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범석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35번}}}''' || || 주창훈[br](2004) || {{{+1 →}}} || '''{{{#ff0000 이범석[br](2005)}}}''' || {{{+1 →}}} || [[임준혁]][br](2006~2009) || ||<-5> '''{{{#ffffff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61번}}}''' || || [[김주철(야구)|김주철]][br](2001~2005) || {{{+1 →}}} || '''{{{#ff0000 이범석[br](2006~2009)}}}''' || {{{+1 →}}} || 박종모[br](2010~2011) || ||<-5> '''{{{#ffffff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1번}}}''' || || [[손영민]][br](2011) || {{{+1 →}}} || '''{{{#ffffff 이범석[br](2012~2014)}}}''' || {{{+1 →}}} || [[심동섭]][br](2015~2018) || ||<-5> '''{{{#ffffff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04번}}}''' || || 결번 || {{{+1 →}}} || '''{{{#ffffff 이범석[br](2015~2016)}}}''' || {{{+1 →}}} || [[강이준]][br](2017)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기아 이범석 프로필.png|width=100%]]}}} || ||<-2> '''{{{+2 이범석}}} [br] 李範錫 | Lee Beom-Seok''' || ||<|2> '''출생''' ||[[1985년]] [[12월 29일]] ([age(1985-12-29)]세) || ||[[충청남도]] [[아산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온양온천초 - [[온양중학교|온양중]] -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야구부|청주기공고]]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05년/신인드래프트#s-3.2|2005년 2차 2라운드]] (전체 14번, [[KIA 타이거즈|KIA]]) || || '''소속팀''' ||'''[[KIA 타이거즈]] (2005~2016)''' || || '''지도자''' ||[[경북고등학교 야구부]] 투수코치 (2018~2019) [br] [[한국K-POP고등학교 야구부]] 투수코치 (2020) [br] [[신성대학교]] 야구부 투수코치 (2020~)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KIA 타이거즈]]의 우완투수. [[팀 린스컴]]처럼 역동적인 투구폼과 묵직한 속구가 매력인 투수였다. 현역 시절 별명은 '범스컴'.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1985년]] 12월 29일 충남 아산에서 태어나서 온양에서 지내다가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야구부|청주기계공고]]에 진학한다. 원래는 2004년에 졸업할 예정이었는데 외야수에서 투수로 전업하다가 1년 유급, 2005년 지명에서 2차 2순위로 KIA 타이거즈에 뽑혔다. 이 해의 KIA 1차 지명은 [[곽정철]], 2차 지명 1순위는 [[윤석민(투수)|윤석민]]으로 '''3명 모두 유리몸 투수로 부상으로 커리어가 일찍 저물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 프로 경력 === 초기에는 별다른 활약을 보이지 못했으나, 2008 시즌에는 선발 투수로 뛰면서 어느 정도 괜찮은 성적을 보였다. 시즌 중 리그 ERA 1,2위 자리에 윤석민과 함께 올라가기도 했다. 특히, 7월 4일 대구 삼성전에서는 '''9회말 투아웃'''까지 노히터를 기록하였으나, [[박석민]]이 간신히 '''내야안타'''[* [[똥차]] 항목에서도 볼 수 있듯 박석민은 KBO 리그에서도 손꼽히는 느림보다. 그런 박석민이 '''내야안타'''로 노히트 노런을 깼다는 점에서 그의 주루센스와 적극성이 [[우사인 볼트]]급으로 얼마나 뛰어난지 알 수 있다.]를 쳐내면서 완봉승으로 격하되었다. 차라리 [[김주형]]이 알까기를 했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알까기를 했으면 김주형의 [[실책(야구)|실책]]으로 기록되어 [[노히트 노런]]이 깨지지 않기 때문이다.[* [[http://sports.news.naver.com/videoCenter/index.nhn?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87611|영상은 이 곳으로]]. 9회 2사에 나온 박석민의 타구는 알까기를 해도 기록원이 안타를 줄 수도 있었다. 라인을 타고 나가는 빠르지 않은 타구이기 때문. 11:0으로 리드하고 있었지만 2루타를 막은 김주형이 수비를 잘 했던 것. 사실 박석민 앞에 내야안타가 나왔는데 1루심이 아웃을 줬기 때문에 억울해 할 수는 없다. 그리고 [[2021년|13년 후]], 김주형의 친정팀이 노히트를 당할 뻔한 상황에서 [[김선빈]]이 박석민처럼 3루쪽 파울 라인을 타고 흐르는 강습 타구를 날렸지만 두산 3루수 [[허경민]]이 이를 처리하지 못했기 때문에 당시 김주형의 수비가 재평가받을 여지가 생겼다.] 하지만 이건 억지에 가깝다. 일부러 실책하는 것은 이범석 본인에게도 좋지 못하며 프로는 최선을 다해야 한다. 김주형도 최선을 다했고 박석민도 이범석도 최선을 다한 것이다.[* 공교롭게도 김주형, 박석민, 이범석은 모두 1985년생이다. 하지만 이범석이 1년 유급했기 때문에 프로 데뷔는 이범석이 나머지 둘보다 1년 늦다.][* 여담으로, 해당 경기 이후 KIA가 대구에서 삼성과의 3연전을 모두 스윕하는 데는 장장 14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2022년 5월 24~26일 대구 삼성전을 스윕했는데, 2016년 라팍 개장 이후 첫 대구 삼성전 스윕승이었다.] 고질적인 어깨 탈구 증상 때문에 전 시즌을 소화하지 못했으며, 규정이닝도 못 채웠는데 시즌 [[폭투]] 1위, [[보크(야구)|보크]] 1위라는 흠좀무스러운 기록을 남겼다. 그래도 2008년 한 때 윤석민과 함께 리그 규정이닝 평균자책점 1, 2위를 기록하며 KIA의 미래를 밝혀주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IA 타이거즈/2009년/5월)] [[2009년]] [[5월 17일]], 문학 SK전 더블헤더 1차전에 구원 등판했다가 어깨통증으로 자진 강판, 이후 미국 조브 클리닉서 어깨 수술을 받고 결국 시즌 아웃. 빈볼 논란이 일어나면 가장 많이 까이는 선수이기도 하다. 유명한 것으로는 [[김태완(1984)|김태완]]의 턱을 맞고 지나간 사구. 또 [[이진영]]의 갈비뼈를 맞춘 사건이 있다. 김태완의 경우 다행히 정통으로 맞지는 않았지만, 얼마뒤 검투사 헬멧을 쓰고 나오게 되었고, 이진영은 빈볼 후 '''섭섭하다'''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빈볼 자체보다도 더 문제가 있는 것은 이후 그의 대처. 사구를 맞은 김태완에게 끝까지 사과를 하지 않다가 한화팬들의 항의 때문에 어거지로 사과한 후 미니홈피에 한화팬들에 대한 도발 멘트를 날린 사례, 이진영에 대한 사구 후 뒤돌아서서 웃는 모습을 보인 사례는 빈볼 자체보다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범석의 제구력에 관해서는 최훈도 2008 시즌 팀별 정리 때 만화로 그린 적이 있다. 어깨 수술 후, 모교인 온양중에서 공익근무요원으로 군 복무를 이행하였고, 2011 시즌이 끝난 후에 복귀하였다. 2008 시즌 이범석의 활약을 지켜봤던 KIA팬들은 그의 부활을 기대했지만, 2012년에 '''또''' 어깨 수술을 받았고 결국 2012년 11월 30일 자로 보류선수 명단에서 제외되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277&aid=0002887781|기사]] 부상을 당한 부위가 회전근이라 구단에서도 재기 가능성을 낮게 본 듯하다. 하지만 신고선수로 전환한 것으로 보아 완전히 포기하지는 않은 듯했다. [[2016년]] 평균 128km/h, 최고 133km/h 이라는 처참한 구속을 보여주었고, 결국 11월 10일 결국 팀에서 방출당했다. == 이후 == 방출 이후 [[원주시|원주]]에 있는 한 [[http://mlbpark.donga.com/mp/b.php?m=search&p=1&b=kbotown&id=201704220002386867&select=sct&query=%EC%9D%B4%EB%B2%94%EC%84%9D&user=&site=donga.com&reply=&source=&sig=hgjTGg-Ak3eRKfX@hca9SY-Aghlq|사회인 야구팀에 들어갔다고 한다.]] 그 후에는 [[대전광역시|대전]] 근방 유소년 아카데미에서 지도를 하다가 2018년 [[경북고등학교 야구부]] 투수코치가 됐다. 이 때 키운 선수가 [[원태인]]과 [[황동재]]. 이후 [[한국K-POP고등학교 야구부]] 코치를 거쳐 KIA 시절 동료였던 [[유용목]]이 감독을 맡은 신생 팀 [[신성대학교 야구부]]의 코치로 부임했다. 신성대 코치 부임 직후 근황에 대한 뉴스기사가 올라왔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44&aid=0000691634|#]] 이후 2022년 9월 9일, [[윤석민(투수)|윤석민]]의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근황을 알렸다. [[https://youtu.be/qM9kTF0ClT8|#]] == 플레이 스타일 == 크지 않은 키와 깡마른 체격으로 역동적인 투구폼과 함께 시속 150km대의 강속구를 던졌으며 그래서인지 KIA팬들이 부르는 별명이 범스컴([[린스컴]])이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출장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 2005 ||<|12> [[KIA 타이거즈|KIA]] || 8 || 7⅓ || 0 || 1 || 0 || 0 || 11.05 || 14 || 1 || 5 || 2 || 8 || 2.59 || || 2006 ||<-13> 1군 기록 없음 || || 2007 || 27 || 42⅔ || 0 || 3 || 0 || 1 || 4.64 || 39 || 3 || 24 || 8 || 24 || 1.48 || || 2008 || 28 || 119⅔ || 7 || 10 || 0 || 1 || 3.08 || 93 || 10 || 47 || 3 || 89 || 1.17 || || 2009 || 4 || 8⅔ || 0 || 1 || 0 || 0 || 7.27 || 11 || 2 || 6 || 0 || 4 || 1.96 || || 2010 ||<-13><|2> 군복무([[사회복무요원]]) || || 2011 || || 2012 ||<-13><|5> 1군 기록 없음 || || 2013 || || 2014 || || 2015 || || 2016 || ||<-2> '''[[KBO 리그|KBO]] 통산''' [br] (4시즌) || 67 || 178⅓ || 7 || 15 || 0 || 2 || 3.99 || 157 || 16 || 82 || 13 || 125 || 1.34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분류:아산시 출신 인물]][[분류:1985년 출생]][[분류:2005년 데뷔]][[분류:2016년 은퇴]][[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해태-KIA 타이거즈/은퇴, 이적]][[분류:원클럽맨/야구]][[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사회복무요원 출신]][[분류:온양중학교 출신]][[분류:청주공업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