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이모젠 힙}}}[br]Imogen Heap'''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imogenheap.jpg|width=100%]]}}} [* 손에 끼고 있는 독특한 글러브는 '''악기'''이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 참고] || || '''본명''' ||이모젠 제니퍼 힙[br]Imogen Jennifer Heap || ||<|2> '''출생''' ||[[1977년]] [[12월 9일]] ([age(1977-12-09)]세) || ||[[영국]] [[잉글랜드]] [[런던]] 헤이버링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 '''장르''' ||[[일렉트로니카]] · [[얼터너티브 락]] · 인디 팝 · [[신스 팝]] · [[앰비언트]] || || '''활동 시기''' ||1997년 - 현재 || || '''학력''' ||[[버클리 음악대학]] {{{-2 (명예 박사)}}} || || '''소속 레이블''' ||Almo Sounds, Megaphonic, [[RCA]] || || '''관련 아티스트''' ||[[Jon Hopkins]], [[Taylor Swift]], [[deadmau5]], Frou Frou, Acacia || || '''배우자''' ||마이클 레버^^(2012년~현재)^^ || || '''자녀''' ||플로렌스 스카웃 로지 힙-레버^^(2014년생)^^ ||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imogenheap, 크기=23)] [[https://www.instagram.com/imogenheap/|[[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Imogen Heap'''[* [[https://www.youtube.com/watch?v=W-BCn24omWE|발음]] 구글에는 이머전 히프로 나와있으나, 네이버에는 이모젠 힙으로 나와있어 이 표기를 따른다.]은 [[영국]]의 가수, 작곡가, 작사가, 프로듀서, 오디오 엔지니어이다. [[앤디 샘버그]]가 출연했던, 사소한 이유로 사람이 죽어나가는 [[SNL]] 스킷에 음왓츄세~라는 브금인 [[https://www.youtube.com/watch?v=UYIAfiVGluk|Hide And Seek]]으로 유명하며,[* [[Jason Derulo]]가 이 음악을 샘플하여 [[https://www.youtube.com/watch?v=pBI3lc18k8Q|Whatcha Say]]라는 곡을 냈는데, 이 곡이 더 유명해진 것은 안 비밀 (...)] 또한 [[테일러 스위프트]]의 [[1989(음반)]]의 프로듀서이자, 마지막 트랙 'Clean'의 공동 작곡가로 대중에게 알려져 있다. Guy Sigsworth와 함께 Frou Frou라는 일렉트로니카 듀오를 결성하여 2002년 Details라는 음반을 내었고, 2004년 해체했다가 2017년 이모젠 힙의 솔로 투어에서 재결합하였다. 2019년도에 [[버클리 음악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https://valencia.berklee.edu/imogen-heap-grammy-award-winning-artist-and-producer-receives-honorary-degree-at-berklees-campus-in-valencia-spain/#|#]] == 성장 과정 == 힙은 어릴 적부터 [[피아노]], [[첼로]], [[클라리넷]]을 불기 시작하였으며, 13살에 비로소 작곡을 시작했다. 어릴 적에 기숙 학교를 다녔는데, 그 때 음악 선생과 성향 상 잘 맞지 않아 스스로 [[기타]]와 [[드럼]]을 배웠으며, [[아타리]] 컴퓨터로 작곡을 배웠다. == 디스코그래피 == * iMegaphone (1998) 데뷔 음반이며, 상당히 지금 모습과는 다르게 [[이모 패션]]에 상당히 세기말적인 콘셉트를 볼 수 있다. 일단은 [[얼터너티브 락]]으로 분류되는 듯하며, [[트립 합]]으로도 분류된다. 이모젠 힙의 이후 커리어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유명하지는 않은 음반이지만, 1998년 Allmusic은 이 음반에 별 4개 (5개 만점)을 준 바 있다. 참고로 앨범명인 iMegaphone은 Imogen Heap의 [[애너그램]]이다. * Speak for Yourself (2005) 1집 이후 7년만의 솔로 음반이며[* 그 전에는 Guy Sigsworth와 함께 Frou Frou를 결성하여 음반을 냈다.], 힙의 솔로 디스코그래피에서는 이 음반부터 [[얼터너티브 락]] 대신 [[일렉트로니카]]적인 성향을 추구한다. Frou Frou에서의 동료 Guy Sigsworth의 도움을 상당히 많이 받았으며, 그 유명한 [[https://www.youtube.com/watch?v=UYIAfiVGluk|Hide And Seek]]이 실려있다. * Ellipse (2009) * Sparks (2014) == 엔지니어로서 == 신기술 도입에 상당히 적극적인 편으로, [[위키피디아]]에서는 실제로 엔지니어로 분류되어 있다. 2009년에는 --지금은 망한-- 가상 객석을 만들어주는 화상 채팅 앱 보클 (Vokle)을 이용하여 공연을 하면서 채팅으로 청취자들의 의견을 들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2d_uPqKW6w|당시 남아있는 영상]], 신곡 'Aha'의 북미 투어 첼로 연주자를 Vokle에서 오디션하여 뽑았다. 이 때 지원자들은 [[YouTube]]에 자신의 첼로 연주 영상을 올렸고, 이모젠 힙이 이를 보고 Vokle로 오디션을 봐서 뽑았다. 당시 Vokle 서비스가 2008년 6월에 개설되어 2009년 3월에 프로토타입이 나온 상황이었다. 우리나라에 인터넷 방송을 널리 알린 [[아프리카TV]]가 2006년에 처음 서비스가 도입되었고, 그 이후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키기까지 긴 세월이 걸렸음을 감안하면, 꽤나 신기술 도입에 적극적이고 빠른 행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의 태동기에 이 기술을 활용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만드는데 일조한 사람이다. 2015년 10월 힙은 블록체인 기술 기반에서 개발자들에게 자신의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앱을 제작하게 했고, 이것이 우조 뮤직이다. 우조 뮤직은 이용자들이 [[이더리움]]을 이용해 음원을 구입할 수 있는 유통플랫폼이다. 이용자가 음원을 구매하면 그 금액은 곧바로 프로듀서와 작사가, 엔지니어 등 곡 생산에 관여한 전문가들에게 배분된다. 또한, 이와 함께 음악 아티스트가 직접 음악의 크레디트, 사용법, 거래 정보는 물론 언제 어디에서 음악이 재생되는지 등에 대한 정보도 직접 관리할 수 있는 등, 모든 정보가 바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관리할 수 있어서 저작권 관리와 보호가 가능한 것이다. 이모젠 힙은 이 플랫폼에서 'Tiny Human'이라는 곡을 냈다.[* [[http://www.hellot.net/new_hellot/magazine/magazine_read.html?code=202&sub=002&idx=40720|출처]]] 2011년 손의 움직임으로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Mi.Mu Gloves를 몇 명의 엔지니어들과 개발해냈으며, 실제로 이를 활용하여 공연하는 등 절찬리에 사용중이다. [[아리아나 그란데]], Chagall 등 유수의 아티스트들이 이를 사용중이며, 실제로 [[https://mimugloves.com|mi.mu gloves]]라는 회사를 개설하여 판매중에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i-yB6EgVW4|소개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7oeEQhOmGpg|TED Talk에서]] 엔지니어로서의 실력은 꽤나 인정받는다. [[그래미 어워드]]에서 2010년 Ellipse 앨범이 베스트 엔지니어드 앨범, 베스트 논 클래시컬 앨범 상을 수상한 바 있다. 또한 [[테일러 스위프트]]의 [[1989(음반)]] 엔지니어링 및 프로듀싱을 맡았는데, 이 앨범이 올해의 앨범 상을 탐으로써 그녀의 실력이 인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 여담 == * [[해리 포터와 저주받은 아이]] 공연의 음악을 작곡했다. * 아이가 있다. 파트너 Michael Lebor와의 사이에서 2014년 딸을 낳았다. * [[나니아 연대기: 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 영화의 삽입곡 Can't Take It In 을 불렀다. [[분류:일렉트로닉 뮤지션]][[분류:영국 여가수]][[분류:1977년 출생]][[분류:헤이버링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