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이리나 차시나}}}[br]Ирина Чащина | Irina Tchachina'''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Incredible-gymnast-Irina-Tchachina.jpg|width=100%]]}}} || || '''본명''' ||이리나 빅토로브나 차시나[br]Ирина Викторовна Чащина[br]Irina Viktorovna Tchachina|| ||<|2> '''출생''' ||[[1982년]] [[4월 24일]]([age(1982-04-24)]세)||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SFSR]] [[시베리아 연방관구]] [[옴스크]]||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신체''' ||166cm, 45kg|| || '''종목''' ||[[리듬체조]]|| || '''코치''' ||[[이리나 비녜르]], 베라 슈텔바움|| || '''SNS''' ||[[https://www.instagram.com/irina4ashina|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의 前 [[리듬체조]] 선수다. == 선수 경력 == === 어린 시절~[[1999년]] === 6살 때 리듬체조를 시작했으며, 많은 주니어 대회들에서 우승하며 12살에 대표팀에 합류했다. 1999년에 [[러시아]] 팀 헤드코치인 [[이리나 비녜르|비녜르]]의 눈에 들어 대표팀 체육관에서 정식으로 훈련할 수 있었다. === [[2000년]]~[[2005년]]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farm6.staticflickr.com/5302642480_42c157a221_z.jpg|width=100%]]}}} || || '''{{{#fff 2004 아테네 올림픽}}}''' || 2001 세계선수권에서 한 번 카바예바를 이기고 우승하고 나머지 종목들에서도 수상하는 등 좋은 기록을 남겼으나, 비녜르가 먹였던 다이어트 약에 금지 약물이 들어가 있었다는 게 밝혀지면서 그 경기의 모든 메달을 박탈 당하는 지지리도 운 없는 일이 있었다. 참고로 이 약물 파동으로 1, 2위인 차시나와 [[알리나 카바예바]]는 메달이 박탈 당하고, 5위였던 [[안나 베소노바]]가 동메달을 받았다. 2000년 이후로는 부동의 러시아 팀 멤버로 활동했으나, 초고난도 신체난도를 가진 [[알리나 카바예바]]에 밀려 쭉 [[콩라인]]이었다. 그러나 약물 파동 이후로 기량이 점점 떨어져 갔던 카바예바에 비해 꾸준히 조금씩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고, [[2004 아테네 올림픽]] 전후에는 더욱 물 오른 연기와 실시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카바예바의 벽은 너무 높았고, 결선에서는 리본이 엉키는 결정적 실수를 하면서 은메달을 땄다. 사실 본인도 최고의 연기를 보여줬어도 은메달에 머물 것을 예상한 듯한 모습이었다. 차시나의 실시보다 카바예바의 유연성이 더 높은 평가를 받아왔다. 2005 세계선수권 개인 종합에서 동메달을 딴 후 은퇴하였다. == 평가 == 좋은 체형과 인형 같은 얼굴, 뛰어난 표현력, 그리고 칼 같은 실시로 유명하였고, 여러 모로 [[알리나 카바예바]]와 대조되는 스타일의 선수였다. [[알리나 카바예바]]와 함께 리듬체조 레전드로 꼽히는 선수다. 비록 선수 시절 성적은 카바예바에게 밀려 2인자에 머물러야 했지만, 예술성만은 카바예바보다 더 높은 평을 받는 선수이다. 시그니처 기술은 팬들이 차시나 립이라고 부르는 차시나만의 전매특허 기술이었던 립이다. 한 발의 추진력으로 따라 올라가는 립과 양 발의 추진력으로 밀어올리는 립 2유형 모두 완벽한 실시를 기록했다. 또 다른 기술은 백 일루전으로, 허리를 뒤로 젖히는 형에서 완벽한 아치를 이루는 백밴드 형 일루전을 완성해 구사했던 걸로 아직까지도 팬들에게 회자된다. == 수상 기록 == ||
'''대회''' || '''금''' || '''은''' || '''동''' || || 올림픽 || 0 || 1 || 0 || || 세계선수권 || 3 || 1 || 5 || || 유럽선수권 || 6 || 3 || 2 || || 유럽 팀선수권 || 2 || 0 || 0 || || 월드컵 파이널 || 2 || 1 || 0 || || 그랑프리 파이널 || 0 || 2 || 2 || || 월드 게임 || 4 || 0 || 0 || || 유니버시아드 || 4 || 3 || 1 || || '''합계''' || '''21''' || '''11''' || '''10''' || ---- ||<-3>
{{{#white 올림픽}}} || || 은메달 || [[2004 아테네 올림픽|2004 아테네]] || 종합 || ||<-3> {{{#white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1999 오사카 || 단체전 || || 금메달 || 2003 부다페스트 || 단체전 || || 금메달 || 2005 바쿠 || 단체전 || || 은메달 || 2003 부다페스트 || 곤봉 || || 동메달 || 2003 부다페스트 || 종합 || || 동메달 || 2003 부다페스트 || 후프 || || 동메달 || 2005 바쿠 || 종합 || || 동메달 || 2005 바쿠 || 줄 || ||<-3> {{{#white 유럽선수권}}} || || 금메달 || 2000 사라고사 || 단체전 || || 금메달 || 2001 제네바 || 줄 || || 금메달 || 2002 그라나다 || 단체전 || || 금메달 || 2004 키예프 || 단체전 || || 금메달 || 2005 모스크바 || 단체전 || || 금메달 || 2005 모스크바 || 곤봉 || || 금메달 || 2005 모스크바 || 줄 || || 은메달 || 2001 제네바 || 곤봉 || || 은메달 || 2001 제네바 || 공 || || 은메달 || 2001 제네바 || 후프 || || 동메달 || 1998 포르토 || 단체전 || || 동메달 || 2004 키예프 || 종합 || ||<-3> {{{#white 유럽 팀선수권}}} || || 금메달 || 2001 리에사 || 단체전 || || 금메달 || 2003 모스크바 || 단체전 || ||<-3> {{{#white 월드컵 파이널}}} || || 금메달 || 2004 모스크바 || 곤봉 || || 금메달 || 2004 모스크바 || 공 || || 동메달 || 2000 글래스고 || 줄 || ||<-3> {{{#white 그랑프리 파이널}}} || || 은메달 || 2005 베를린 || 종합 || || 은메달 || 2005 베를린 || 줄 || || 동메달 || 2000 데벤테르 || 공 || || 동메달 || 2000 데벤테르 || 줄 || ||<-3> {{{#white 월드 게임}}} || || 금메달 || [[2001 아키타 월드 게임|2001 아키타]] || 곤봉 || || 금메달 || [[2001 아키타 월드 게임|2001 아키타]] || 공 || || 금메달 || [[2001 아키타 월드 게임|2001 아키타]] || 줄 || || 금메달 || [[2001 아키타 월드 게임|2001 아키타]] || 후프 || ||<-3> {{{#white 유니버시아드}}} || || 금메달 ||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2003 대구]] || 종합 || || 금메달 ||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2003 대구]] || 곤봉 || || 금메달 ||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2003 대구]] || 공 || || 금메달 ||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2003 대구]] || 후프 || || 은메달 ||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2003 대구]] || 리본 || || 은메달 || 2005 이즈미르 || 종합 || || 은메달 || 2005 이즈미르 || 리본 || || 동메달 || 2005 이즈미르 || 곤봉 || == 기타 == * 세계선수권 메달 9개, 유럽선수권 메달 11개 등 화려한 편이나 안타깝게도 [[알리나 카바예바]]에게 밀려 두 명이 출전한 대회에서는 개인종합 우승 기록이 없다. * 언제나 웃는 얼굴이었던 [[알리나 카바예바]]에 비해 뭔가 있어보이는 분위기와 차가운 이미지로 인해 얼음공주라는 별명이 있었다. 경기장에서는 무표정에 말도 없었다. 기자가 이에 대해 질문하자 차시나가 대답하길 자신은 경기에서 미소 지을 만큼 여유로웠던 적이 없었다고 한다.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참가를 위해 내한했을 때, 팬들이 접근했는데도 말을 하나도 하지 못했다. 게다가 차시나는 주변에 팬들이 있었다는 것조차 눈치 채지 못했다고 한다. 오히려 러시아 선수의 팬들이라고 느낀 [[자리나 기지코바]]를 비롯한 다른 러시아 동료 선수들이 대신 인사했다고 당시 통역 및 기술 자원봉사자들로부터 전해진다. * [[예브게니야 카나예바]]의 고향 선배면서 코치도 같은 베라 슈텔바움이다. 그래서 그런지 둘의 팔 움직임 등 안무를 소화하는 스타일이 비슷하다.[* 카나예바가 차시나의 표현력과 실시, 그리고 카바예바의 신체난도를 가졌다고들 한다.] * 2011년에 비녜르 부부의 소개로 17살 연상인 러시아 국영재벌 사업가와 결혼했고, 그 덕에 본인 소유의 체육관을 갖고 있다. 현재 러시아 체조연맹 부회장을 카나예바와 함께 역임 중이다. 일설에는 비녜르가 차시나에게 회장 자리를 넘겨주고자 했으나 본인이 거절했다고 한다. 그런데 아무리 봐도 탐욕의 화신 비녜르가 진짜로 자리 넘길 생각은 없었던 거 같고 그냥 간만 본 것일 수도 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rg.sport.ua/2efa7af7bc10a84c24bdbe4366f28_3_51_chash_f03_fmt.jpg|width=100%]]}}}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zhenyakanaevagymnasium.files.wordpress.com/tp0l_m89cis.jpg|width=100%]]}}}|| [각주] [[분류:러시아의 리듬체조 선수]][[분류:옴스크 출신 인물]][[분류:1982년 출생]][[분류:2005년 은퇴]][[분류:러시아의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2004 아테네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러시아의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분류: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분류:2005 이즈미르 하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분류:러시아의 월드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01 아키타 월드 게임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