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기상청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기상청장|{{{#ffffff 대한민국 제6대 기상청장}}}]][br]{{{#ffffff {{{+1 이만기}}}[br] 李萬基 | Lee Man-ki}}}'''}}}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width=100%]]}}} || ||<|2> '''출생''' ||<(> [[1950년]] || ||<(> [[충청남도]] [[대전시]] || || '''학력''' ||<(> [[한밭대학교|대전공업고등전문학교]] {{{-1 (전기과 / [[졸업]])}}}[br][[숭전대학교]] {{{-1 (전기공학 / [[학사]])}}}[br][[동국대학교]] {{{-1 (정책학 / [[석사]])}}} || || '''경력''' ||<(> [[한국전력공사]] 사원[br]제12회 기술고시 합격[br][[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학기술처]] 원자력개발과장[br]주독일대사관 과학참사관[br]과학기술부 정책기획과장[br]과학기술부 원자력안전심의관[br]과학기술부 기획조정심의관[br]과학기술부 기초인력과학국장[br]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사무처장[br][[한국과학기술원]] 감사[br]제6대 [[기상청장]],,([[참여정부]]),,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무직공무원]]이다. == 생애 == 1950년 [[충청남도]] [[대전광역시|대전시]]에서 태어나 [[한밭대학교|대전공업고등전문학교]] 전기과와 [[숭전대학교]] (현 [[한남대학교]]) 전기공학과를 졸업하였다. 독일 칼스루에(Karlsruhe)대학교에서 원자력공학,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정책학을 공부했으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국가정책과정과 국방대학교 안보과정을 이수했다. 숭전대를 졸업하고 [[한국전력공사]]에서 근무하였으나 1976년 제12회 기술고등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에 들어섰다. 공직 초기(1977~1980)에는 문교부(현 교육부) 사무관으로 재직하였으나 1980년에 과학기술처로 자리를 옮겼다. 과학기술처에 재직하면서 과장(방사선과장 / 정보산업담당관 / 원자력개발과장 / 주 독일대사관 참사관 / 정책기획과장)을 지내고 과학기술부 국장으로 승진하여 원자력안전심의관 / 기획조정심의관 / 기초과학인력국장을 지냈다. 국장을 맡은 이후 실장급으로 승진해서는 대통령 직속 과학기술자문회의 사무처장을 맡다가 공직에서 퇴임하였다. 공직 퇴임 이후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감사를 지냈으나 2006년 2월 [[참여정부]]에서 [[기상청장]]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는 2008년 3월까지 청장으로 재직하였다. 근정포장과 황조근정훈장을 받았다. 저서로는 <기상정보론>(시그마프레스,2013)-2014년도 세종도서(구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우수도서), 학술부문-과 <우리 역사를 바꾼 조선의 하늘, 그 비밀코드로의 시간여행>(좋은땅, 2021) 및 <그래, 난 꼰대다 그래서 도대체 뭐 어쩌라구?>(좋은땅, 2023)가 있으며, 감수 저서로 <미국의 기상산업정책>(신광출판사, 2009)이 있다. [[분류:1950년 출생]][[분류:대전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기상청장]][[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한남대학교 출신]][[분류:한밭대학교 출신]] [[분류:5급 공개경쟁채용시험(기술직군)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