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이민훈}}}'''[br]'''LEE MIN HO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민훈-교수.jpg|width=100%]]}}} || || '''이름''' ||이민훈(李珉勳)[* 네이버 인물검색 [[https://url.kr/k5279z]]][* 다음 인물검색 [[https://url.kr/e3jmd8]]] || || '''본관''' ||[[연안 이씨]](延安 李氏)|| || '''출생''' ||[[대전광역시]] [[서구(대전광역시)|서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육군군수사령부]] [[병장]] 만기전역|| || '''소속''' ||사회복지법인 누리봄[br][[SL사회복지연구소]][br][[대전과학기술대학교]]|| || '''직업''' ||[[사회복지사]], [[사회학자]], [[교수]], [[유튜브 크리에이터]]|| || '''분야''' ||[[사회복지학]], [[사회학]], [[인류학]]|| || '''학력''' ||[[서울안산초등학교]]{{{-2 (졸업)}}}[br]대전갈마중학교{{{-2 (졸업)}}}[br][[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2 (정밀기계과 / 졸업)}}}[br][[대전대학교]]{{{-2 (경영학과 / 졸업)}}}[* 편입학][br]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2 (사회복지학 석사)}}}[br][[대전대학교 대학원]]{{{-2 (사회복지학 박사과정)}}} || || '''약력''' ||한국장애인주간보호시설협회 교육분과위원[br][[대전과학기술대학교]] 겸임교수[* 사회복지학과 소속][br][[국가인권위원회]] 인권교육강사[br][[에이블뉴스]] 칼럼니스트[br]장애인주간보호센터 헬로 시설장(원장)|| || '''가족''' ||[[이충영(서예가)|아버지]][* 아버지는 한국추사연묵회 소속으로 추사체를 전공으로 하는 [[이충영(서예가)]]], 어머니, 아내, 아들 2명|| || '''링크''' ||[[https://blog.naver.com/minhoon27|[[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channel/UCHIMxx5wwk5hO2pB-ixCfS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장애인]]은 [[비장애인]]과 다르기에 비장애인이 장애인에게 무조건 양보해야 한다는 가르침 자체가 사회적 [[편견]]을 조장하는 진짜 장애물이다.“ >---- >"[[장애]]를 가지고 태어나는 인구보다 삶의 여정 중 '중도로 장애가 발생'하여 장애인이 될 확률이 더 높다는 사실이다. 이 말은 곧, '누구든 언제든 비장애인도 장애인이 될 수 있는 높은 확률을 지닌 채 살아간다'는 뜻이다." * [[대전광역시]] 출신의 사회복지사이자 대학교 및 지역에서 [[사회복지학]], [[사회학]], [[인류학]] 등의 지식을 바탕으로 장애인식개선교육 및 관련연구, 일상의 지식 등을 가르치는 학자([[강사]])다. * 사회복지행정론[* 저서 및 활동사항 참고],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저서 및 활동사항 참고], 사회복지시설 정보와 창업[* 저서 및 활동사항 참고], 장애인복지론[* 저서 및 활동사항 참고] 등 사회복지학 관련 책을 집필하였고 유튜브 및 동영상을 제작하며 우리 사회에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는 잘못된 편견을 바로잡기 위해 강연을 펼치고 있다. == 생애 == 어릴적 부모를 따라 [[서울특별시]]로 이사해 초등학교를 졸업했고 청소년기 다시 [[대전광역시]]로 이사한 뒤 [[중학교]]와 [[고등학교]], [[대학교]]를 졸업했다. 대략적인 약력은 다음과 같다. * 2019년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 박사과정 * 2017년 [[국가인권위원회]] 인권강사 위촉 * 2016년 [[SL사회복지연구소]] 소장 취임 * 2014년 한국사회복지연합모금회 사무총장 취임[* 2014년까지 활동하였지만 2015년 해체] * 2014년 사회복지법인 누리봄[* 前사회복지법인 대전사랑원] 장애인주간보호센터 헬로 원장 취임 * 2013년 '지적장애인자녀를 둔 부모의 의사소통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학위논문 발표 == 강의 특징 == * 이론 중심의 강의와 현실(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례를 설명한다. * 대학교에서 경영학을 전공한 덕분에 사회복지경제학적 측면을 설명한다. * 특히, 사회복지시설에서 실무로 활용되는 회계업무와 인권보장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며 강조한다. * 장애에 대한 역사적 사실과 지식을 설명하며 장애인식개선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 사회복지학과 실천과목에 대해서는 과제가 어려운 편이나 학생들이 포기하지 않도록 수준에 맞게 설명한다. == 사회복지학 견해 == >"[[장애]]를 가지고 있는 [[장애인]]들은 [[비장애인]]들과 별반 다르지 않다. 단지 조금 불편할 뿐이지..." * 2016년 경기도 오산시에서 진행된 강연[* 법정의무교육인 장애인식개선교육을 SL사회지식연구소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받아 진행]에서 비장애인이 장애인을 바라보며 '나보다 낮은 사람, 같이 있으면 불편한 사람'처럼 비장애인들의 잘못된 [[편견]]적 시선이 인간의 [[자아]]가 결국 장애인을 불쌍하게 생각하고 안타깝게 생각하게 되는 '근본적 원인'이라고 말했다. * 이런 행동으로 비장애인들이 장애인을 어떻게 대할 것인지 결정하게 하는 결정적 전달의 오류 과정이라 말했다. [[파일:이민훈 장애인식개선교육.jpg]] >"'[[장애]]'에 대한 인식개선인지,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인지 구분도 못하고 강의를 하는 강사들이 태반이다!" * 이민훈 교수는 사회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는 '[[장애]]'라는 것을 이해시키기 위해 다양한 주장들을 하며 서로 각기 다른 내용으로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진행하는 것에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특히,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진행하는 강사들을 향해 분명한 주제로 강의를 진행할 것을 강조한다. * 어설픈 인식개선교육은 오히려 잘못된 관념을 만들어주고 그로 인한 폐쇄적 인식을 가지게 된다고 주장한다. [[파일:이민훈 교수 강의실.jpg]] == 저서 및 활동사항 == || '''연도''' || '''내용''' || '''비고''' || || [[2022년]] ||{{{#!wiki style="text-align:left" }}} 사회복지학술연구 '사회복지시설 정보와 창업' 개정 || [[ISBN]](979-11-91109-38-2) || || [[2021년]] ||{{{#!wiki style="text-align:left" }}} 국가인권위원회 대전인권사무소 사단법인 대전장애인인권포럼 공동주관,[br]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13주년 기념 토론회[* 코로나19의 여파로 유튜브로 생중계되는 비대면 토론회로 진행] || 토론자 참여 || || [[2020년]] ||{{{#!wiki style="text-align:left" }}} TVN [[프리한19]] 227회 '송가인과 떠나는 휴게소 미식회' 데스크 출연 || 고속도로 휴게소, 맛집멋집 가이드북의 영향으로 제작 || || [[2019년]] ||{{{#!wiki style="text-align:left" }}} 유튜브채널 SL사회복지연구소(現사회지식연구소)[br] '그냥 궁금해서, 검색질' 제작 배포[* 현재 제작 종료] || 현재는 업로드 중지 || || [[2019년]] ||{{{#!wiki style="text-align:left" }}} 사회복지학술연구 '사회복지행정론' 출간 || [[ISBN]](979-11-87971-72-6) || || [[2018년]] ||{{{#!wiki style="text-align:left" }}} 아산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 주관,[br] 탈시설·자립생활 정책 실행을 위한 지방정부와 지역사회의 역할을 모색하기 위한 토론회 || 토론자 참여 || || [[2018년]] ||{{{#!wiki style="text-align:left"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후원, 전국 최초로 지적장애인 인권운동가 양성사업[* 대전인권포럼 산하시설 보문장애인자립생활센터 신인수 소장과 루루장애재활치료센터 김경순 센터장, 장애인주간보호센터 헬로 이민훈 원장 등으로 구성] 참가 || 인권전문가 자격 || || [[2018년]] ||{{{#!wiki style="text-align:left" }}} 보문장애인자립생활센터 주관, 대전 체험홈 과거·현재·미래 토론회 || 토론자 참여 || || [[2018년]] ||{{{#!wiki style="text-align:left" }}} 국가인권위원회 대전인권사무소 주관,[br]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10주년 기념 토론회 || 좌장 참여 || || [[2018년]] ||{{{#!wiki style="text-align:left" }}} 사회복지학술연구 '이해하기 쉬운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출간 || [[ISBN]](979-11-87971-49-8) || || [[2018년]] ||{{{#!wiki style="text-align:left" }}} 사회복지학술연구 '사회복지시설 정보와 창업' 출간 || 비매품으로 제작 || || [[2017년]] ||{{{#!wiki style="text-align:left" }}} 유튜브채널 SL사회복지연구소(現사회지식연구소)[br] '미디어로 이해하는 남모를 이야기' 제작 배포[* 현재 제작 종료] || 현재는 업로드 중지 || || [[2017년]] ||{{{#!wiki style="text-align:left" }}}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겸임교수 위촉 || 사회복지학과 출강 || || [[2017년]] ||{{{#!wiki style="text-align:left" }}} 사회복지학술연구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수행보고서' 출간 || [[ISBN]](979-11-27215-28-6) || || [[2017년]] ||{{{#!wiki style="text-align:left" }}} 사회복지학술연구 '사회복지시설 설치하기 : 장애인' 출간 || [[ISBN]](979-11-27215-35-4) || || [[2016년]] ||{{{#!wiki style="text-align:left" }}} 에세이 '사회복지사로서, 내가 본 이 세상은' 출간 || [[ISBN]](979-1127204-71-6) || || [[2016년]] ||{{{#!wiki style="text-align:left" }}} '고속도로 휴게소, 맛집멋집 가이드북' 출간 || [[ISBN]](979-11-27204-85-3) || || [[2016년]] ||{{{#!wiki style="text-align:left" }}} 사회복지학술연구 '우리나라 여성과 국방의 의무' 출간 || [[ISBN]](979-1127204-73-0) || || [[2014년]] ||{{{#!wiki style="text-align:left" }}}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외래교수 위촉 || 사회복지학과, 보건복지학과 출강 || || [[2011년]]~ ||{{{#!wiki style="text-align:left" }}} 현재까지 장애인식개선교육 진행 중 || 신청접수 || [[파일:이민훈 교수.jpg]] [[분류:대한민국의 사회복지사]][[분류:사회과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작가]][[분류:칼럼니스트]][[분류:교육 유튜버]][[분류:지식정보 유튜버]][[분류:역사 유튜버]][[분류:대한민국의 사회복지사]][[분류: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출신]][[분류:대전대학교 출신]][[분류:서구(대전) 출신 인물]][[분류:연안 이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