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통령비서실장)] ||<#082e59> '''{{{#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장 후보)] ---- [include(틀:역대 홍보수석비서관)] ---- [include(틀:역대 노무현재단 이사장)] }}} || ||<-2> '''[[대통령비서실장|{{{#fff 대한민국 제28대 대통령비서실장}}}]][br]{{{+1 이병완}}}[br] 李炳浣 | Lee Byung-wan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siminsori.com/76793_34000_2249.jpg|width=100%]]}}} || ||<|2> '''출생''' ||[[1954년]] [[11월 11일]] ([age(1954-11-11)]세) || ||[[전라남도]] [[장성군]] 남면[* [[http://www.j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5205|#]]] || || '''본관''' ||[[광산 이씨]][* [[https://blog.naver.com/lbw0427/20145438653|#]]. 상서공파(尙書公派) 31세 병(炳) 항렬.] || || '''현직''' ||[[한국여자농구연맹]] 총재 || ||<|4> '''재임기간''' ||[[참여정부]] 제2대 [[홍보수석비서관]] || ||[[2003년]] [[8월 17일]] ~ [[2005년]] [[2월 17일]] || ||제28대 [[대통령비서실장]] || ||[[2005년]] [[8월 25일]] ~ [[2007년]] [[3월 9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남면서국민학교 {{{-2 (전학)}}}[br]담양남국민학교 {{{-2 (전학)}}}[br]장성 사창국민학교 {{{-2 (전학)}}}[br]장성영천국민학교[* 現 장성중앙초등학교] {{{-2 (전학)}}}[br]월평국민학교 {{{-2 ([[졸업]])}}}[br][[광주고등학교(광주)|광주동중학교]] {{{-2 ([[졸업]])}}}[br][[광주고등학교(광주)|광주고등학교]] {{{-2 ([[졸업]] / 21회)}}}[br][[고려대학교 정경대학]] {{{-2 ([[신문방송학]] / [[학사]])}}} ||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약력''' ||[[KBS]] 기자[br][[서울경제신문]] 정치경제부장[br][[한국일보]] 경제부장[br][[예금보험공사]] 이사[br][[대통령비서실]] 국정홍보조사비서관[br][[대통령비서실]] 국내언론비서관[br][[새천년민주당]] 정책위원회 상임부의장[br] 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간사[br][[대통령비서실]] 기획조정비서관[br][[대통령비서실]] 정무기획비서관[br][[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비서관[br][[대통령비서실]] 홍보문화특별보좌관[br]제28대 [[대통령비서실장]][br][[열린우리당]] 특임위원[br][[대통령비서실]] 정무특별보좌관[br][[국민참여당]] 창당준비위원장[br][[국민참여당]] 선거대책위원장[br][[국민참여당]] 상임고문[br][[한양대학교]] 초빙교수[br][[동신대학교]] 객원교수[br]제5대 [[광주광역시]] 서구의회 의원[* 광주 서구 다선거구(화정 3·4동, 풍암동)][br]제3대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이사장[br]제6대 [[한국여자농구연맹]] 총재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이자 [[WKBL]](여자프로농구연맹) 총재. [[국민의정부]] 시절, [[김대중]] 대통령 비서관을 지내고, [[참여정부]] 시절 [[노무현]]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냈다. [[국민참여당]] 창당준비위원장을 역임했다. 2010년 6월 2일 지방선거에서 국민참여당 광주 서구 기초의원 다선거구(화정 3·4동, 풍암동)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제3대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이사장직도 역임했다. == 생애 == 1954년 11월 11일에 [[전라남도]] [[장성군]] 남면에서 아버지 이영휴(? ~ 2004)의 7남매 중 셋째로 태어났다. 국민학교 시절 초등학교 교장이던 아버지를 따라 장성군 남면서국민학교, 담양남국민학교, 장성군 사창국민학교, 장성영천국민학교(現 장성중앙초등학교)를 거쳐 1967년 장성군 월평국민학교를 졸업했으며, 1970년 [[광주고등학교(광주)|광주동중학교]], 1973년 [[광주고등학교(광주)|광주고등학교]](21회)를 졸업하고 같은 해에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신문방송학과]]에 입학했다. 대학생 시절 [[고대신문]]의 기자로 활약했다.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인 5월 19일 밤 11시에 [[동아일보]] 박종렬 기자 등과 함께 광주로 내려갔다. 그 후 내란음모로 [[군사재판]]에 회부돼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으나, [[이세기]]의 도움으로 100일만에 출소했다. 그때의 인연으로 나중에 이세기가 국토통일원 장관을 할 때 비서관이 되었다. 1981년 대학 졸업 후 [[내무부 치안본부]] 대외정책연구소의 [[일용직]]으로 8개월 정도 일했다. 그러다가 그 연구소가 반국가사범 사상검증하는 곳임을 알게 되자 뛰쳐 나왔고, 1982년 [[한국방송공사]]에 입사했다. KBS 정책기획실, KBS 보도본부에서 일했으며, [[이산가족을 찾습니다]]를 기획한 공로로 상도 받았다. 1988년 8월 [[서울경제신문]]이 복간되자, 당시 서울경제신문 편집국장이던 [[박병윤]]의 제의로 KBS를 떠나, 서울경제신문으로 옮겼다. 1994년에는 서울경제신문 편집국 정경부 차장과 편집국 정경부장을 역임했다. 그리고 1995년에는 [[한국일보]]로 옮겨 경제부장 및 논설위원을 역임했다. 1999년 김대중 대통령 시절에 [[청와대]] 국정홍보조사비서관 및 국내언론비서관으로 임명되었다. 2000년에는 [[새천년민주당]] 국가전략연구소 부소장과 정책위원회 상임부의장직을 맡았다. 2002년 노무현 대통령 당선 이후 제16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기획조정분과위 간사위원을 맡았고, 2003년에는 노무현 대통령 취임식 실행준비위원, 그리고 청와대 비서실 기획조정비서관, 정무기획비서관 겸 정무팀장, 홍보수석비서관(차관급) 등을 역임했다. 그리고 2005년에는 청와대 대통령비서실장을 역임했다. 2006년 11월 노무현이 열린우리당을 탈당하겠다고 하자 만류를 하였고, 그 후 [[문재인]]에게 비서실장 자리를 물려주면서 청와대를 나왔다. 2007년에는 노무현 대통령 정무특별보좌관이 되었다. 노무현 대통령의 임기말에는 [[안희정]], [[천호선]], [[김만수(정치인)|김만수]] 등과 함께 참여정부평가포럼을 결성하여 대표를 맡았다. [[열린우리당]]이 붕괴된 이후, 2009년에는 [[유시민]], [[이재정(1944)|이재정]] 등과 함께 국민참여당의 창당작업을 시작하여, 창당준비위원장이 되었다. 이때쯤 둘째 딸을 창신섬유 [[강금원]] 회장의 장남에게 시집 보내어 강금원 회장과 사돈지간이 되었다. 결혼식 주례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보았다. 2010년 1월 국민참여당이 창당한 뒤에는 [[국민참여당]] [[광주광역시장]] 예비후보로 나섰으나 [[정찬용(정치인)|정찬용]]에게 양보하고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직도 수행하며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광주시 서구의회 다선거구(화정 3·4동, 풍암동)에 출마하여 기초의원으로 당선되어 화제를 모았다.[* 아무래도 장관급인 대통령비서실장을 지낸 인사가 실질적으로 3~5급 대우를 받는 기초의원이 되었으니 화제를 모을만도 하다.] 덕분에, 민주당 초강세지역인 광주에서, 서구의회 다 선거구는 유일하게 민주당 당선자를 내지 못했다. 다 선거구는 의원 2명을 배출하는 중선거구로, 민주당 후보 2명, 민주노동당 후보 1명, 무소속 후보 1명에 이병완이 출마했는데, 이병완이 워낙 독보적이라 당선되고, 진보계 표가 결집하여 민주노동당도 당선, 민주당은 후보 두 명이 표를 나눠먹다가 사이좋게 낙선. 지방선거가 끝난 후에는 국민참여당 상임고문, 참여정책연구원 이사장 등을 맡았다. 그 후 국민참여당이 [[통합진보당]]으로 통합될 때 반대해 탈당했다. 2012년 [[문재인]]의 후임으로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되었으며, 2014년까지 재직했다. 2014년 1월 22일에는 무소속으로 광주광역시장 출마를 선언하였다. 자신이 시장이 된다면 당시 시장이었던 강운태의 시정목표인 "행복한 창조도시"를 바꾸지 않고 그대로 쓰겠다는 독특한 발언을 하였다. 그런 시정목표 같은 것도 바꾸는 데 돈 들고 누가 하든 좋은 목표는 이어나가야 한다는 취지라고. 그러나 [[새정치민주연합]]의 [[윤장현]] 후보에게 밀려서 낙선하였다. 심지어 광주에서 새누리당 후보보다 득표율이 낮았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의 [[더불어민주당]] 후보경선에서는 [[안희정]]을 지지했고, 본선에서는 [[문재인]]을 지지하였다. 이후 [[WKBL]]의 총재로 2018년 6월에 선임되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 서 다) || [include(틀:국민참여당)] || '''7,921 (27.63%)''' || '''당선 (1위)''' || [* 2012년 탈당 ([[통합진보당]]으로 합당에 반대) ]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장]]) || [include(틀:무소속)] || 16,249 (2.56%) || 낙선 (5위) || ||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광주광역시의 기초의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자]][[분류:광산 이씨]][[분류:장성군 출신 인물]][[분류:1954년 출생]][[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국민의 정부/인사]][[분류:홍보수석비서관]][[분류:대통령비서실장]][[분류:광주고등학교(광주)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국민참여당 기초의회의원]][[분류:무소속 기초의회의원]][[분류:기자 출신 정치인]][[분류:한양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