><#eff3f9>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혼자 갖는 차시간을 위하여(1990).jpg|width=100%]]}}} || ||<-3><#eff3f9> {{{#656e71 '''1990년 9월 발매'''}}} || || 1 || 집으로 가는길 || 2:53 || || 2 || 혼자 갖는 茶시간을 위하여 || 3:37 || || 3 || 잠들기 바로전 || 2:08 || || 4 || 재회 || 3:01 || || 5 || 텅빈 학교운동장엔 태극기만 펄럭이고 I || 4:29 || || 6 || 텅빈 학교운동장엔 태극기만 펄럭이고 II || 2:45 || || 7 || 비오는날에 산보 || 7:28 || || 8 || 잔디에 누워 || 5:43 || || 9 || 뭐가 그리 좋은지 || 3:28 || === 3집 생각 없는 생각 (1993) === ||<-3><#fbfbfb>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기타 생각 없는 생각(1993).jpg|width=100%]]}}} || ||<-3><#fbfbfb> {{{#535353 '''1993년 4월 발매'''}}} || || 1 || 자전거 || 7:10 || || 2 || 쥬브(tube) 수영 || 5:32 || || 3 || 그대 눈물 흐르고 세월이 흐르고 || 4:23 || || 4 || 축! 결혼 || 2:36 || || 5 || Vivaldi D-Dur Konzert[br] (org. für Laute) - allegro || 2:10 || || 6 || Vivaldi D-Dur Konzert[br] (org. für Laute) - andante || 4:53 || || 7 || Vivaldi D-Dur Konzert[br] (org. für Laute) - allegro || 2:10 || || 8 || 우리 || 5:10 || || 9 || 생각 없는 생각 || 3:54 || === 4집 야간비행 (1995) === ||<-3><#bdab80>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병우 IV 야간비행(1995).jpg|width=100%]]}}} || ||<-3><#bdab80> {{{#834442 '''1995년 5월 발매'''}}} || || 1 || 꼬마버섯의 꿈 || 4:23 || || 2 || 야간비행 || 11:05 || || 3 || 어느 기타리스트의 삶 || 6:15 || || 4 || 눈이와요 || 6:57 || || 5 || Mr. Dowland's Midnight || 2:28 || || 6 || Lachrimae || 5:01 || || 7 || Fantasie || 3:19 || === 5집 흡수 (2003) === ||<-3><#000000> [[파일:흡수(2003).jpg|width=100%]] || ||<-3><#000000> {{{#4b9c78 '''2003년 2월 발매'''}}} || || 1 || 달려 I || 3:18 || || 2 || 어머니 || 4:07 || || 3 || 달려 II || 5:09 || || 4 || 꿈과 스케이트 || 7:28 || || 5 || 달려 III || 4:46 || || 6 || 인연 || 4:00 || || 7 || 춤추는 물개 || 5:01 || || 8 || 방 || 4:41 || || 9 || 전사의 춤 || 7:26 || || 10 || 새벽 세시 || 2:28 || || 11 || 마지막 인사 || 4:03 || || 12 || 흡수 || 7:16 || == 기타 == === [[양희은 1991]] ===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80위인 [[양희은]]의 데뷔 20주년 기념 앨범 '[[양희은 1991]]'을 양희은과 함께 만들었다. 번안곡 한 곡을 제외한 전곡의 작곡과 편곡을 맡았으며 작사도 두 곡 했다. 즉 작사가 양희은 & 작곡가 이병우 콤비의 협업으로 볼 수 있다. 타이틀곡은 바로 그 '사랑 그 쓸쓸함에 대하여'이고, 훗날 [[아이유]]가 리메이크해서 유명해진 '가을 아침'이 이병우 작사/작곡이다. == OST == === 영화 === * [[비상선언]] (2022) (정지훈 공동참여) * [[국제시장(영화)|국제시장]] (2014) * [[관상(영화)|관상]] (2013) * 로맨틱 헤븐 (2011) * '''[[마더]]''' (2009) * 드래고니카 (2009) * [[해운대]] (2009) * [[도쿄!]] (2008) (정채웅 공동참여) * 수 (2007) * 아들 (2007) * [[1번가의 기적]] (2007) * 헨젤과 그레텔 (2007) * [[그놈 목소리(영화)|그놈 목소리]] (2006) * [[호로비츠를 위하여]] (2006) * '''[[괴물]]''' (2006) * 날아라 허동구 (2006) * '''[[왕의 남자]]''' (2005) * [[연애의 목적]] (2005) *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 (2005) * [[분홍신]] (2005) * '''[[스캔들 - 조선남녀상열지사]]''' (2003) * '''[[장화, 홍련]]''' (2003) * 쓰리 (2002) * 스물 넷 (2002) * [[마리이야기]] (2002) * 가면 (1997) * 세 친구 (1996) * 그들만의 세상 (1996) == 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 [[나경원/비판 및 논란/딸 관련|나경원 의원 딸 부정입학 및 성적조작 의혹]]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경원/비판 및 논란/딸 관련)] 2016년 3월 17일 새누리당 [[나경원]] 의원 자녀 대학 부정 입학과 연루되었다는 [[http://newstapa.org/32138|기사]]가 나왔다. == 기타 == * [[2012년 한국시리즈#6차전|2012 팔도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6차전]]에서 [[애국가]]를 [[https://m.sports.naver.com/video/35430|연주]]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fYWdwO2ChU|음원]] * 매년 가을쯤 [[세종문화회관]]에서 기타콘서트를 연다. * 다리 수술이 잘못되어 16살에 [[장애인]]이 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