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이범익}}}[br]李範益'''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범익.jpg|width=100%]]}}} || || '''창씨명''' ||키요하라 노리마스[br]淸原範益|| ||<|2> '''출생''' ||[[1883년]] [[10월 15일]]|| ||[[충청북도]] [[단양군|단양]]|| || '''사망''' ||불명|| || '''본관''' ||[[전주 이씨]]|| || '''직업''' ||관료, 중추원 참의|| || '''학력''' ||[[한성외국어학교|관립한성일어학교]] {{{-2 (졸업)}}}|| [목차] [clearfix] == 개요 == [[일제강점기]] 시절의 관료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 == 생애 == 1883년 [[충청북도]] [[단양군|단양]]에서 출생. [[한성외국어학교|관립한성일어학교]]를 졸업하고 모교에서 교관으로 근무하다가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군의 통역으로 종군하였고, 종군의 공로를 인정받아 일본 정부로부터 은사금을 받았다. 이후 [[대한제국]] 정부에서 번역관 등으로 일했는데 황태자의 일본 유학에 배종한 공로로 대한제국 정부와 일본 정부로부터 각각 훈장을 받기도 하였다. [[경술국치]] 이후 [[조선총독부]]에서 일하면서 한국병합기념장을 수여받았으며, 강원도 춘천군수, 전라북도 금산군수[* 현 [[충청남도]] [[금산군]]. 그 당시에는 전라북도 소속으로, 금산군이 충남으로 편입된 건 1963년이다.]. 경상북도 달성군수/예천군수를 지냈다. 고등관 2등으로 승진하여 [[강원도지사]]로 재직하면서 <총독합하의 훈시를 배승하고 - 조선애에 불타는 주옥 같은 명언>등의 글을 통해 정신작흥운동과 자력갱생운동을 촉구하였다. 이후 고등관 1등 [[충청남도지사]] 및 [[중추원(일제강점기)|중추원]] 참의에 임명되었다. 1937년 [[미나미 지로]] 총독의 '선만일여(鮮滿一如)' 방침에 따라 [[만주국|만주]]의 [[간도|간도성]] 성장(省長)에 임명되었다. 간도 일대의 조선인 항일부대를 섬멸하기 위해 만주국군 내에 조선인으로 구성된 특수부대를 조직할 것을 제안하여 [[간도특설대]]가 창설되었다. 친일조직으로 항일민중운동 파괴공작, 선전선무공작, 전시동원의 역할을 한 만주국 [[협화회]] 간도성 본부장으로 활동하였다. 1940년 [[최남선]], [[박석윤]] 등과 함께 [[창춘|신징]]에서 동남지구특별공작후원회를 조직하여 항일무장세력에 대한 귀순공작 등을 전개하였다. 1945년 귀국하여 전시동원단체인 조선국민의용대 총사령부 차장에 임명되었다. == 해방 이후 == 해방 후 [[미군정]]에 의해 중추원 고문에서 파면되었고 1945년 [[반민특위]]에 의해 체포되어 조사를 받았으며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 1950년 8월 [[6.25 전쟁]] 중에 [[납북]]되었다. 강원도 [[정선군|정선]] 아라리촌에 그의 공적비가 있다. 그가 [[강원도지사]] 재직 당시 그의 휘하에 있던 정선군수 [[김택림]](金澤林, [[창씨개명|창씨명]] 카네미츠 히로시(金光博), 1888~?)이 1932년에 세운 것으로 앞면엔 '강원도지사 이범익 각하 영세불망비'[* 江原道知事 李範益閣下 永世不忘碑], 뒷면엔 이범익의 공적을 찬양하는 [[한시|4언 율시]]가 새겨져 있다. [[http://blog.ohmynews.com/jeongwh59/286754|참고 자료]] [[분류:단양군 출신 인물]][[분류:전주 이씨]][[분류:1883년 출생]][[분류:몰년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