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주 FC/간략)]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 이민기.jpg|width=100%]]}}} || ||<-2> '''{{{#4b3905 광주 FC No. 3}}}''' || ||<-2> '''{{{#ffffff {{{+1 이민기}}}[br]李旼氣 | Lee Min-Gi}}}''' || || '''출생''' ||[[1993년]] [[5월 19일]] ([age(1993-05-19)]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신체''' ||175cm, 71kg || || '''포지션''' ||[[레프트백]] || || '''학력''' ||[[용강중학교(서울)|용강중학교]] {{{-2 (2006~2008)}}}[br][[여의도고등학교]] {{{-2 (2009~2011)}}}[br][[전주대학교]] {{{-2 (2012~2015, 학사)}}} || || '''프로 입단''' ||[[2016년]] [[광주 FC]] || || '''소속 구단''' ||'''[[광주 FC]] (2016~ )''' [br] → {{{-1 [[상주 상무 FC]] (2018~2019 / ^^군 복무^^)}}} || || '''국가대표''' ||4경기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 2014~2015)^^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국적 [[광주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수비수(축구)|수비수]]. 광주의 [[원클럽맨]]. == 선수 경력 == === 프로 이전 === 초등학교 3학년에 축구를 시작했다. [[전주대학교]] 재학 시절에는 덴소컵과 [[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표로 활약했다. === [[광주 FC]] === [[2016년]] [[자유 계약]] 선발로 [[광주 FC]]에 합류했다. 첫 시즌인 2016 시즌에는 9경기 1골, 2017 시즌0211535 28경기 2도움을 기록하고 [[2018년]]부터 [[상주 상무]]에서 병역 의무를 이행했다. 상무에서는 21경기에 출전해 1도움을 기록하고 복귀했다. ==== [[광주 FC/2020년|2020 시즌]] ==== 복귀 직후인 2020 시즌에는 리그 13경기와 FA컵 2경기에 뛰었다. ==== [[광주 FC/2021년|2021 시즌]] ==== 2021 시즌부터는 [[김호영(축구)|김호영]] 신임 감독의 전술 하에서 레프트백으로 중용받으며 시즌 초반부터 전 경기에 선발 출장하며 좋은 모습을 보였다. 특히 리그 4라운드 [[전북 현대 모터스]] 상대 홈경기에서도 호수비를 보여 라운드 베스트 11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어지는 리그 8라운드 [[수원 FC]] 전에서도 좋은 활약을 보여서 또 한번 라운드 베스트 11에 선정됐다. 리그 20라운드 [[강원 FC]]와의 홈경기에서 [[허율(축구선수)|허율]]의 돌파 후 패스를 깔끔하게 차넣으며 본인의 시즌 첫골을 기록했다. 2021시즌 광주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합쳐 32경기 출전 1골 2도움. ==== [[광주 FC/2022년|2022 시즌]] ==== 7월 30일 30라운드 [[대전 하나 시티즌|대전]]과의 1, 2위 대전, 홈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였고 39분경 [[정호연(축구선수)|정호연]]의 [[엄지성]]을 향한 패스가 수비에 막혀 나온 세컨볼을 왼발 슈팅으로 잘 찼으나 아쉽게 근소한 차이로 벗어났고, 공격과 수비에서 전반적으로 멋진활약을 하다가 후반 30분 교체되었다. 8월 20일 34라운드 [[서울 이랜드 FC]]와의 원정 경기 전반 29분경 엄지성의 패스를 받은 이민기가 마르세유 턴으로 공을 탈취해내고 중앙에서 [[이건희(1998)|이건희]]에게 상대 미드필더와 수비의 라인을 깨는 환상적인 패스로 [[김형근(축구선수)|골키퍼]]와 [[이건희(1998)|이건희]]의 1:1 단독찬스를 만들어냈고, 이를 [[이건희(1998)|이건희]]가 득점해내며 이민기의 어시스트가 기록되었다. 이날 경기에서 팀은 4:0으로 대승을 기록하였다. 9월 11일 38라운드 [[전남 드래곤즈]]와의 원정 경기에서 [[두현석]]이 오른쪽 측면을 돌파해낼때 왼쪽 측면에 있던 이민기가 중앙으로 침투해들어갔고, [[두현석]]의 크로스를 받은 [[산드루 리마|산드로]]가 중앙 센터백의 집중 견제를 받으며 시선을 끌다가 이민기에게 패스, 이민기가 침착한 슈팅으로 두명의 수비와 골키퍼의 가랑이 사이로 공을 집어 넣으며 골을 넣었다. 이 득점으로 팀은 3:2로 전남에게 승리하였다. ==== [[광주 FC/2022년|2023 시즌]] ==== 시즌 개막 전, 팀의 주전 레프트백인 [[이으뜸]]이 큰 부상을 당하게 되면서 3개월 동안 경기에 나서지 못한다고 한다. 광주 팀 입장에서는 아쉬울 수 밖에 없겠지만, 포지션 경쟁자인 이민기의 입장에서는 호재라면 호재다. 2월 25일 1라운드 [[수원 삼성]]전부터 선발로 출전했다. 경기 내내 공격과 수비 전반적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팀은 1:0으로 승리했다. 이후 [[FC 서울]], [[전북 현대]]와의 경기에서도 선발로 출전을 했지만 팀 전반적으로 좋은 경기력을 보여줬는데도 패배를 당했다. 3월 18일 4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홈 경기에서도 역시 선발로 출전했다. 이번에도 안정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며 팀의 '''5:0''' 대승을 이끌었다. 참고로 이 경기에서 해설을 맡은 강성주로부터 광주 특유의 유기적인 움직임을 잘 보여준다, 전술 이해도가 굉장히 뛰어나다는 등 극찬을 받았다. 4월 1일 5라운드 [[수원 FC]]와의 홈경기에서는 전반 4분만에 '''중거리 원더골'''을 터뜨려 경기시작부터 분위기를 광주 쪽으로 가져왔다. 두 번째 박한빈의 골에서도 적극적인 스프린트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며 이날 팀의 2대0 승리를 견인하였고 라운드 베스트11에 선정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양발에 모두 능하고 뛰어난 축구 지능과 발재간, 왕성한 활동량과 기동력이 장점이다. 전술 이해도가 대단한데, 스위칭 플레이에 강점을 보인다. 오른발 한방도 있어 중거리슛도 곧잘 때리는 편이다. == 대회 기록 == * [[광주 FC]] * [[K리그2]]: 2022 == 여담 == 현재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의 핵심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는 [[송의영]]과는 [[여의도고등학교]] 동기다. [[분류:1993년 출생]][[분류:용강중학교(서울) 출신]][[분류:여의도고등학교 출신]][[분류:전주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레프트백]][[분류:2016년 데뷔]][[분류:광주 FC/현역]][[분류:상무 축구단/전역]][[분류:원클럽맨/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