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 || {{{#ffffff '''필독: 주의사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eaeaea 이 문서는 실제로 혼동할 수 있는 사례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있지, 말장난을 치거나 헷갈릴 수가 없는 무의미한 내용을 알리기 위한 용도로 있는 문서가 아니다. 말장난은 [[반어법]], [[언어유희]], [[동음이의어·다의어]] 문서에 작성하거나 그 사례가 설명된 문서에 서술하기 바라며 다음과 같은 내용은 작성하지 않도록 주의하길 바란다. ---- * '''언어유희''' 예) [[진주시]]에는 [[진주]]가 없다, [[구리시]]에는 [[구리(원소)|구리]]가 없다, [[대구광역시]]에는 [[대구(어류)|대구]]가 살지 않는다, [[나무위키]]는 [[나무]]로 만들어지지 않았다, [[붕어빵]]에는 [[붕어]]가 들어가지 않는다, [[Apple Store]]는 [[사과]]를 팔지 않는다, [[AMD RYZEN Threadripper]]는 [[실#s-3]]을 자르지 못한다 등. 물론 '[[대나무]]는 [[나무]]가 아니다.' 처럼 단순 언어유희가 아닌 것은 등재 가능하다. * '''상식적으로 헷갈릴 수가 없는 내용'''[* 단, 충분히 헷갈릴 가능성이 높은 것(예: [[레서판다]]는 [[판다]]가 아니다.)은 등재 가능하다.] 예) [[조선중앙방송]]은 [[조선]]과도 [[조선일보]]와도 [[중앙일보]]와도 아무런 관련이 없다, [[공청석유]]는 [[석유]]가 아니다, [[기미가요]]는 가요가 아니다, [[메타버스]]는 [[버스]]가 아니다, [[물음표]]는 [[음표]]가 아니다 등 * '''특별한 배경 또는 목적을 가지지 않고 관용적/비유적으로 지어진 고유명사''': [[관용구]]는 하단에 서술된 고사성어와 마찬가지로 뜻을 직역하지는 않는다. 또한 이런 식으로 따지면 웬만한 고유명사들이 죄다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으로 포함되어야 된다. 예) 엄마손파이는 엄마의 손으로 만들지 않는다, [[한권으로 완성하는 수학]]은 한 권이 아니고 다섯 권이다 등 * '''이름을 통한 단체 비하''': 단체나 조직의 이름을 통해 비하하는 것은 예시가 너무 많으며 편집자의 주관적인 견해가 포함되기 쉽다. [[볼테르]]의 [[신성 로마 제국]] 평가 등 일부 유명한 예시를 제외하고는 등재하기 어렵다. 예) OO당은 OO이 아니다 등. * '''뜻과는 상관없이 소리만 나타낸 음차 표현''' 예) [[태국]](泰國)은 큰 나라가 아니다, [[미국]](美國)은 아름다운 나라가 아니다 등. * '''대상의 '이름' 속에 의미가 나타나 있는 게 아닌, 대상의 흔한 특성이 나타난 내용''': 이 문서의 제목만 봐도 당연히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되는 내용이지만, 지워지지 않고 방치된 것들이 상당히 많다. 만일 발견하면 되도록 알아서 삭제하기를 바란다. 예) [[배트맨]]은 [[박쥐]]가 아니다, [[성탄절|크리스마스]]는 [[예수]]가 탄생한 날인지는 알 수 없고 탄생을 기념하는 날이다 등. * '''고사성어 직역''': 이런 식으로 직역해버리면 웬만한 [[고사성어]]들이 죄다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가령 [[일석이조]]에는 '이득', '사냥'이라는 뜻을 가진 한자가 없으며, [[귀모토각]]에는 '없다'라는 뜻을 가진 한자가 없다. 그러나 누구도 곧이곧대로 '돌 하나와 새 두 마리', '거북의 털, 토끼의 뿔'이라고 해석하지 않는다.] 단, 직역이 아닌 '''실질적인 뜻'''에서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경우에는 작성을 허용한다. 예) [[철면피]]는 진짜 쇠로 된 가죽을 지칭하지 않는다, [[모순]]이라는 단어에는 논리와 관련된 글자가 없다, [[퇴고]]에는 글짓기, 글 다듬기와 관련된 한자가 없다 등 * '''작품의 발표 날짜와 제목이 다른 경우''': 이걸 따지면 과거나 미래를 다룬 많은 작품들을 다 써 넣어야 한다. 그리고 제목이 연도인 작품은 일반적으로 과거든 미래든 작품 내 배경 연도를 기준으로 짓는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은 이름과 실제가 다르다고 할 수는 없다. 단, 본래 발표 년도가 기준으로 제목이 지어졌는데 사정이 있어 제때 발표를 못 해서 발표 날짜와 제목이 달라진 작품은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에 해당되므로 작성이 허용된다. 예) [[김승옥]]의 '[[서울, 1964년 겨울]]'은 [[1965년]]에 발표되었다, [[조지 오웰]]의 [[1984(소설)|1984]]는 1949년에 발표되었다,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는 [[1968년]]에 개봉하였다, [[태연]]의 노래 [[Weekend]]는 주말이 아닌 주중에 발매됐다 등. * '''유명한 장소에서 이름을 따온 경우''': 특히 온라인 플랫폼인 경우 상식적으로 헷갈릴 만한 내용도 아닐 뿐더러 사례가 지나치게 많다. 가령, '아마존'이란 이름을 갖다 쓴 업체를 한국 한정으로만 검색해도 수십 개가 넘게 나온다. 예) [[아마존닷컴]]은 [[아마조니아|아마존]]에 없다, [[아프리카TV]]는 [[아프리카]]에 없다, [[부곡하와이]]는 [[하와이]]에 없다, [[영남알프스]]는 [[알프스 산맥]]에 없다, [[테헤란로]]는 [[테헤란]]에 없다 등. * '''위인의 이름을 사용한 경우''': 상식적으로 헷갈릴 만한 내용도 아닐 뿐더러 사례가 지나치게 많다. 예) [[에이브러햄 링컨]]은 [[링컨(자동차)|링컨]]을 타지 않는다, [[니콜라 테슬라]]는 [[테슬라]]를 타지 않는다 등. }}} [각주] ---- {{{#!wiki style="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예시 서술 폭주 방지를 위해 정말로 혼동할 수 있는 것만 작성할 것.''}}} ||}}}}}}}}} || [목차] == 개요 ==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들 중 [[수학]]과 [[과학]] 관련 예시를 서술한 문서이다. == 수학 == * 그로텐디크 소수는 소수가 아니며, [[알렉산더 그로텐디크]]의 강연 도중 그가 합성수 57을 소수의 예로 제시했다는 일화에서 유래된 농담이다. * [[등변 사다리꼴]]의 정의는 '한 쌍의 대변이 같은 사다리꼴'이 아니며, '한 쌍의 평행한 대변 중 하나의 양 밑'''각'''이 같은 사다리꼴'이다. 따라서 직사각형이 아닌 평행사변형은 등변사다리꼴이 아니다. 제대로 된 정의는 변이 아닌 각을 사용한 것으로, 이런 문제를 해소하려면 '[[등각 사다리꼴]]'로 부르는 편이 좋다. * [[감마 함수#폴리감마 함수|디감마 함수(digamma function)]]는 [[Ϝ|디감마([math(\digamma)])]]가 아닌 [[Ψ|프사이([math(\psi)])]]로 표기한다. * [[디랙 델타 함수]]는 함수가 아니라 'distribution'이다. * [[절대 연속 측도#s-2.3|라돈-니코딤 정리]](Radon-Nikodym Theorem)는 원소 [[라돈]](Radon)과는 전혀 관련 없다. * [[모서리]]는 n면체의 한 변을 가리키지만, 정작 일상 용어로는 [[꼭짓점]]을 가리키는 말로 더 자주 쓰이고 있다. * [[복소수]](複素數)는 [[소수(수론)|소수]](素數)와 관련이 없다.[* 완전히 관계없지는 않지만, 그 관계라는 것이 다른 것도 아닌 [[밀레니엄 문제|세계 수학 7대 난제]]인 [[리만 가설]]이다.]--당연히 그 소수(小數)와도 관련없다.-- 복소수는 [[실수(수학)|실수]]와 [[허수]]의 두 원소의 합으로 이루어진 수 [[집합]]이며, 소수는 모든 [[자연수]]의 근원이 되는 수 집합이다. * [[분리공리]]는 [[공리]]가 아니다. * [[불완전성 정리]](incompleteness theorem) 때문에 수학의 이론 체계가 불완전하므로 수학의 결과는 불완전하다는 경우가 있는데, 이름 때문에 생기는 오해다. 이 정리는 '''자연수 집합을 포함하는 모순 없는 [[공리]] 체계가 있으면 이 공리 체계로 참 또는 거짓임을 증명할 수 없는 [[명제]]가 꼭 존재한다'''는 것을 말하는데, 어딜 봐도 이게 증명된, 그리고 증명될 명제들의 증명이 불완전하다는 말은 없다. 수학에서 일단 참 혹은 거짓으로 판명된 명제는 (가정과 공리계의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는 한) '''언제나 무조건 참'''이다.[* 흔한 오해로, 삼각형 내각의 합은 항상 180도라는 명제가 틀린 거지 않냐고 하지 않겠지만, 이건 그 삼각형이 평평한 평면에 있다는 가정을 (혹은 유클리드 제5 공리를) 엎었기 때문에 일어난 현상이다. 가정을 엎고서 명제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건 하나마나 한 소리다.] * 빠진 근방은 [[근방]]이 아니다. * [[삼각함수]]는 [[삼각형]]보다 [[원(도형)|원]]에 더 관련이 깊다. 삼각형과 관련이 깊은 쪽은 [[삼각비]]인데, 삼각함수와는 다소 상이하므로 문서 참조.[* [[삼각함수]]는 [[삼각비]]의 정의역을 90[math(\degree)](=[math(\dfrac π2)]) 이내의 예각에서 일반각으로 확장시켜 정립된 개념이다. 이렇게 '''기존의 정의역과 공역을 모두 포함하면서''' 새로운 정의역과 공역을 추가하는 것을 '[[해석적 연속|해석적 확장]]'이라 한다.] * [[수학적 귀납법]]은 [[페아노 공리계]] 하에 전제가 참이면 결론도 반드시 참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귀납논증]]이 아닌 [[연역논증]]의 일종이다. * [[쌍곡선 함수]]는 [[쌍곡선]]과는 관련이 깊지만 쌍곡선 그 자체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마치 삼각함수가 원과는 관련있지만, 원 또는 삼각형 그 자체를 의미하진 않는다는 것과 유사하다. * [[육십분법]]은 실제로는 1회전의 360등분을 단위로 하는 각도이다. * [[음함수]]는 [[음수]]와는 그다지 상관없다. 음함수는 함수의 특성을 숨겨뒀다(Implicit function)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또한, 음함수는 엄밀히 말해 함수가 아니다. 이름을 붙이길 '함수'라고 했지만, 모든 음함수가 본래 함수의 정의에 부합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함수'라고 할 수 있는 음함수는 양함수식을 조작하여 음함수로 옮긴 경우뿐이다. * [[이원수]]라는 [[수 체계]]의 이름은 [[사원수]]의 기반이 되었을 것 같은 이름이지만, 서로 큰 관련이 없는 수 체계이다. 사원수는 이원수가 아니라 [[복소수]]의 확장 개념이다. * [[적분|적분상수]]는 [[상수]]가 아니며 적분하는 사람이 마음만 먹으면 0으로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불리는 것은 적분상수가 [[미분]]에 의해 사라졌던 상수항 자리에 대응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적분상수를 미분하면 0이 된다. * [[정수론]]은 [[정수]]보다 [[자연수]] 및 [[소수(수론)|소수]](素數)를 주로 다룬다. * [[줄기와 잎 그림]]은 실제로 줄기와 잎을 그린 그림이 아니라 그냥 표다. 줄기와 잎을 '머릿속으로 그려야 하는' 점에서 이 이름이 붙었다. 사실 이 이름에 더 어울리는 것은 [[트리(그래프)|수형도]]다. * [[코시-리만 방정식]]은 [[오귀스탱루이 코시]]와 [[베른하르트 리만]]이 아닌, [[장바티스트 르 롱 달랑베르]]가 만들었다. 이는 [[리우빌의 정리]]도 마찬가지로 증명한 사람은 오귀스탱루이 코시이며, 리우빌은 이 정리의 따름정리를 증명했다. * 수학자 이름이 들어간 정리 중에는 도둑질로 인해 실제 발견자와 이름이 다르게 붙은 경우도 있다. 가령 3차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카르다노 공식'의 경우는 [[니콜로 폰타나]]의 해법을 [[지롤라모 카르다노]]가 자기 이름으로 발표한 것이며, [[로피탈의 정리]]는 기욤 드 로피탈이 [[요한 베르누이]]의 자료를 헐값에 사들여서 자기 이름을 붙여 발표한 것이다. * [[코흐 곡선]], [[드래곤 커브]]는 사실 선분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학술적으로는 직선도 곡선에 포함되므로 이렇게 보면 꼭 틀린 것도 아니지만, 일상 언어에서는 곡선이 직선의 반의어로 쓰이기 때문에 다소 어폐가 있다. 코흐 곡선을 '곡선'으로 부르는 것은 꼬불거리는 모양 때문인데, 아무리 꼬불거려도 결국 어디까지나 선분이다... * [[타원곡선]]은 [[타원]]과 관계가 없다. 사실 엄밀히 말하면 아주 무관계한 것은 아니지만,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 타원의 호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서 [[타원/타원 적분|타원적분]]이라는 함수가 나오고, 타원곡선은 이 타원적분의 역함수 개념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 또한 이 타원곡선과 연관된 함수인 [[바이어슈트라스 타원 함수]] 역시 타원과는 접점이 없다.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피에르 드 페르마]]가 마지막으로 남긴 정리가 아니라, 페르마가 남겼던 각종 문제들 중 마지막까지 증명되지 않았던 문제를 지칭하는 표현이다. 페르마가 제대로 된 증명 없이 명제만을 질문처럼 남기고 사망했으므로 이때는 '추론'에 불과했다. 한참 뒤 1994년에 [[앤드루 와일스]]가 증명에 성공함으로써 비로소 '정리'의 지위를 얻은 것이다. 보통 정리의 명칭은 증명한 사람의 이름을 따지만,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문제를 제시한 페르마 쪽이 진작에 훨씬 유명해져 버려 페르마의 이름이 붙는 바람에 오해가 발생한다. * [[평범한 삼각형]]은 평범하지 않다. 문서 참고. * [[피타고라스 세 쌍|피타고라스 수]]는 '수'가 아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집합|집합족]](Family of sets)의 일종으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만족하는 자연수 세 개로 이루어진 집합을 원소로 한 집합이다. * [[하노이의 탑]]은 [[베트남]]의 [[하노이]]와 연관이 없다. 오히려 관계 있는 곳은 인도 [[바라나시]](영문명 베나레스)이다. == 물리학 == * 가볍다는 뜻을 지닌 [[렙톤]] 가운데 [[타우온]]은 [[양성자]]보다도 무겁다. * [[기본 입자]]의 [[색전하|색]]은 실제 색이 아니라 입자의 특성을 색에 비유한 것이다. [[맛깔]] 역시 실제 맛과는 관련이 없다. * [[돌림힘]](Torque)은 힘이 아니고 오히려 경향성에 더 가깝다. 그래서 고등학교에서는 돌림힘이라고 배우지만 대학교에서는 영어권이 주도하는 학계답게 돌림힘이라는 명칭을 피하고 편하게 토크라고 부른다. * [[원자]]의 영어명인 atom은 [[존 돌턴]]의 원자설에 따라 더 이상 '쪼갤 수 없다'는 뜻인 átomos에서 유래했지만, 이후 [[기본 입자]]로 쪼갤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면서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이 되었다. * [[전압]](Voltage)은 전기적인 [[압력]]으로 알기 쉽지만 실은 단위 전하당 [[전기 퍼텐셜]] 에너지의 차이이다. 그래서 '''전위차'''라고도 한다. 전기의 흐름에서의 전압이 물의 흐름에서의 수압과 비슷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 [[종단속도]]는 사실 벡터가 아니니 "종단속력"이 맞는 말이다. [[탈출속도]] 역시 "탈출속력"이 맞는 말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종단속력, 탈출속력으로 용어가 바뀌는 추세이다. * [[상대성 이론]]은 오히려 빛의 속력의 절대성과 법칙의 공변성(covariance) 혹은 불변성(invariance)을 강조하기에 적절치 못한 이름이란 의견이 많다. 당장 아인슈타인도 '''불변성(invariance) 이론'''이란 이름을 희망하였으나 어쩌다 보니 지금과 같은 이름을 갖게 된 것이다. 이 이름은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relativity theory) 사용되는 이름이라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상당한 오해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 [[플랑크 단위계]]에서는 [[플랑크 상수]]가 아닌 [[디랙 상수]]를 단위로 설정한다.[* 해당 문서의 역사 항목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사실 플랑크 본인은 플랑크 상수를 단위로 삼았다.] 이는 디랙 상수가 [[플랑크 상수]]의 실수배[* [math(\hbar = \dfrac{h}{2\pi})]]에 불과한 것도 있고, 디랙 상수를 쓰는 것이 더 계산하기 용이한 것도 있다. * [[초음속]](超音速)은 '음속을 넘는다'는 뜻과는 조금 다르게 음속의 1.2배를 넘어야만 초음속으로 인정된다.~~초1.2음속~~ 해당 문서 참고. * [[양성자]] 붕괴는 양성자 뿐 아니라 중성자에서도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현상이다. * [[영구자석]]은 영구적으로 유지되는 자석이 아니며, 주변 환경의 영향이나 오랜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자성을 잃을 수 있다. * [[오비탈]] 중 s-오비탈은 Sharp(뾰족한)라는 의미가 부여되어 있는데, 이름과는 달리 뾰족한 곳이 없는 [[공 모양]]이다. * [[군론(물리학)|물리학에서의 군론]]과 [[군론(화학)|화학에서의 군론]]의 내용물은 [[표현론]]에 가깝다. * [[역온도]]는 실질적으로는 [[온도]]가 아닌 [[일(물리학)|일]]의 역수이다. * [[정상파]](定常波)는 정상(正常)적인 파동이 아니다. '제자리파'라는 이름이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다. * [[해밀턴의 원리]]는 [[해밀턴 역학]]보다는 [[라그랑주 역학]]에 더 가깝다. * [[허블 상수]]는 상수가 아니다. == 화학 == * [[경유]](輕油)는 중유(重油)에 비해 밀도가 가벼워서 붙여진 이름일뿐, 가솔린, 등유, LPG 등보다는 밀도가 높다. 또한 [[경차]] 전용 연료라는 뜻도 아니다. 이것 때문에 일본에서는 경차에 경유를 넣는 혼유사고가 종종 일어난다고 한다. * [[루비듐]]은 [[루비]]의 구성원소가 아니다. 둘다 붉은색을 뜻하는 라틴어인 rubidus에서 따왔을뿐. * '[[비타민]]'은 본래 생명에 필수적인(vit) [[아민]](amine)이라는 어원을 갖고 있다. 하지만 비타민 중에는 질소가 없는 것도 많다.[* 대표적인 예로 [[아스코르브산]] 등] 자세한 설명은 해당 문서로. * [[빈 표준 평균 바닷물]]은 증류를 거쳐 [[소금]]과 [[염]]을 모두 제거한 [[증류수]]이기 때문에 [[바닷물]]이 아니고, [[내륙국|있지도 않는]] [[빈(오스트리아)|빈]] 앞바다에서 퍼온 물도 아니다.[* 바닷물에서 퍼올렸기 때문에 '바닷물'이 쓰인 것이고 '빈'이 들어간 이유는 [[국제원자력기구]]의 본부가 위치한 빈에서 열린 회의에서 표준 [[원기#s-2]]로 쓰기로 합의되었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막은 사실 좀 복잡하다. 해당 문서 참조.] * [[산소]](酸素)는 [[산(화학)|산]](酸)과 관련이 없다. 이 원소의 존재를 처음으로 알아냈을 때 [[앙투안 라부아지에]]가 산성을 띄게 해주는 성질을 가진다고 여겨서 1778년에 'Oxygène'이라는 이름이 붙었고, '산소', 'Oxygen' 같은 단어들로 번역되어 전세계로 퍼졌다. 그런데 문제는 나중에 연구를 통해 수소의 이온상태가 오히려 산성을 띄게 해주고 산소와 수소가 붙은 수산화 이온이 오히려 염기성을 띄게 해주는 동시에 불산, 염산등의 할로겐족 원소계열 산성 물질이 산소 없이 산성을 띔을 알아내서 이 물질에 'Oxygène'이라는 명칭을 붙인 게 잘못임을 깨달은 것이다. 하지만 지금도 동서양 구별 없이 이 물질을 'Oxygène'/'산소'/'Oxygen' 로 부른다. 정작 산과 관련 있는 원소는 [[수소]]이다. * [[아미노산|아미노'''산''']](酸) 가운데 정작 [[산(화학)|산성]]인 것은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둘뿐이다. 개중에는 [[라이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히스티딘]] 등 '''[[염기(화학)|염기]]성을 띤 것도 있다.''' '아미노산'이라는 명칭은 아민기(NH,,2,,-)와 카복실기(-C(=O)-OH)가 둘 다 있기 때문에[* 다만 [[프롤린]]은 NH,,2,,-가 아닌 R,,1,,-NH-R,,2,, 형태다.] 접두사인 '아미노(amino-)'와 접미사인 '산(acid)'이 붙었다. 액성과는 관련 없다. 다만 [[브뢴스테드-로리 산염기|브뢴스테드-로리 산]]으로 작용할 수는 있다. 다시 말해 액성이 산성은 아니나, 염기가 있으면 [[수소 이온]]을 줄 수는 있는 것이다. * [[양은]]은 [[은]]이 아니고 [[구리(원소)|구리]]에 [[니켈]]과 [[아연]]을 첨가한 합금이다. * [[카복실산]] 중 [[아르기닌]], [[라이신]]은 [[염기(화학)|염기성]]이다. * [[크로몰리]]는 이름과는 달리 [[크로뮴]]과 [[몰리브데넘]]은 눈꼽만큼만 들어 있고 나머지는 죄다 [[철(원소)|철]]이다. * [[폴리카보네이트]]는 [[탄산]](carbonate)의 중합체가 아니다. * [[플루오렌]], 플루오레세인 등의 화학물질에는 [[플루오린]]이 없다. 원래 '플루오린'이라는 이름 자체가 형석(螢石, fluorite)에서 유래한 데다가, 한자(반딧불 형)로도 알 수 있듯이 영어의 'fluor'(보통은 접두사로 활용됨)는 형광(螢光)이라는 뜻이다.[* 정확한 유래는 다음과 같다. 'Fluorite'라는 이름은 '흐른다'는 뜻의 라틴어 'fluo'에서 유래하였으며, '형광'을 가리키는 접두사 'fluor'와 '플루오린'을 뜻하는 'fluor' 모두가 이 'fluorite'에서 유래되었다.] 이에 따라 플루오린 또한 형광물질이 아니다. 그에 반해 형석은 자외선에 두거나 가열하면 이름다운 빛을 낸다. * [[화이트 골드]]는 [[백금]]과는 다른 물질이다. [[금]] [[합금]]의 일종으로 '백색금'으로도 부르며, [[니켈]], [[팔라듐]] 같은 백색 금속과 금을 섞어 만들고, 간혹 백금을 첨가할 때도 있다. 백금은 영어로 '플래티넘(platinum)'으로서 원소기호는 'Pt'이다. * 광물 황동석(CuFeS,,2,,)은 합금 [[황동]](Cu:Zn)과 다른 물질이다. 오히려 [[황철석]] 계열이다. * [[황산]]('''黃'''酸)은 노랗지 않다. 원료인 [[황(원소)|황]]이 노란색을 띠기 때문에 붙은 이름. 사실 황의 원래 이름은 유황(硫黃)이며, 이 중 硫가 해당 원소 의미를 나타내는 글자이고 黃은 단순히 색을 나타내는 글자이기 때문에 일본이나 중국 등에서는 유산(硫酸)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 '[[흑연]](黑鉛, blacklead)'은 '검은 납'이라는 뜻인데, 사실은 [[납]](lead)이 전혀 없는 순수한 [[탄소]] 덩어리이다. 사실 [[연필]]('''鉛'''筆)에도 납 성분은 전혀 없다. 이는 [[언어의 보수성|과거에 연필심을 흑연 말고 납을 사용해서 만들었기 때문이다.]] * [[희토류 원소]](rare-earth elements)는 '희귀하다'는 뜻이 있는 이름과 달리 지구에 꽤 풍부하다. 다만, 현재 기술로는 원석에서 원소를 추출하고, 순물질로 정제하기가 매우 까다로워서[* 당장 희토류 원소 가운데 [[디스프로슘]]은 대놓고 '''도달하기 힘들다'''는 뜻이다.] 저런 이름이 붙었으므로 이름과 실제가 반만 같고 반은 다른 셈이다. '희'를 희귀 대신 희소로 생각하면 맞는 이름이 된다. == 생물학 == ||생김새와 행동 때문에 이름을 짓는 사례는 흔하니 여기에 작성하지 말고 그 문서에 작성할 것. 빠르게 찾아보고 싶다면 ctrl + f로 찾아볼 것.|| '''아주 넘쳐난다.''' 속 단위에서 다른 것은 물론이고 과 단위, 심지어는 목 단위나 강 단위에서 다른 것도 많다. 한국어만 그런 게 아니라 일본어, 영어에서도 벌어진다. 특히 [[학명]]의 경우 명명법 자체가 선취권을 우선시하다보니 오타가 있거나 잘못된 정보가 기반인 경우에도 이미 유효화된 학명은 바뀌지 못하며, 국가 기반으로 붙은 학명의 경우에도 우연히 엉뚱한 지역을 바탕으로 학명이 지어졌거나, 서식지의 영유 국가가 바뀌어도 수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원인이 된 이유가 [[칼 폰 린네]]의 [[생물 분류 단계]] 초창기엔 겉모습만 보고 비슷한 부류로 분류하고 이름을 지어서 그렇다. 생물들은 [[수렴 진화]]를 통해 생활상이 비슷하면 몸이 비슷해지는 경향이 있어서 겉만 슬쩍 보면 비슷해보이는 경우가 다수 있었기 때문이다. 현재는 유전자를 통해 더 정확히 분류함으로 기존에 분류한 동물들이 이름과 실제가 달라진 경우가 많이 생기고 있다. 심지어 유전자 분류가 어려운 [[고생물]]에 경우 옛날처럼 [[해부학]]적 분류로 학명을 정하게 되는데, [[화석]]이란게 몸 전체가 손상 없이 훌륭한 보존상태로 발견되는 경우가 워낙 적기 때문에 일부분만 보고 학명을 정했다가 후에 다른 부위가 발견되어 이름과 동떨어지는 황당한 사례가 '''현재도 많이 일어나고 있다.''' * [[가래상어]], 돌상어, [[망상어]], [[빨판상어]], [[은상어]], [[철갑상어]]는 상어가 아니다. 이 가운데 가래상어와 은상어를 제외한 나머지는 [[경골어류]]로, 상어와 생물학적으로 거리가 매우 멀다. 반면에 상어는 [[연골어강]]에 속한다. 가래상어는 [[가오리]]에 가깝고 은상어는 전두어강으로 상어와 가오리와 가깝긴 하지만 서로 분리된 종이다. 재미있게도 철갑상어는 경골어류지만 연골어류처럼 뼈들이 연골화되었다. * [[가면올빼미]]는 [[올빼미]]가 아니다. 각각 올빼미목 가면올빼미과, 올빼미과에 속해 있으며 이는 사람과 원숭이의 차이와 같다. * [[가시나무(식물)|가시나무]]와 [[호랑가시나무]]는 [[가시나무#s-2|가시가 돋친 나무]]가 아니며, 서로 다른 과에 속해 있다. 가시나무는 [[참나무|참나뭇과]], 호랑가시나무는 [[감탕나무|감탕나뭇과]]에 속해 있다. * [[가시두더지]]는 [[두더지]]가 아니며 오히려 오리너구리에 가깝다. 심지어 [[난생|알을 낳는 것]]도 오리너구리와 같다. * [[가지뿔영양]]은 영양처럼 생겼지만 영양이 아니며 [[기린]]에 더 가깝다. * [[개구리밥]]은 [[개구리]]가 먹는 것이 아니다. 개구리가 많이 사는 무논에 많이 살아서 붙어진 이름이다. 개구리 어릴적인 [[올챙이]]라면 잡식성이라서 먹을지도 모르지만. * [[개미]]와 [[흰개미]]는 외형 및 생태가 많이 닮았지만 생물학적으로 계통이 다르다. 개미는 벌목, 흰개미는 바퀴목이다. 개미는 말벌과, 흰개미는 바퀴벌레와 가깝다. * [[개벼룩]]은 [[벼룩]]이 아니다. 아예 [[생물 분류 단계#계|계]] 단위에서 차이가 난다. * [[갯가재]]는 [[가재]]가 아니다. 영어로는 'Mantis shrimp'라고 하는데, [[사마귀]]도 아니고 [[새우]]도 아니다. 사마귀는 곤충이고 갯가재와 가재, 새우는 갑각류이지만 갯가재는 구각목, 가재와 새우는 십각목이다. * [[검독수리]]는 [[독수리]] 계통이 아니라 [[수리]] 계통이다. 이 때문에 명칭을 '검수리'로 변경하자는 논의도 있었다. * [[검치호|검치호랑이]]는 이름에 [[호랑이]]가 들어가있지만 호랑이가 아니다. 이 때문에 검치고양이로 부르는 경우도 있긴 하다. * [[검은코뿔소]]와 [[흰코뿔소]]는 색으로 구분할 수 없다. 이 두 코뿔소를 구분하려면 입을 보면 되는데, 검은코뿔소는 입이 뾰족하고, 흰코뿔소는 입이 사각형이기 때문에 검은코뿔소는 좁은입코뿔소로, 흰코뿔소는 넓은입코뿔소[* 실제로 흰코뿔소 자체가 이 입술 크기에 대한 오역에서 비롯된 이름으로, [[네덜란드어]]로는 넓은 입술을 가졌다는 의미에서 "wijd"라고 쓴걸, 영어로 번역할 때 wide가 아닌 white로 오역해버린 것이 발단인것. 아이러니하게도 네덜란드에서도 이 오역을 기반으로 한 영명이 정착되어 하얀 코뿔소라는 뜻의 witte neushoorn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로 바꿔야 한다는 얘기도 있다. * [[고깔해파리]]와 [[감투빗해파리|빗해파리]], [[홍해파리]], [[상자해파리]]는 [[해파리]]가 아니다. * [[고라니]]를 북한에서는 복작노루라고 하는데, 고라니는 [[노루]]가 아니다. 같은 우제목 사슴과인 것은 맞지만 고라니속, 노루속으로 속이 다르다. * [[고래회충]]은 크기가 고래만한 것도 아니고 고래에게만 기생하는 회충도 아니다. 최종 숙주가 주로 고래라서 붙여진 이름. * [[꽃사슴]]은 영어로 '''Formosan''' deer이지만 [[대만]]에서만 서식하지는 않으며 학명도 ''Cervus nippon''이지만 [[일본]]에서만 서식하지도 않는다. * [[기니피그]], [[땅돼지]]는 [[돼지]]가 아니다. 돼지는 우제류이지만 기니피그는 [[설치류]], 땅돼지는 관치류이다. 또한 기니피그는 아프리카의 [[기니]], [[적도 기니]]와 [[파푸아뉴기니]]와 무관하다. 그리고 돼지는 땅돼지나 기니피그 보다는 식육목, 기제목, 박쥐 등에 더 가깝다. * [[긴팔원숭이]]는 [[원숭이]]라는 이름과 달리 [[유인원]]에 속한다. * [[날원숭이]]는 원숭이가 아니다. 다만 원숭이 등 영장목이 포함된 [[영장동물]]의 일종에 들기는 하다. * [[나도밤나무]]와 [[너도밤나무]]는 [[밤나무]] 종류가 아니다. 다만 너도밤나무와 밤나무는 같은 참나뭇과에 속한다. * 납작벌레가 속한 [[편형동물]]과 [[털납작벌레]]가 속한 판형동물은 종 이름과 그 상위 분류이름이 비슷하지만 [[늑대]]([[좌우대칭동물]])와 [[산호]]([[자포동물]])만큼 멀리 떨어진 동물이다. * [[넓적부리황새]]는 [[황새]]가 아니다. 황새는 황새목, 넓적부리황새는 사다새목에 속한다. * 네가래, 생이가래, [[가래(식물)|가래]]는 모두 생판 남이다. * [[네글레리아 파울러리]](뇌 먹는 아메바)는 [[아메바]]계가 아니라 [[유글레나]]가 속한 엑스카바타계의 페르콜로조아문 이엽상근족충강 자유아메바목 자유아메바과 네글레리아속에 속한다. 그리고 뇌에 들어가서 뇌를 먹으려고 노리는 생물이 아니라 우연히 뇌로 들어가서 [[뇌수막염]]을 일으킨다. * [[네발나비]]는 다리가 6개이다. 앞다리가 매우 짧아서 4개처럼 보인다. * [[니폰노사우루스]](''Nipponosaurus'')는 "일본의 도마뱀"이라는 뜻이고 발견 당시에는 발견지인 [[사할린]] 섬 남부가 [[일본령 가라후토|일본 영토]]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사할린 섬 전역이 일본 영토가 아니게되었다. * [[다묵장어]], [[먹장어]], [[칠성장어]], [[전기뱀장어]]는 [[장어]]가 아니다. * [[다시마]], [[미역]] 등이 속한 [[대롱편모조식물]]은 [[식물]]을 비롯한 원시색소체생물 종류가 아니라 [[SAR 상군]]에 속한다. * [[따오기]]는 학명부터 ''Nipponia nippon''으로 대놓고 [[일본]]에서 유래되었음을 보여주지만 현재 일본에는 거의 없다. 현재 [[중국]] 일부 지역에서만 서식하며 [[대한민국]]에는 야생에서 사라졌다. * [[닭새우]]는 [[새우]]가 아니다. * [[대나무]]와 [[바나나]]나무는 나무라고 부르지만 [[나무]]가 아니라 [[풀]]의 일종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풀보다 굵고 길쭉하고 단단한 생김새라 나무로 착각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참고로 대나무의 '대' 자는 큰 대(大)가 아니므로 큰 나무라고 오해하는 일이 없도록 하자. * 대왕나비는 왕나비아과가 아닌 오색나비아과이며 [[왕나비]]보다 작다. * [[대장균]]은 이름과 다르게 대장의 우점종도 아니고 대장에만 있지도 않다. 대장에 서식하는 것은 참이기는 하다. * 동의나물은 이름은 나물이지만 독성이 있어서 식용이 불가능하다. * [[돼지감자]]와 [[감자]]는 생물학적으로 거리가 먼 종이다. 돼지감자는 국화과, 감자는 가지과이다. * [[디스토마]]는 [[입]]이 두개인 생물이란 뜻이지만, 실제 디스토마들은 다른 동물들처럼 입이 하나만 있다. * [[땅늑대]]는 늑대가 아닌 하이에나다. * [[땅돼지]]도 돼지와는 거리가 멀며, 오히려 [[바다소목|바다소]]나 [[코끼리]]와 더 가깝다. * [[루타바가]]의 이명은 '스웨덴 순무'지만, [[순무]]가 아니라 [[유채]]의 변종이다. * [[마기아로사우루스]](''Magyarosaurus'')는 [[마자르족|마자르]], 즉 [[헝가리인]]의 도마뱀이라는 뜻을 가졌지만, 막상 화석들은 모두 [[루마니아]]에서 출토되었는데, 사실 발굴지인 후네도아라 지역이 그 당시에는 헝가리 영토였다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루마니아로 넘어가서 그렇게 된 것. * [[매사촌]]은 [[매(조류)|매]]와 촌수가 멀다. 매는 매목, 매사촌은 두견이목이다. * [[메가랍토르]], [[에오랍토르]], [[신랍토르]]는 벨로키랍토르 같은 랍토르(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와 무관하다. 다만 [[기간토랍토르]]나 [[오비랍토르]]같은 공룡들은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와 친척이다. * [[명주잠자리]], [[풀잠자리]]는 [[잠자리]]가 아니다. 일본어 이름은 각각 ウスバカゲロウ, クサカゲロウ로 カゲロウ([[하루살이]])가 들어가지만 하루살이도 아니다. * [[무궁화]]는 영어로 [[Rose of Sharon]]이라고 하는데 장미의 종류가 아니다. 무궁화와 장미는 같은 쌍떡잎식물강이긴 하지만 전자는 아욱목 아욱과 무궁화속, 후자는 장미목 장미과 장미속이다. * [[무화과]](無花果)는 꽃이 없이 열매만 열린다는 뜻이지만 열매이면서 동시에 그 자체가 꽃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무화과의 껍질 부분이 꽃받침이고, 우리가 먹는 내부의 붉은 부분이 꽃이다. 물론 잘 모르는 사람 입장에서 열매를 보고 꽃을 연상하기는 쉽지 않다. * [[물까치]]는 물에 살지 않는다. * [[물닭]]은 [[닭]]과 관련이 없다. 물닭은 [[뜸부기]]의 친척(북한에서는 뜸부기 자체를 가리킴)이고, 닭은 꿩의 친척이다. * [[물배추]]는 [[배추]]와 관련이 없다. 물배추는 택사목, 배추는 십자화목이다. * [[물벼룩]]은 [[벼룩]]이 아니다. 벼룩은 [[곤충]]이지만 물벼룩은 [[갑각류]]에 속한다. * [[물자라]]는 [[파충류]]인 [[자라]]와는 전혀 무관한 [[곤충]]이다. * [[모노니쿠스]]의 학명은 한개의 발톱이란 의미이지만, 최근 확인된 결과에 따르면 한개가 아닌 3개의 발톱을 가지고 있던것으로 밝혀졌다. * [[라쿤|미국너구리]]는 [[너구리]]가 아니다. 다만 생김새 때문에 창작물에서 자주 혼동된다. 라쿤은 라쿤과, 너구리는 개과이며, 사람으로 치면 '''사람과 꼬리 달린 원숭이 그 이상으로 촌수가 대단히 멀다.'''[*K 둘 다 같이 식육목에 들어가긴 하나 생활방식이 다르다.] * [[민달팽이]]는 [[달팽이|달팽이과]]가 아니라 민달팽이과에 속한다. * [[바다뱀#s-2]](2번 문단)은 [[바다뱀#s-1]](1번 문단)과 달리 파충류가 아니며, 결국 전자의 표준어가 바다뱀장어로 개명을 맞았다. * 아래에 짝지어진 동물은 서로 관련이 없다. * [[바다사자아과|바다사자]] - [[사자]][*K] * [[바다소]] - [[소]][* 바다소는 아프로테리아상목, 소는 로라시아상목.] * [[바다코끼리]] - [[코끼리]][* 바다코끼리는 로라시아상목, 코끼리는 아프로테리아상목.] * [[바다표범]] - [[표범]][*K] * [[물개]] - [[개]][*K] * [[바다돼지]] - [[돼지]]가 아니라 [[해삼]]이다. * [[아르테미아|시몽키]] - [[원숭이]]가 아니며 포유류 조차도 아닌 [[갑각류]]일 뿐이다. * 바다야자(''Lodoicea maldivica'')는 종명만 보면 [[몰디브]] 산으로 예상되나, 실제 서식지는 [[세이셸]]로 세이셸에 상시 거주하던 주민이 없던 시기에 인도양 곳곳에 떠밀려온 이 식물의 열매가 많이 발견되었던 곳이 몰디브여서 그런 이름이 붙게 된 것. * [[바실로사우루스]](''Basilosaurus'')는 도마뱀(saurus)이 아니라 [[고래]]의 일종이다. 처음 발견됐을 때 척추뼈가 [[플레시오사우루스]]류와 비슷하게 생겨서 리처드 할란은 해양 파충류로 착각한 채 이런 이름을 붙여 주었고, 후에 리처드 오언이 이 동물이 해양 포유류임을 지적하고 제우글로돈이라는 속명을 제안했지만 선취권 원칙은 엄격하여 지금도 바실로사우루스만이 유효한 이름으로 여겨진다. * [[바위너구리]]는 너구리가 아니다. 오히려 [[코끼리]]나 [[듀공]]과 가깝고 외양도 너구리보다는 [[기니피그]]와 비슷하다. * [[박쥐]]는 쥐가 들어가는 이름과 달리 설치류 보다는 식육목, 우제목, 기제목 등에 더 가깝다. * [[백두산호랑이]]는 [[백두산]]에 서식하지 않는다. * [[벌레잡이제비꽃]]은 [[제비꽃]]과 거리가 멀다. 벌레잡이제비꽃은 통발과, 제비꽃은 제비꽃과에 속해 있다. * 벽오동나무는 [[오동나무]] 종류가 아니다. 오동나무와는 과가 다르다. * [[불개미]]가 불(火)+개미라 [[불독개미]]는 불(火)+독(毒)+개미일 거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개의 품종인 [[불도그]]를 이름에 붙인 것이다. 실제로 불독개미는 영어로 bull dog ant, bull ant 등으로 불린다. * [[불꽃세포]](flame cell)는 불꽃을 내뿜지 않는다. 기능상으로는 척추동물의 [[콩팥]]에 대응하는 기관이다. * [[붕어]]와 [[각시붕어]], [[버들붕어]]는 모두 생판 남남이다. 붕어는 잉어과 잉어속, 각시붕어는 잉어과 [[납줄개속]], 버들붕어는 [[오스프로네무스과]] [[마크로포두스속]]이다. * [[블루베리]]와 [[크랜베리]]는 베리류([[딸기]], [[라즈베리]], [[블랙베리]] 등)와 관련이 없다. * [[비단뱀]]은 옷감 [[비단]]과는 관련이 없으며 'python'을 소리나는 대로 쓴 비단에서 유래했다. * [[비만세포]]는 면역 반응과 관련된 기능을 하는 세포로, [[비만]]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 사실 비만세포라는 이름은 세포가 [[히스타민]]을 잔뜩 가지고 있어서 '''세포 자체가 뚱뚱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실제로 비만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세포는 [[지방세포]]. * [[비버]]를 우리말로 바다삵, 해리라고 하는데, 비버는 바다에 살지 않으며 설치류이지 식육목 고양이과인 [[삵]]도 아니다. * [[사슴풍뎅이]]는 이름과 달리 꽃무지아과에 속하는 [[꽃무지]]이다. * [[사향고양이]]는 [[고양이]]가 아니다.[*K] * [[사향소]]는 솟과에 속하지만 [[소]]가 아니다. * [[사탕무]]는 [[무(채소)|무]]보다는 [[시금치]]나 [[명아주]]에 더 가깝다. * 산닭은 [[닭]]은 커녕 조류조차 아니라 개구리의 일종인 큰긴발가락개구리(''Leptodactylus fallax'')의 이명이며 고기가 [[닭고기]] 맛이 난다는 이유 때문에 그런 이름이 붙었다. * [[산양]]과 [[영양(동물)|영양]]은 [[양(동물)|양]]이 아닌 [[소]]에 더 가까운 동물이다. * 세인트헬레나올리브(''Nesiota elliptica'')는 [[세인트헬레나]] 고유의 식물로 이름과 달리 장미목 갈매나무에 속해 꿀풀목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올리브]]와 가깝기는 커녕 올리브의 친척조차 아닌 먼 관계의 식물이었다. 아쉽게도 2003년에 마지막 개체의 죽음으로 멸종을 맞았다. * [[솔부엉이]]는 부엉이가 아니라 [[올빼미]]다. * [[수각류]] 공룡의 발은 이름과는 달리 포유류가 아니라 오히려 조류를 닮았다. [[용각류]] 역시 이름과는 달리 도마뱀 보다는 코끼리와 비슷한 발을 가졌다. * [[순무]]는 [[무(채소)|무]]가 아니고 [[배추]]의 변종이다. * [[바티노무스|심해등각류]]는 유일하게 심해에서 사는 등각류가 아닌데, 이는 심해등각류가 정식 명칭이 아닌 것의 영향이 크다. 따라서 나무위키에서는 속명을 그대로 발음한 [[바티노무스]]로 문서 이름이 변경되었다. * [[아노말로카리스]]는 이상한 새우라는 뜻이지만 갑각류는 커녕 [[절지동물]]도 아니다. * [[아르겐타비스]], [[아르겐티노사우루스]]는 각각 '[[은]]의 새', '은의 도마뱀'이라는 뜻이지만, 몸 색이 은색인 것도, 은하고 딱히 관련이 있는 것도 아니다. 단지 화석이 처음 발견된 곳이 [[아르헨티나]]였을 뿐이다. * [[아머드그라운드크리켓]]은 [[귀뚜라미]]가 아니라 [[여치]]다. * 악어배라는 이칭이 있는 [[아보카도]]는 [[배(과일)|배]]와는 생판 남남이다. 아보카도는 녹나무목, 배는 장미목이다. * 광합성과정에서 [[암반응]]은 빛이 필요없는 반응도 아니고 어두운 밤에만 일어나는 것도 아니다. * [[앤틸리스 핑크토]]는 [[핑크토]]가 아니다. 과거에는 핑크토속(''Avicularia'')였으나 핑크토와 다른점이 많아 2017년에 속명이 새로 정해졌다. * [[오데사바브]]는 [[오데사]]에 서식하지 않고 [[미얀마]]에 서식한다. * [[우성인자와 열성인자]]는 성질이나 인자의 우열이나 발현 빈도의 차이 때문이 아니고, 더 우세(優勢)한 쪽이 발현되어서 붙은 이름이다. * [[원생동물]]은 [[동물]]이 아니다. [[SAR 상군]]이라고 [[식물]]과 [[동물]]도 아닌 제 3의 [[다세포 생물]]로 [[미역]], [[다시마]], [[학질원충]] 등과 가깝다. * [[원앙사촌]]은 [[원앙]]과는 전혀 다른 종류로 원앙은 원앙속이지만 원앙사촌은 혹부리오리속이다. * [[앵무조개]]는 [[조개]](이매패류)가 아니라 오징어, 문어와 같은 [[두족류]]이다. * 조개사돈은 [[완족동물]]이라 [[조개]] 같은 이매패류가 아니다. 심지어 연체동물도 아니다. * [[예루살렘크리켓]]은 [[귀뚜라미]]가 아니고, 원산지도 [[예루살렘]]이 아니라 [[멕시코]]이다. * [[옛도마뱀]]은 [[도마뱀]]이 아니다. 옛도마뱀은 훼두목으로 도마뱀은 옛도마뱀 보다는 뱀에 더 가깝다. * [[월귤]]과 [[넌출월귤]]은 [[귤]]이 아니다. * [[자몽]]의 영어 명칭은 '그레이프프루트(grapefruit)'이지만 포도(grape)와는 전혀 다른 종이며, 오히려 귤이나 오렌지와 가까운 과일이다. * [[자바사과]]는 도금양목으로 장미목인 [[사과]]와는 생판 남남이다. * [[전기뱀장어]]는 김노투스목으로 뱀장어목인 [[뱀장어]]와는 거리가 멀다. * [[젠투펭귄]]의 종명인 ''papua''는 [[파푸아뉴기니]]의 그 파푸아가 맞는데, 물론 [[뉴기니]]에는 펭귄이 한 종도 살고 있거나 살았던 적조차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런 종명이 붙은 이유는 동물학자인 요한 라인홀드 포스터가 이 종이 뉴기니에서 산다고 착각했기 때문으로, 뉴기니에서 가장 가까운 젠투펭귄의 서식지인 맥쿼리 섬과는 '''6,000km 이상''' 떨어져있다. * [[조기#s-1|조기]]는 [[조기어강]]에 속하지만 어원은 관련없다. '조기'는 순우리말이고, '조기어강'은 條鰭魚綱이라는 한자어이다. * [[조반목]] 공룡은 골반이 [[새|조류]]를 닮아서 붙은 이름이나 정작 조류는 조반목이 아니라 [[용반목]] 공룡 그중에서도 수각류에 속한다.[* 최근에 수각류가 조반목과 가까울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http://scienceon.hani.co.kr/501615|발표되었다.]]] * [[주름상어]]는 이름과 달리 몸에 주름이 별로 없다. 이는 영문명인 프릴드 샤크(frilled shark)를 직역하면서 벌어진 일. * 아래에 짝지어진 동물은 서로 관련이 없다. 단 생활상이 나름 비슷해서 그럴듯하게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 [[주머니개미핥기]] - [[개미핥기]] * 주머니고양이 - [[고양이]] * 주머니날다람쥐 - [[날다람쥐]] * [[주머니늑대]] - [[늑대]] * 주머니두더지 - [[두더지]] * [[주머니사자]] - [[사자]] * [[주머니쥐]] - [[쥐]] * [[참매]]는 [[매]]가 아니라 [[수리(조류)]]에 가깝다. * [[천마#s-2]]는 [[마(식물)|마]]보다는 [[마늘]], [[양파]]와 더 가까운 관계이다. * 초원비스카차는 [[비스카차]]가 속한 친칠라아과가 아니라 초원비스카차아과라는 독자적인 과에 속해있다. * 아래 초본류와 짝지은 나무는 서로 관련이 없다. * [[가래(식물)|가래]] - [[가래나무]] * [[고추]] - [[고추나무]], 물고추나무([[구기자]]) * [[난초]] - [[난초나무]] * [[삼(식물)|삼]] - [[삼나무]] * [[생강]] - [[생강나무]] * [[튤립]] - [[튤립나무]] * [[피(식물)|피]] - [[피나무]] * [[커피]]의 열매인 커피'''체리'''는 [[체리]]가 아니며, 씨앗인 원'''두'''(커피'''콩''')는 [[콩]]이 아니다. * [[코끼리땃쥐]]는 [[쥐]]가 아니다. 코끼리땃쥐는 포유강 아프로테리아상목 코끼리땃쥐목이지만 쥐는 포유강 설치목으로 완전 다르다. 오히려 코끼리땃쥐의 DNA는 [[코끼리]]와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크릴새우]]는 새우가 아니다. 새우는 십각목 장미아목이고 크릴새우는 난바다곤쟁이목 난바다곤쟁이과다. 다만 언어의 '나 먼저 원리'에 따라 비슷한 데 빗대어 얘기하니 아주 틀렸다고 하기는 좀 그렇다. 애초에 '곤쟁이'라는 말부터가 새우(진짜 새우)의 일종이다. * [[킹코브라]]는 사실상 [[코브라]]가 아니다. 엄밀히 말해 코브라는 ''Naja''속에 속한 동물을 말하는데 킹코브라는 ''Ophiophagus''속으로 다르다. 다만 킹코브라든 코브라든 과는 같기 때문에 가까운 친척이다. 위의 핑크토와 같은 사례라고 생각하면 된다. * [[킹크랩]]은 [[게]]가 아니라 집게의 친척이다. 게는 다리가 10개지만, 킹크랩은 다리가 8개이고 몸통이 삼각형에 가깝다. * [[토끼풀]]은 [[토끼]]가 잘 먹는 풀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실제로는 토끼한테 먹여서는 안 된다. 토끼한테 주면 먹기는 하지만 토끼에게 독성 성분이 있어서 위험하다. 되려 토끼풀을 좋아하는 동물은 [[닭]]. --닭풀-- * [[트로오돈]]과에서 트로오돈은 의문명 처리되어 '''학명 자체가 말소되었다.''' 즉, ''''[[홍철 없는 홍철팀|트로오돈이 없는 트로오돈과]]''''라는 것. * [[도요타조|티나무]]는 나무가 아니라 새다. * [[티벳버섯]]은 버섯이 아니라 [[원핵생물]]의 일종이다. * [[파란농어]]는 [[농어]]가 아니며 오히려 [[고등어]]와 가깝다. * [[파리스제비나비]]는 [[파리(프랑스)|파리]]가 아닌 [[아시아]]에서 서식한다. * [[판다]]는 [[레서판다과]]에 속하지 않는다. 과거에는 [[레서판다]]와 같은 과로 분류했으나 현재 판다는 [[곰과]]에 속한다. * [[하루살이]]라고 해서 단 하루만 사는 것은 아니다. 다만 살아있는 기간을 성체로 한정하면 짧으면 몇 시간, 길어야 1주일에 불과한다(평균 2일 17시간 정도 된다). * [[하마]]와 [[코뿔소]]는 이름과 분류가 서로 반대된다. 하마(河'''馬''')는 [[말(동물)|말]]목이 아닌 [[소]]목에 속해 있고, 코뿔'''소'''는 소목이 아닌 말목에 속해 있다. [[당나귀]]를 [[문화어]]로 [[하늘소(동음이의어)#s-2|하늘소]]라고 하는데[* 한편, 남한에서 [[하늘소]]라고 하는 곤충은 북한에서 '돌드레'라고 한다.], 얘는 아예 말목 말과 말속에 속해 있다. * [[해바라기]]는 해만 바라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하지만 하루종일 해를 바라본다는 건 잘못된 상식이다. 한자 명칭도 '向日葵'[* 실제로 이 단어는 일어로 해바라기의 뜻(ひまわり, 히마와리)을 지니고 있다. 다만 실생활에선 한자 그대로 쓰지는 않고 그냥 히라가나로 쓰인다.] 이니 전세계적인 오해인 듯하다. '''봉오리를 피우는 영양소 합성을 위해 봉오리가 피기 전까지만''' 해를 향하게 방향을 바꾸는 것이며, 꽃이 핀 후엔 그냥 그대로 있는다. * [[호모 에렉투스]]는 '직립한 사람'이라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그 전에 등장한 인류 역시 직립보행을 했다. 이러한 일이 발생한건 오스트랄로피테쿠스나 호모 하빌리스보다 먼저 알려졌기 때문이다. * [[호저]]는 영어의 'hedgehog'를 한자로 직역한 단어이지만, 실제 'hedgehog'는 [[고슴도치]]이고, 호저는 'porcupine'이다. 또한 호저는 '''쥐목'''이고 고슴도치는 고슴도치목으로 서로 먼 친척이고, 둘 다 돼지(hog)와는 거리가 멀다. * 호저와 비슷한 '''[[설치류|쥐목]]''' 가운데 [[설치목 생물 목록#s-3|뜀토끼]]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뜀토끼는 '''토끼''' 아닌 '''쥐'''이다. * [[황금두더지]]는 [[두더지]]가 아니며, 오히려 '''[[코끼리]]'''와 더 가깝다. * [[회색곰]]의 털 색깔은 [[회색]]이 아니다. 원래는 학명인 ''Ursus arctos horribilis''(무시무시한 큰 곰)에 맞게 영어로 '공포스러운, 소름끼치는'을 뜻하는 Gri'''s'''ly로 번역되었는데 어째서인지 회색을 뜻하는 Gri'''zz'''ly로 바뀌었다.[* 네이버 지식인에서도 관련된 질문이 작성되었다. [[https://kin.naver.com/qna/detail.naver?d1id=11&dirId=11080301&docId=148955945&qb=6re466as7KaQ66asIGdyaXNseQ==&enc=utf8§ion=kin.ext&rank=1&search_sort=0&spq=0|#]]] * [[흡혈오징어]]는 흡혈을 안 하지만 흡혈귀가 연상되는 기괴한 생김새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또한 [[오징어]]도 아니며, 오히려 [[문어]]와 더 가깝다. * [[협각류]] 동물들은 그야말로 이 분야의 대표적이다. * [[바다거미]]는 거미와 같은 협각류긴 하지만 거미강이 아니다. 따라서 거미들은 바다거미보다 [[전갈]], [[응애]]와 가깝다. 전갈은 하술하듯 바다전갈과 같은 협각류지만 바다전갈 같은 퇴구강이 아니라 거미강이라 거미에 가깝다. * [[바다전갈]]은 [[전갈]]보다 오히려 [[투구게]]와 더 가깝다. 더구나 바다에서 서식한 종은 일부에 불과하며 상당수가 민물이나 바닷가에서 살았다. * [[투구게]]는 [[게]]가 아니며 게 보다는 [[거미]]와 더 가깝다. 투구도 없다. 다만 거미보다 더 가까운건 바다전갈이다. * [[메가라크네]]는 '거대한 거미'라는 뜻이지만 [[거미]]가 아닌 [[바다전갈]]이다. 이러한 일이 발생한 것은 발견 당시에는 거대한 원시거미로 여겨졌기 때문. * [[채찍전갈]]은 전갈이 아니며, [[채찍거미]] 또한 거미가 아니다. 다만 둘다 거미강이라 거미와 전갈에 매우 가까운 종인것은 맞다. * [[어스 타이거]]는 [[호랑이]]가 아니라 거미이다. == 의학 == * 돼지 콜레라 바이러스는 [[콜레라]]가 아니라 [[돼지열병]]을 일으킨다. 콜레라는 세균에 의해 감염된다. * [[발작성 야간혈색소 요증]]은 '''발작'''도 아니고, '''야간'''에만 일어나는 것도 아니고, '''혈색소 요증'''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것도 아니다. * [[본초학]]은 풀(식물)뿐만 아니라 동물, 광물도 다룬다. * [[사이토크롬 P450]]은 [[사이토크롬]]이 아닌 그냥 평범한 세포대사용 [[산화]][[효소]]다. * '신종 에이즈'라고도 불린 [[샤가스병]]은 에이즈와 관련 없는 [[기생충]]이 원인인 질병이다. * [[선별진료소]]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진'''단검사만 하지 치'''료'''는 하지 않는 공간이다. * [[성인병]]은 나이에 상관없이 발생한다. 그래서 성인병은 [[생활습관병]]이라고도 한다. * [[스페인 독감]]은 [[스페인]]에서 발원하지 않았다. 처음 발생한 [[1918년]] 당시에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지 않아 전시 보도 검열이 이루어지지 않은 스페인 언론에서 깊이 다루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당시 스페인 국왕이었던 [[알폰소 13세]]도 이 병에 감염된 바 있다. * [[초콜릿 한천배지]]는 [[초콜릿]]은 한 톨도 들어가지 않는다. 제작과정을 보면 오히려 [[선지]]에 가깝다. * 치의학의 신경치료는 신경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신경을 제거하여 통증전달을 방지하는 시술이다.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변이 및 변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변이]] * [[알파 변이]]는 첫 번째 변이가 아니다. * [[델타 변이]]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4번째 변이가 아니다. 델타 변이가 알파 변이보다 먼저 발견되었다. * [[오미크론 변이]]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15변째 변이가 아니다. [[오미크론]] 앞의 [[ν]]는 발음 때문에 사용하지 않고, [[ξ]]는 ~~‘Xi’ Jinping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 [[파이 변이]]가 발견되더라도 오미크론 변이의 다음 변이가 아닐 수도 있다. == 대기과학 == * [[극동풍]](極東風)은 [[극동]](極東) 지역에서 부는 바람이 아니다. * 온도풍은 온도에 의해 생기는 바람처럼 보이지만, 실제는 바람이 아닌 온도차에 의해 생긴, 고도가 다른 두 지점에서 바람 벡터의 차이이다. * 태양 고도는 태양의 높이가 아닌 태양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뜻한다. == 지질학 == * [[조륙운동]](造陸運動)으로는 땅이 만들어질 뿐만 아니라 없어지기도 한다. == 천문학 == * [[달의 바다]]에는 물이 없다. * [[신성(별)|신성]](新星)은 새로이 생겨난 별이 아니고, 오히려 수명을 다해 사망한 별이다. * [[아폴로 계획]]은 [[로마 신화]] 태양의 신 [[아폴로]]와 다르게 달 탐사 계획이다. * [[왜성(천체)|왜성]]('''矮'''星)은 어지간한 행성보다 훨씬 크며, 태양계의 중심인 태양과 태양보다 훨씬 큰 A, B, O형 항성도 왜성에 속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혼동 때문에 요즘에는 G 이상부터는 왜성보다는 [[주계열성]]이라는 명칭을 쓰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지금이야 태양 정도면 상당히 큰 항성이라는 게 밝혀졌지만(상위 1%), 이름이 지어졌을 당시에는 태양보다 큰 천체 위주로 관측할 수 있었기 때문에, 태양 언저리부터 왜성으로 들어가게되었다. * [[타이탄(위성)|타이탄]] * 구름은 물로 이루어져있지 않으며 [[메테인]]과 [[에테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 바다에는 물이 없고 [[탄화수소]]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크기와 형태로 바다보다는 호수에 더 가깝다. * 바다로 흘러가는 강에서도 물이 없다. * [[태양상수]]는 상수가 아니다. * [[태양풍]]은 [[바람]]이 아니라 일종의 [[방사선]]이다. 우주는 완전 진공이라 바람이 불 수 없다. == 컴퓨터과학 == * [[안티바이러스 소프트웨어|백신 프로그램]]은 [[백신]]과 다르게 예방 뿐만 아니라 '''치료'''도 한다. * [[절차적 프로그래밍]](Procedural Programming)은 절차적으로 실행되어서가 아닌, 프로시저([[함수(프로그래밍)|함수]]) 중심으로 설계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절차가 아닌 함수의 뜻으로 쓰인 procedure를 억지 번역하여 생긴 일이다. * [[64비트]] [[Microsoft Windows|윈도우]]에서 C:\\Windows\\System__'''32'''__는 64비트 앱을 위하는 시스템 폴더[* 대응되는 설치 경로는 C:\\Program Files]이고, C:\\Windows\\SysWOW__'''64'''__는 32비트 앱이 System32 폴더로 접근하려고 하면 대신 불러지는 폴더[* 대응되는 설치 경로는 C:\\Program Files (x86)]이다. 64bit 윈도우에서 기존 32비트용 하위 호환성을 담당하는 체계가 [[https://ko.m.wikipedia.org/wiki/WOW64|WoW64 ('''W'''indows 32-bit '''o'''n '''W'''indows '''64'''-bit)]]라서 생긴 현상. * [[한자 키]]는 [[한자]] 뿐만 아니라 키 매핑에 따라 [[그리스 문자]], [[키릴 문자]], [[가나(문자)|가나]], [[언어별 확장 라틴 문자 목록|확장 라틴 문자]] 및 [[특수 문자]]까지 입력할 수 있다. * 흔히 하드디스크, SSD 같은 보조기억장치의 '''크기'''라고 말하는 '''"3.5인치, 2.5인치, 1.8인치"'''는 실제 디스크의 전체 사이즈가 3.5, 2.5, 1.8인치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초창기 디스크의 크기를 가리키는 숫자를 디스크 전체가 아닌 플로피 디스크 내부의 자기 필름 디스크의 지름 값으로 정했기 때문이다. 물론 이후 HDD까지는 플로피 디스크와 비슷하게 생긴 폼팩터의 길이를 사용했기에 저 단위가 완전히 틀린 것은 아니었지만, 이러한 기준을 폼팩터를 쓰지 않는 SSD에도 적용했기에 SSD에게는 완전히 다른 말이 되었다. * [[Windows 2000]]의 2000은 [[2000년]]에 출시하겠다는 뉘앙스로 붙인 이름이지만, RTM 자체는 1999년 12월에 나왔다.[* RTM은 [[https://ko.wikipedia.org/wiki/%EC%86%8C%ED%94%84%ED%8A%B8%EC%9B%A8%EC%96%B4_%EB%B0%B0%ED%8F%AC_%EC%83%9D%EB%AA%85_%EC%A3%BC%EA%B8%B0#RTM|Release to Manufacturing]] 이라는 뜻으로 사실상 시판되는 정식 버전이라는 뜻이다. 즉 베타가 아닌 최종 버전 자체는 1999년 12월에 나왔다고 보면 된다.] 이 때문에 부팅화면 하단에 명시된 제조사 정보도 "Copyright [[Windows 1.x|1985]]-'''__1999__''' [[Microsoft|Microsoft Corporation]]"라고 써져 있다. * 한국의 [[컴퓨터공학과]]는 컴퓨터공학을 다루는 학과가 아니다. 한국의 컴퓨터공학과에서 다루는 학문은 [[컴퓨터 과학]]이고, 한국에서 컴퓨터공학을 다루고 있는 학과는 [[전자공학과]]와 통신공학과이다. 대입을 앞둔 고3 수험생 입장에서 들으면 둘이 무슨 차이가 있냐 싶겠지만, 컴퓨터 과학은 수학에서 파생된 학문으로 [[이산수학]]이나 [[이론 컴퓨터 과학|컴퓨터 이론]]을 다루고 있으며, [[컴퓨터공학]]은 [[전자공학]]에서 파생된 학문으로 이 이론을 직접 전자 회로로 구현하는 것을 배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 version=4013, title2=경로의존성, version2=819, paragraph2=5.2)] [[분류: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